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기본권 규범구조에서의 ‘인간의 존엄성’의 지위 ― 헌재 2016. 12. 29. 2013헌마142 결정에 대하여 ―

        조소영 한국공법학회 2019 공법연구 Vol.48 No.1

        우리 헌법 제10조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가 모든 기본권 보장의 종국적 목적이자 기본이념의 지위를 지닌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었지만, 학자들 중에도 인간의 존엄성 규정이 개별적 기본권성을 갖는다는 해석을 논의하는 입장이 나타났고, 헌법재판소도 2016년 구치소내 과밀수용행위 위헌확인 결정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개별적 기본권으로 다루는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이러한 구체적 기본권성의 부여는 헌법학적으로 면밀하게 검토되어야 할 쟁점이라는 점에서, 본 논문은 해당 결정내용을 분석하면서 우리 헌법상의 기본권 규범구조에서의 ‘인간의 존엄성’의 지위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인간의 존엄성 규정의 독자적 기본권성 인정 여부에 대한 학계의 견해는 구분된다. 하나는 인간의 존엄성 보장은 객관적 헌법규범 또는 기본원리로서, 인간의 존엄이 구체적인 기본권의 성격을 갖는다면 공공복리 등의 목적을 위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절대적 효력을 갖는 헌법원리로 기능할 수 없게 되고, 다른 개별 기본권들과의 관계에서 그 서열관계를 어떻게 매길 것인지의 문제도 발생한다고 하는 입장이다. 반면에 인간 존엄성조항의 법문, 헌법체계 내에서 규정된 위치, 다른 헌법규범과의 연관관계 등을 고려할 때 인간존엄성 조항의 기본권적 성격은 인정되어야 하고, 국민은 최고의 헌법적 가치의 침해에 대해 직접 방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여받아야 하므로 인간의 존엄성은 헌법소원을 통하여 관철할 수 있는 개인의 기본권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런데 구체적인 보호영역 설정 가능성 여부, 우리 헌법상의 기본권 규범구조와의 부합성, 기본권 제한 시의 최후적 한계로서의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의 판단기준으로서의 역할 등을 고려할 때,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기본권으로서의 인간의 존엄성 지위론은 문제가 있다. 2016년 결정은 교정시설 내 과밀수용이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함을 확인함으로써 국가형벌권 행사의 한계를 밝히고 수형자 등의 인권 신장을 도모하고자 한 의의는 있지만, 헌법재판소는 이 결정에서 왜 다른 유사사건들과는 달리 직접 인간의 존엄성 침해의 문제로 다루었는지, 인간의 존엄성이 우리의 기본권 규범구조 속에서 독자적 기본권성을 갖게 된다면 그 고유의 보호영역이 어떻게 확정될 수 있을 것인지, 제한 가능성을 인정할 것인지 등의 헌법이론적 쟁점들에 대해서 침묵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There is no great disagreement as to Article 10 of our Constitution that “dignity and value as a human being” is the ultimate goal of guaranteeing all fundamental rights and the status of basic ideologies. However, among scholars, there was a position to discuss the interpretation that human dignity had individual basic right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lso made a decision to treat human dignity as individual basic rights in its 2016 decision. The granting of these specific basic rights to human dignity is an issue that must be scrutinized constitutionally. Academics' opinions on whether human dignity provisions recognize independent basic rights ar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positions. One is that human dignity can no longer function as an absolute constitutional principle because it can be restricted for public welfare, etc..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human dignity provisions should be recognized in consideration of the legislation of human dignity clauses, their positions within the constitutional system, and their relation to other constitutional norms. The dignity of human beings as individual and specific basic rights,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specific protection areas, their conformity to the normative structure of basic rights in our Constitution, and their role as a criterion for the ‘essential content of basic rights’ as the last limit in restricting basic rights... has a theoretical problem. The 2016 decision confirms the limitations of the exercise of national penalties and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of prisoners by confirming that overcrowding in correctional facilities infringes human dignity and value. However, why the Constitutional Court treats this issue as a direct violation of human dignity, unlike other similar cases, and how its own sphere of protection would be established if human dignity had its own basic rights within our norm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avoid criticism of being silent on constitutional issues, such as whether it can be done or admit the possibility of limitation.

