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터 시각화 특성이 짧은 영상 채널 운영자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틱톡 FeiGua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중심으로-

        조세웅 ( Cao¸ Shi Xiong ),구자준 ( Koo¸ Ja-jo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본 연구는 데이터의 시각화 특성이 짧은 영상 플랫폼 채널 운영자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데이터 시각화의 정의, 구성요소, 특성(직관성, 효율성, 심미성),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관한 개념과 특성을 확인했다. 또한 사례연구를 진행하며 짧은 영상 데이터 분석 플랫폼이 주로 구분되는 3가지, 즉 라이브 실시간 모니터링 페이지, 팬 분석 페이지, 영상 데이터 페이지 등을 검토했다. 이를 토대로 연구 모형과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짧은 영상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사용하는 채널 운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연구의 방법은 데이터 시각화의 특성인 직관성, 효율성, 심미성을 원인변수로, 지속적인 사용 의도를 결과변수로 설정하고, 양자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하고자 했다. 설문조사는 플랫폼 채널 운영자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4개 변수와 인구통계학 조사로 구성해 2021년 4월 1일부터 1주일 동안 온라인을 통해 진행했다. 설문에 참여한 인원은 총 432명이고, 조사에 응답한 설문지 중에서 총 265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해 SPSS 26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데이터 시각화의 직관성, 효율성, 심미성은 플랫폼 채널 운영자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실무적인 시사점이 도출 가능하다. 향후 해당 기업에서 짧은 영상 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제작에 있어 플랫폼 채널 운영자가 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콘텐츠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페이지 정보의 레이아웃, 글자 크기, 색채의 배합 등을 고려한다면 극대화된 심미성을 향상으로 성공적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This work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of data on the continuous usage intent of short video platform channel operator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dentify the impact on image data analysis platforms with quick intuition, efficienc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ata visualization. To this end, this study identified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finition, components, characteristics, and continuing use intentions of data visualization through prior research. Also, this research reviewed three types that mainly distinguish short video data analysis platforms: live real-time monitoring pages, fan analysis pages, and video data pages. After establishing research models and research hypotheses based on this, surveys were conducted on channel operators using short video data analysis platforms. Intuition, efficiency, and aesthetics, the characteristics of data visualization, were established as causality variables; and continuing use intentions became outcome variables, following the demonstr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or one week from April 1, 2021, consisting of four variables and demographic surveys that affect platform channel operators' intention to use them continuously. A total of 432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 total of 265 questionnaires was used as research data to conduc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6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 identified that the three causality variables, intuition, efficiency, and aesthetics of data visualization, positively influence platform channel operators' intention of its continuing us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ow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be derived: when considering the simple layout of page information, suitable letter size, and tidy color combination, more successful platform construction will be possible as it helps platform channel operators quickly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data analysis in the platform.

      • KCI등재

        인포그래픽 특성이 콘텐츠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료 e-러닝 상세페이지를 중심으로-

        조세웅 ( Cao Shi Xiong ),구자준 ( Koo Ja J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e-러닝 상세페이지에서 제품의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해 소비자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포그래픽의 특성을 다룬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인포그래픽의 특성들인 유용성, 이해 용이성, 효율성이 소비자의 콘텐츠 구매 의도(유료 e-러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으로 인포그래픽의 특성인 유용성, 이해 용이성, 효율성을 원인변수로, 구매 의도를 결과변수로 설정하고, 양자 간의 인과관계를 입증하고자 했다. 아울러 인포그래픽의 정의, 구성요소, 특성, 구매 의도에 관한 관련 문헌들을 통해 그 개념과 특성들을 확인했다. 그리고 유료 e-러닝 상세페이지에서 활용되고 있는 인포그래픽에 대한 사례 분석을 위해 3개의 상세페이지를 그 대상으로 삼았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과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인포그래픽을 사용한 상세페이지와 그렇지 않은 페이지에 대해 비교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는 구매 의도에 영향을 주는 4가지 변수와 인구통계학적 조사로 구성해 2020년 5월 8일부터 2주일 간 온라인을 통해 진행했다. 설문에 참여한 인원은 총357명이며, 조사에 응답한 238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해 SPSS 18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인포그래픽의 유용성, 이해 용이성,효율성은 구매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유료 e-러닝 상세페이지를 제작할 때는 타깃 사용자가 상세페이지의 내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세페이지의 4요소인 레이아웃,그래픽,색채,타이포그래피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기대치를 최대한 충족시킬 수 있는 상세페이지는 경쟁 브랜드로부터의 전환을 유도하는 효과도 가져온다. 따라서 e-러닝 기업들은 유료 e-러닝 상세페이지 제작 시 인포그래픽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를 구매자로 전환시키는 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graphic that affect consumer purchasing intent by expressing product information more effectively in e-learning detail pages. The purpose is to determine how usefulness, ease of understanding, and efficiency in the characteristics of infographics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content (paid e-learning). To this end, the definition, the components, and the characteristics regarding infographics and purchase intention were confirmed by precedent research. Case analysis followed it regarding three of the paid e-learning detail pages using infographics. After establishing a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is based on previous stud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detailed pages with infographics, comparing with the ones without infographics. The purchase intention consisted of four variables and a demographic survey.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online for two weeks since May 8, 2020. A total of 357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238 copies of the survey were used as research data. Based 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8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the usefulness, ease of understanding, and efficiency of the infographic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creation of paid e-learning detail pages in the futur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ayout, graphics, colors, and typography, which are the four elements of the detail page,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the target user can quickly grasp the details of the detail page. Detailed pages that can meet users' expectations as much as possible also have the effect of inducing a shift from competing brands. Therefore, if a detailed page of the product well adap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graphic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could increase the purchase intention of its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