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기 고령자(60-69세)와 후기 고령자(70세 이상)의 삶의 질, 우울감, 자아존중감 비교연구

        조미림(Mi-Lim Cho),승현(Seung-Hyun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전기 고령자(60-69세)와 후기 고령자(70세 이상)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비교하고, 우울감, 삶의 질,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연령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21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전기 고령자와 후기 고령자 총 3,211명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삶의 질을 매개로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이 서로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과 연령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기 고령자는 후기 고령자에 비해 삶의 질은 5.38% 더 높았고, 긍정적 정서는 4.53% 더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은 4.02% 더 높고, 우울감은 5.83% 낮게 나타났다. 둘째, 우울감이 삶의 질을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간접효과와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을 매개로 우울감에 미치는 간접효과 모두에서 연령의 조절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기 및 후기 고령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의 차이를 밝히고, 우울감과 삶의 질, 자아존중감간의 관계에서 연령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고령자의 연령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심리사회적 개입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young-old (60-69 years) and old (70+ years) adult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on the relationships among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Utilizing raw data from the 2021 Korean Media Panel Survey, we analyzed the psychosocial traits of 3,211 individuals, categorized as young-old and old adults, and assessed the indirect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each other, mediated by quality of life, along with the moderating role of age. The findings decisively showed that, first, young-old individuals exhibited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positive affect, and self-esteem, and lower levels of depression compared to their old counterpart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was significant in both the indirect effect of depression on self-esteem through quality of life, and the indirect effect of self-esteem on depression through quality of life.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ge in understanding the differential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between young-old and old adults, as well as in the dynamics between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The result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psychosocial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onsider the ag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thus enhancing their health.

      • KCI등재후보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 동향

        조미림(Cho, Mi-Lim)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문헌 검토를 통하여 주거환경과 관련된 국내 작업치료 연구동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DBpia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작업치료’, ‘주거환경’, ‘가정환경’, ‘생활환경’, ‘환경수정’을 키워드로 하여 국내학회지를 전자 검색하였다. 2007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2편이 선정되었다. 2007년에서 2017년까지 매년 3편 이하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분야 연구가 발행되었으며, 총 5개의 학회에서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분야 연구를 발행하였다.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분야 연구주제로 주거환경 관련 평가도구, 주거환경에 대한 디자인 선호도, 주거환경개선 효과, 주거환경 개선 요구도, 유니버설 디자인이 있었으며, 이 중, 주거환경개선 요구도와 관련된 논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연구 대상으로 장애인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방법별 분석에 따르면 조사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주거환경과 관련된 국내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동향 파악은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작업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published in Korea for the last 10 years. Method : Through the database of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RISS) provided by KERIS and database of DBpia, the keywords occupational therapy , residential environment , home environment , living environment , environment modification to search for articles. A total of 12 articles were selected from 2007 to 2017. Result : From 2007 to 2017, research on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lated to less than 3 residential environments was conducted every year, and a total of five conferences published residential environment related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There were research items such as evaluation tool, design preferenc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demand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universal design. Most of articles were about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tudy subjects were mainly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search method, researches were the most common. Conclusion :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trend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of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학과만족도와 전공몰입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조미림(Mi-Lim Cho),신중일(Joong-Il Shin)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학과만족도와 전공몰입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과만족도와 전공몰입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이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3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국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글을 활용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36부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t검정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학과만족도(3.63±0.91), 전공몰입도(3.57±0.86), 학업적 자기효능감(3.42±0.81)은 모두 ‘보통 이상’의 평균 점수대를 보였으며, 학과만족도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 중 연령에 따라 학과만족도와 전공몰입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거리(거주지~대학)에 따라 학과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또한, 학과만족도와 전공몰입도, 학과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몰입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1). 결론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들이 우수한 작업치료사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commitment of major,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analyze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commitment of major, and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commitment of major, and academic self-efficacy. Methods : From September 1st to September 30th, 2023, an online survey using Google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A total of 136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showing average “above normal” scores in satisfaction on department(3.63±0.91), commitment of major(3.57±0.86), and academic self-efficacy(3.42±0.81).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and commitment of major according to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according to distance(residence to university)(p<.05).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and commitment of major,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commitment of major and academic self-efficacy(p<.01). Conclusion : Based on this study, we should discus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consider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o tha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can be produced as excellent occupational therapists.