      • KCI등재

        공법학의 연구 및 교육방법

        조소영 한국공법학회 2008 공법연구 Vol.37 No.1

        This article is to think the innovation of legal research and education in the new era, especially in the field of public law(constitutional law, administrative law involved). This is the time for legal research and education to look forward to the future. The professors in law schools as a law educators today not only have to respond to the current demands of the profession, they also have to anticipate the future needs of the students. Legal education has to adapt to a rapidly changing world. Law schools must be a center for research, criticism, and contributions toward a better understanding of our legal system. It's very important that law scholars is in the center of these roles. This is the fundamental reason to rethink and innovate their research and education method of public law. So the main reforms should occur in the areas of curriculum, research and scholarship, relations among law schools, and the emphasis on professionalism and community service. New legal developments have forced law scholars to offer courses on new and emerging topics, such as environmental law and internet law.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law and comparative law courses is going to be important. Legal educators will have to begin the globalization of legal education itself. Legal educators must be aware of the consequences of the trend that makes legal services just another commodity in the world, too. The legal education should be a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n legal educational method aspect. There is no gap between legal education and practice, but there is a misunderstood relationship. We need to change our viewpoint to the legal education method and management. I'm also thinking about Socratic method, Case method, etc as an example. Legal education must recognize its responsibility to the community. This means that legal educators should attempt to create in their students an understanding of the law and the legal profession in its social context and a commitment to justice and social responsibility. 우리 공법학계 선배학자들의 계속된 연구들은 헌법재판을 통한 국민의 자유와 권리보장의 이론적 토대 구축·행정쟁송제도의 획기적 재정비·국가운영의 적법절차화·정보공개를 통한 행정의 투명성 확보 등의 실질적 성과들을 일구어 왔다. 하지만 우리 공법학자들의 恒常的인 반성은 더 나은 연구발전과 교육실현을 위해 여전히 필요한 것이며, 그 반성의 내용은 공법학이 과연 국민의 자유와 권리 그리고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기 위하여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가, 격변하는 국가상황 가운데 정부가 당면하는 과제들을 해결하고 법이 지배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하여 얼마나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있는가와 같은 것들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공법학은 국가와 사회가 직면한 여러 문제에 대해 타당한 해결방안을 제시해 나갈 수 있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법학의 문제해결 능력의 부족은 공법학을 상대적으로 왜소화하고 국가경영을 위한 포럼에서 소외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출발점으로 현 시점에서 공법학이 국가와 사회의 타당한 문제해결방안의 기준으로 기능할 수 있기 위한 연구시각의 전환에 대한 작은 의견을 제시해 보고, 그러한 법학자의 연구 관련 태도의 전환을 바탕으로 하는 교육의 측면을 방법적인 면에서 논하였다. 물론 공법학교육에 관한 논의는 그 교육의 목표를 어디에 두느냐는 것에서 출발해야 하고 또한 이 문제는 누구에게 그 교육을 실시하는 것인가와 연관되는 것이어서, 법학전문대학원의 도입과 그 일련의 구조 속에서 ‘전문직업인으로서의 법조인 양성’이라는 교육목표를 설정해 두고 그에 따른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공법학연구의 방향과 내용의 변화원인을 검토해 보고, 공법학의 교육방법 개선에 관하여는 기존의 강의전달식 방법이 아닌 다른 유형의 교육방법들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 공법학자들이 앞으로 지속해 나가는 연구와 교육에서의 가장 근본적인 명제는 ‘정답은 강요될 수 없다’는 것이 되어야 하며, 강요되지 않는 정답을 도출해 내기 위한 연구시각의 광역화와 교육방법의 개발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법학교육이 민주정부의 안정성의 기반이 될 수 있기 위해서는, 공법학자들의 공법적 쟁점들에 대한 연구와 교육은 책임성을 지녀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미군정의 점령정책으로서의 언론정책과 언론법제의 고찰

