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바일 1인칭 연기 시뮬레이션 앱 설계 및 구현

        김주령 ( Jooryeong Kim ),조상현 ( Sanghyun Jo ),김상형 ( Sanghyeong Kim ),이예찬 ( Yechan Lee ),한광혁 ( Gwanghyeok Han ),박은주 ( Eunju Park ),조대제 ( Daejea Cho ),임한규 ( Hankyu L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스마트폰이 일상생활에 보급되면서 모바일로 제작된 콘텐츠들의 연구 개발이 확산되고 있다. 학습, 여가, 운동 등 여러 분야에서 스마트폰으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 하여금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 Camera와 Video View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영상속안의 배우들과 호흡할 수 있는 모바일 1인칭 연기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스마트폰의 영상에서 배우의 1인칭 모습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명장면을 함께 진행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배우와 사용자 사이의 친밀감을 극대화시키고 잊고 있었던 명장면을 재조명할 수 있는 효과를 만들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스트레스를 조금이나마 줄여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언제(when), 무엇(what)을 봐야하는가?: 야구 숙련성과 투구 동작 타이밍에 따른 사전시각단서 활용능력의 차이

        이승민 ( Seungmin Lee ),조상현 ( Sanghyun Jo ),안종성 ( Jongseong A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4

        목적: 본 연구는 야구 숙련성과 투구 동작 타이밍에 따른 사전시각단서의 활용능력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첫 번째 실험은 타자 숙련성과 투구 동작 구간에 따른 시선행동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총12명(숙련자 6명, 초보자 6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과제는 투수의 투구 동작 동영상을 보고 실제 상황처럼 스윙을 하도록 하였다. 이때 피험자들은 안구 움직임 추적 장치를 착용하였고 시선고정위치를 측정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숙련성에 따른 사전시각단서 획득 타이밍을 측정하기 위해 시각차단기법(점진적 & 무빙 윈도우)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총20명(숙련자 10명, 초보자10명)의 피험자가 참여하였으며, 피험자들은 시간차단기법이 적용된 동영상을 보고 투수의 구질(직구, 슬라이더, 커브)을 예측하도록 하였다. 결과: 첫째, 스트레치 구간에서 숙련성에 따라 오른어깨와 손/공 영역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파워포지션 구간에서는 몸통, 왼 어깨, 손/공, 공간/가운데, 그리고 공간/머리우측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릴리스 구간에서는 숙련성에 따라 몸통, 오른어깨, 오른팔, 손/공, 공간/가운데, 공간/머리 우측, 그리고 릴리스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점진적 시간차단 기법을 적용한 실험에는 t2~t5 구간에서 숙련성에 따라 예측 정확성의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더불어, 무빙윈도우 기법을 적용한 실험에서는 t1~t3 구간 모두에서 숙련자의 예측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숙련자는 환경시를 활용하여 많은 정보를 획득하는 ‘visual pivot’ 현상이 나타나며, 낮은 시각탐색율의 전략을 활용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숙련자는 공간영역에 시선을 고정하여 주변 유용한 사전시각단서를 획득하는 맥락제어전략을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utilizing advanced visual cues on baseball expertise and pitching timing. Methods: In the first experiment, a total of 12 subjects (6 experts, 6 novices) participated to examine the ability of utilizing advanced visual cues. All participants performed real batting simulation tasks from watching pitching video clips. At this time, they all wore eye tracking system to analyse visual fixation location. In the second experiment, visual occlusion techniques(progressive & moving window) were used to measure anticipation accuracy of advanced visual cues. A total of 20 participants (10 experts, 10 novices) were asked to anticipate pitcher’s ball types (fast ball, slider, curve). Results: First, in the stretch phase, the area of right shoulder and hand/ball were different according to expertise. In the power position phase, the group showed difference in the trunk, left shoulder, hand/ball, background/middle and right side of the head area. Moreover, in the release phase, the area of trunk, right shoulder, right arm, hand/hall, background/middle and right side of the head, and relea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econd, in the experiment of utilizing progressive visual occlusion technique, the anticipation accurac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2 to t5. However, from utilizing the moving window occlusion technique, experts demonstrated higher anticipation accuracy in all events(t1~t3). Conclusion: Experts utilize peripheral vision with low visual search strategy to pick-up useful information, such as ‘visual pivot’ phenomenon. Therefore, they are using ‘contextual control strategy’, in which gathering visual informations around background areas.

      • 빅 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알람 어플리케이션 설계와 개발

        이성현 ( Sunghyun Lee ),김동윤 ( Dongyun Kim ),조상현 ( Sanghyun Jo ),안태호 ( Taeho Ahn ),한광혁 ( Kwanghyuk Han ),박은주 ( Eunju Park ),임한규 ( Hankyu L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개인적인 활동들 전반에 걸쳐 스마트폰이 PC를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마트폰 사용자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고, 알람 어플리케이션은 혼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들에게는 꼭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가운데 하나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대인들의 생활패턴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알람기능에 빅데이터를 이용한 알람음악 랭킹 제공, 날씨와 교통정보 제공, 일정관리 기능 등을 추가한 ‘빅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알람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은 바쁜 현대인의 아침시간에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사용자 편리성을 높인 알람 어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