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논산시 원북리 토광묘유적 출토 청동기의 과학분석

        강형태(Hyung Tae Kang),정광용(Kwang Yong Chung),조상기(Sanggi Cho),이문형(Moon Hyoung Lee) 한국상고사학회 2003 한국상고사학보 Vol.39 No.-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 유적의 초기철기시대(기원전 3~2세기)토광묘에서 출토된 청동기 4점에서 시료를 얻어 과학분석을 수행하였다. 청동기의 과학분석으로서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리를 분석하여 청동기주조를 위한 원료의 배합 비 및 원료의 산지를 추정하였다. 원북리 청동기 4점의 성분분석 결과 모두 삼원계합금(구리+주석+납)으로서 그 비율이 대략 7:2:1 이었다. 그러나 납과 구리의 함량에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세형동검 2점은 동경과 동부에 비해 납의 함량이 3~4% 높고 구리의 함량은 3~4% 낮은 것으로 나타낫다. 이러한 성분 함량의 차이가 청동기의 종류 및 기능에 따라 의도적으로 그 조성을 달리 했는지는 더 많은 청동기의 성분분석이 이루어져야 확인할 수 있다. 청동기 4점 각각의 납동위원소비를 분석하고 이미 확보된 한국∙중국∙일본의 방연광 납동위원소비 데이터를 비교하여 납 원료의 산지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세형동검(①)은 경상북도 제2연화 방연광을, 동경(②)은 중국 북부 요령성의 방연광을 원료로 가져다 썼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부(③)의 납동위원소비 데이터는 한국 남부산 지역과 중국 남부산 방연광 지역에 겹쳐 있는데 한국산일 경우 경상북도 장군광산의 방연광일 확률이 높다. 세형동검(④)은 일본의 방연광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동기에 대한 이와 같은 과학적 조사가 축적되면 중부권 청동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수 있으며 더 나아가 우리나라 청동기 문화를 체게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가 마련될 것으로 판단된다. We obtained four bronze samples from wooden coffin tombs at Wonbuk-ni site, Seongdong-myon in Nonsan-si which was dated early Iron Age(3rd~2nd BC). We conducted scientific analysis on them using ICP and TIMS method. The analysis of the bronze samples focused on their chemical compositions and lead isotope rati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n analyses, all of the items were composed of ternary system(copper + tin + lead) in the ratio of approximately 7:2:1. There are small differences among the items, however, in terms of lead content. Two Korean-type bronze daggers contained lead more than those in bronze mirror and bronze axe by 3~4%, but copper, less by 3~4%. In order to ascertain whether the ratio of the element compositions in each item was controlled intentionally depending on its type and function, further studies of chemical analysis for bronze artifacts were required. From the results of lead isotope analysis, we can presume that Korean-type bronze dagger(①_ was made by galena from 2nd Yonhwa mine, Kyungsangbuk-do, the bronze mirror(②) from Liaoning Province, northern China, the bronze axe(③), from southern part of Korea or China, and another Korean-type bronze dagger(④), from Japan. This scientific research will lay a ground for consequent systematic study of Korea's bronze culture as well as that of the central part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