        조소영 법과사회이론학회 2003 법과 사회 Vol.24 No.-

        The U.S occupation of South Korea has been the subject of close scholarship scrutiny because its immense impact on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This is a study to analyze the press policy and legislation of USAMGIK. The press policy of USAMGIK was executed in the ramification of efficient performance of occupational policy. USAMGIK reorganized mass media with controlling those directly or indirectly and carried out public notices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olicy performance of USAMGIK. This study attempts to correct several oversights in previous research. The policy during the U.S. military occupation was not a unique or isolated happening pertaining only to Korea. Many previous studies have taken an apologetic position toward U.S. policy in Korea, regarding any U.S. misadministration as a consequence of the military government's lack of firm policy or of insufficient harmony between Washington and the local military govern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t the time was formed and implemented as an integral part of the occupational policy of the United States that was in turn perceived by American policy makers as an instrument for the effective fulfillment of overall U.S. foreign policy. The press control and censorship by USAMGIK basically has done to the degree necessary for military security and for accomplishment of military could not but be understood to be a part of overall policy performance. From this points, regardless the freedom of press was partly ensured in the earlier time, the press control must have been strengthened with coming later and later. At the earlier time, USAMGIK claimed to stand that freedom of press shall be endowed through decree, but finally for the purpose of press control, only unsubstantial freedom was endowed, with having applied obsolete approval. Such press control was newly established according to its necessity, based on mainly Mckard decree No, 2. USAMGIK carried out severe administrative disposition such as suspension and discontinuances and judicial of confinement of journalists. Such press control method by USAMGIK has much affected formation of systematic character of Korea Press and remains the framework of press control policy up to now since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The three years of USAMGIK period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one can be called a "preparation period foe the military censoring policy," and the other "the actualization period of the military censoring policy." The press policy of USAMGIK is examined and evaluated in connection with its occupation policy. That is, the purpose of the press policy of USAMGIK was never diverged from the plan outlined in the occupation goal. USAMGIK intended and carried out the controlled press policy and ordinances from the beginning of the occupation of Korea in spite of the MG's declaration of " laissez-faire" policy.

      • KCI등재

        지역 특산물 인지도 구축을 위한 스토리텔링 연구 - 춘천 연옥(軟玉)을 중심으로 -

        조소영,남용현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1 No.63

        The world’s only white nephrite mountain is located at Wolgok-li, Dong-myeon, Chuncheon-si and Daeil Mining Company has developed and provided a variety of products using Chuncheon nephrite stone as well as service. To improve awareness of nephrite stone which is regional speciality of Chuncheon and increase its value, this study selects several good cases of regional character such as ‘Big Baby in Ulsan-si’, ‘Goyang Cat in Goyang-si’and ‘Goma Bear & Princess in Gongju-si’ to carry out case study and analyze, particularly focusing on their storytelling and strategy. Analysis results show that storytelling of these three cases interconnects various characteristics of region in pursuit of distinction and regionality and also, SNS and offline activity for regional promotion are continuously exposed to local people and tourists through personification of character so that they can feel more familiar with and improve awareness. Such research findings are applied to improve awareness in Chuncheon nephrite stone. Afte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Chuncheon nephrite stone and the lakeside city, these two subjects are associated with ‘water’. If taking the image of lakeside city and using the story to expose Chuncheon nephrite stone which is regional specialty through online and offline activity to local people and tourists continuously, it comes up with distinction from other regions and increase value of Chuncheon, the lakeside city and its regional specialty, nephrite stone as well. 춘천 동면 월곡리는 세계 유일 연옥(백옥) 광산이 있으며 대일 광업에서는 춘천 연옥을 활용한 제품 개발 및 판매, 다양한 서비스 제공하고 있다. 춘천 특산물인 연옥의 인지도 및 가치 상승을 위해 지역 캐릭터 중 우수사례인 울산광역시 ‘울산큰애기’ ․ 고양시 ‘고양고양이’ ․ 공주시 ‘고마곰과 공주’의 스토리텔링 및 활용 전략 중심으로 사례조사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사례의 스토리텔링은 지역 속 여러 특성을 연계하여 타 지역과 변별성 및 지역성을 두었으며 의인화를 통해 SNS와 지역 홍보를 위한 오프라인 활동을 지역민과 관광객에게 지속적으로 노출하여 친근감 및 인지도를 형성 하였다. 이를 춘천 연옥의 인지도 구축을 위해 적용하였다. 춘천 연옥과 춘천시의 특성인 호반의 도시를 조사한 결과 두 소재는 ‘물’과 연계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춘천시 호반의 도시 이미지와 연계하여 춘천 특산물 춘천 연옥을 스토리를 활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활동을 지역민과 관광객에게 지속적으로 노출할 경우 타 지역과 변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춘천시 호반의 도시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춘천 특산물인 연옥의 가치와 인지도 또한 상승할 것이다.

      • KCI등재

        Cyberspace에서의 Hate speech의 규제에 관한 연구 : 美國의 判例와 學說을 중심으로

        조소영 연세법학회 2002 연세법학 Vol.8 No.2

        The First Amendment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provides that the content of speech may not be regulated, prohibited, nor censored by the government. This provision embodies the theory that governmental regulation of the content of speech is more likely to interfere with the free exchange of ideas than encourage it. While the internet receives strong First Amendment protection, the Supreme Court has restricted First Amendment protection of hate speech in certain circumstances. Although the Court has not yet explicitly defined the level of protection to be afforded to hate speech transmitted over the internet, the Court should ultimately uphold the First Amendment right to free speech on the internet, including hate speech, using the same legal tests and analysis which it has used for other modes of communication. Cyberspace has been and continues to be used to perpetuate hate speech. This hate speech is disseminated through the many modes of communication available on the internet. Some argue that the Court's traditional analysis should not apply to the internet because of the internet's vast communicative abilities. Individuals can voluntarily choose to filter out offensive material;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not paternalistically intrude upon an individual's freedom of speech. Tolerance and egalitarianism should not be sacrificed at the altar of an absolutist free speech doctrine. It is in the public interest to manifest disapprobation for hate speech and to distinguish it from legitimate forms of political dialogue. Government should not allow internet users to foment worldwide intolerance and inequality. Instead, it should realize the potential global threats posed by hate speech on the internet, the very purpose of which is to destroy democracy and oppress outgroup members.

      • KCI등재

        잊혀질 권리 ― 정보의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법리 검토 ―

        조소영 한국공법학회 2012 공법연구 Vol.41 No.2

        인터넷 공간에 참여한 모든 일반인들의 ‘지속적으로 검색되게 되는 처지’로부터 발생되는 현대적 문제점을, 그 권리인정을 위한 논의의 배경으로 하는 현대적 권리가 잊혀질 권리이다. 하지만 잊혀질 권리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의가 진행 중이고, 잊혀질 권리의 인정 여부와 적용범위에 대해서는 EU와 미국의 입장처럼 각 국가의 입장들도 다르다. 그런데 우리 현행법제 속에서도 잊혀질 권리의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 제도들을 찾을 수 있고, 이러한 법적 권리로서의 여러 요구권들의 존재가 적어도 우리 법제 속에서는 잊혀질 권리에 대한 별도의 검토가 필요없다는 주장의 중심적인 논거가 되고 있다는 점이 본 논문의 시작점이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잊혀질 권리에 관한 논의의 특이성을 먼저 살펴본 뒤에(Ⅱ) 잊혀질 권리의 기본권성에 대한 헌법적 검토(Ⅲ)를 전개해 본다. 그리고 이 헌법적 검토에는 EU와 미국, 그리고 우리나라의 현행법제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하고, 잊혀질 권리의 기본권성 인정 여부와 그에 대한 헌법적 근거를 고찰하였다. 그리고나서 잊혀질 권리의 내용이 무엇인가를 논의하기 위해 현행법규인 개인정보 보호법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상의 관련규정 내용들을 비교검토함으로써(Ⅳ), 새로운 기본권으로서의 잊혀질 권리를 인정해야 하는 필요성과 인정하는 경우에 어떤 권리로 구체화되어야 할 것인가를 검토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right to privacy has expanded to incorporate “the right to be forgotten.” This concept is pushing the boundaries of privacy law and human dignity right now, and there are heated debates on both sides of the issue. This issue would recognize the right of Internet users to remove any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online that they deem to be incorrect or embarrassing. So,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an important contemporary issue.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for coverage are still under discussion and the position of the EU and the United States about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different. And there are some claims that this right has been in our current law system and necessity to review it as a new & separate right. Here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I will study on fundamental right nature of the right to be forgotten(Ⅲ) after the first look at the specificity of the discussion on the right to be forgotten(Ⅱ), constitutionally. And then I will review comparatively in the EU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current laws of our country,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Act etc. The need to recognize the right to be forgotten as a new fundamental right will be examined through these reviews(Ⅳ). Finally, I explain about the factors we should consider in being materialize the right to be forgotten, the concept of this rights, coverage, and limitations.

      • KCI등재

        주식회사와 정치적 표현의 자유- 기본권 주체성 여부를 중심으로 -

        조소영 헌법재판연구원 2020 헌법재판연구 Vol.7 No.1

        There has been a long debate on whether to be able to recognize the subjectivity of basic rights to corporations as beings different from natural people. Is there a prestigious provision related to the Constitution, can it be interpreted as an interpretation, and if so, is the scope and kind of limitation recognized, etc. Even under our constitutional structure, which does not stipulate the basic powers of corporations before the Constitution,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must naturally apply to the corporations the basic rights that corporations can enjoy due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It has been judged that it does not cover for-profit corporations or non-profit corporations. And even though corporations were given freedom of political expression, the Constitutional Court did not show judicial arguments for its conclusions. In particular, judicial review was needed on the question of how to recognize the subjectivity of these basic political rights due to the purpose and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corporation. To this end, we reviewed not only the Constitution, but also related legal discussions. We needed to examine whether the essence of the corporation's profitability could be harmonized with the guarantee of political rights for the realization of democratic values. In relation to this, they considered the independence from the shareholders and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the company's own political decision-making process and decision-making process on the premise of such independence. In addition, constitutional discussions and judicial discussions on whether to limit the rights and capabilities of corporations, including corporate fundamentals, were considered in this review with a structure and content. 자연인과는 다른 존재로서의 법인에게 기본권 주체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서는 오랜 논의가 있었다. 헌법전에 관련된 명문규정을 두었는가, 해석상으로 인정될 수 있는 것인가, 인정될 수 있다면 범위와 종류의 한계가 인정되는 것인가 등. 이 글에서는 법인의 기본권주체성에 관한 여러 헌법적 쟁점과 영리법인에 관련된 논의로 회사법 등의 추가된 본질적 논의들을 함께 고려하였다. 헌법전에 법인의 기본권능력에 대해 규정하지 않은 우리 헌법구조 하에서도, 우리 헌법재판소는 헌법해석에 의해서 성질상 법인이 누릴 수 있는 기본권은 당연히 법인에게도 적용하여야 하고, 이러한 한계 내에서는 사단법인・재단법인 또는 영리법인・비영리법인을 가리지 않는다고 판시해 왔다. 그리고 법인에게도 정치적 표현의 자유가 인정된다고 했지만, 헌법재판소는 그 결론에 대한 법리적 논증을 보여주지 않았기 때문에 영리법인인 주식회사에게 왜 정치적 기본권을 인정할 수 있는 것인지, 어떤 종류의 기본권을 인정할 수 있는지, 특히 주식회사의 설립목적과 본질구조상 이러한 정치적 기본권의 주체성을 어떻게 인정할 수 있겠는가의 문제들에 대한 법리적 검토가 필요했다. 이를 위해 헌법 뿐만 아니라 관련된 법적 논의들을 포함하여 검토하였는데, 주식회사의 영리성이라는 본질이 민주주의적 가치실현을 위한 정치적 권리보장과 조화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했고, 주식회사 자신의 정치적 결정이 가능한 것인지와 관련하여 주주와의 분리된 독립성과 그러한 독립성을 전제로 한 주식회사의 자신의 정치적 의사형성과정 및 결정절차에 관한 현행법과 고려해 봄직한 사항들을 고민했다. 그리고 이 검토에는 헌법적 논의는 물론이고 법인본질론을 위시한 주식회사의 권리능력 제한 여부와 관련된 사법적 논의들까지 포섭한 구조와 내용으로 고찰해 보았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주식회사(영리법인)의 기본권 주체성에 관한 헌법상 논의, 법인 본질론과 주식회사의 기본권 주체성, 주식회사와 정치적 기본권의 내용, 주식회사 법인의 독자성과 기본권 주체성, 사회적 책임이론 및 장기적 영리론에 이르는 주식회사의 정치적 기본권 주체성 검토를 위한 논의, 주식회사의 정치적 표현의 자유의 내용과 방법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