      • KCI등재

        복지용구 전문가 직무 역량에 대한 복지용구 이용자 요구도 분석

        조미림(Mi-Lim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노인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도와주는 복지용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올바른 복지용구 사용을 위하여 복지용구 전문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복지용구 이용자의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지용구 전문가의 직무 역량에 대한 복지용구 이용자의 요구도 분석 과정을 통하여 복지용구 전문가에게 우선시되어야 하는 핵심작업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복지용구 이용자 84명을 대상으로 직접 대면, 우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복지용구 전문가 직무를 바탕으로 작업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를 조사하도록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복지용구 전문가의 5개의 책무와 12개의 작업에 대한 우선순위와 10개의 핵심작업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핵심작업은 복지용구 이용자들의 요구도가 높은 작업으로써 복지용구 전문가가 직무 수행 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요구를 고려한 개별화된 접근을 통해 노인들이 독립성을 확보하고 가정과 지역사회 내에서 삶의 질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elderly population grows, the use of assistive products that facilitate independent living by the elderly is increasing. Assistive product specialists are important to selecting the correct assistive produ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needs of assistive product us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key tasks that should be prioritized through analysis of the needs of assistive product users of assistive product specialist`s job competenc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84 assistive product users in person and by mail.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work and educational needs based on the job of the assistive product specialist. Based on the results, the priorities of five duties and 12 key tasks were derived. The key tasks are highly demanded by assistive product users and must be included in the performance of the job of the assistive product specialist.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elderly people will gain independence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 their homes and communities through an individualized approach.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조미림(Cho, Mi-Lim)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치매안심센터에서 수행되는 작업치료 직무 관련 기초연구를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방법을 사용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들의 직무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해 알아보고자 2019년 9월 선정기준에 부합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6명을 전문가로 섭외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총 6단계로 1단계 전문가 선정, 2단계 사전준비, 3단계 포커스그룹 인터뷰, 4단계 자료전사, 5단계 자료분석, 6단계 결과도출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통합적 분석 결과, 총 6개의 주제, 34개의 범주, 120개의 세부범주와 222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직무에 대한 주제별 내용 분석 결과, ‘상담’ 책무는 상시적으로 이루어지며, 초기상담보다는 중기 및 후기상담(관리상담)의 실시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가’ 책무의 경우 프로그램과 사례관리 전⋅후 작업치료사 자체적으로 내담자별 필요한 평가에 대해 실시하고 있었으며, 인터뷰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모두 작업치료사가 평가의 전문가로서의 조기검진팀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중재계획’ 책무의 경우 작업요소적인 측면보다 는 활동 및 참여와 관련된 부분을 우선적인 목표로 하며 이용대상자에게 필요한 부분에 대한 중재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 작업치료사는 ‘중재’ 책무와 관련하여 프로그램 진행 외에도 일상생활활동 훈련, 가정환경수정, 필요한 관련 서비스 연계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 및 관리’책무와 관련하여 환자 및 보호자, 종사자, 자원봉사자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연구활동 참여, 대학 및 대학원 진학 등의 ‘자기계발’ 책무를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결론 : 치매안심센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제도적 개선 및 전문 인력의 역할 정립 및 강화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명확히 함으로써 직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전문성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job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by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for basic research on the jobs of occupational therapy conducted at the dementia care centers. Methods : In order to find out the job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six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dementia care centers, as expert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invited in September 2019 to conduct a focus group interview. This study was conducted in 6 steps: 1st step of selecting experts, 2nd step of making preliminary preparation, 3rd step of interviewing the focus group, 4th step of transcribing data, 5th step of analyzing data, and 6th step of deriving the result. Results : As a result of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jobs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the dementia care centers, a total of 6 topics, 34 categories, 120 subcategories and 222 concep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of each topic regarding the jobs, it was found that the duty of “consultation” is carried out on a regular basis, and the proportion of providing consultation (management consultation) in the mid and the last period is higher than that of initial consultation. In the case of the duty of “evaluatio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conducting the necessary evaluation for each client before and after program and case management and all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hought that the occupational therapists should be included as an evaluation expert in the early examination team. In the case of the duty of “plan of intervention”, the priority was given to the parts related to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rather than the aspect of occupational elements and a plan of intervention was established for the parts needed by the subjects.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carrying out tasks such as training for daily life activities, changing the home environment, and linking to the required services concerned in addition to conducting programs in relation to the duty of “intervention”. In relation to the duty of “education & management”, they carried out programs for patients, guardians, workers, and volunteers, and strenthened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the duty of “self-development” such as participation in research activities and going to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for study. Conclusion :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s,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and reinforcement of the roles of experts are essential. We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larify the jobs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helping to understand their jobs and strengthen the expertise and professionalism.

      • KCI등재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조미림(Mi-Lim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대처행동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2020년 6월부터 9월까지 장애아동 어머니 102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대처행동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성격유형은 에니어그램을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대처행동은 한국판 장애아부모 대처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은 장형이 가장 많았다. 대처능력은 장애자녀를 위한 적극적 문제해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대처행동을 분석한 결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대처능력과 부부협력 강화, 사회적-정서적 지지추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 대처능력과 부부협력강화, 사회적-정서적 지지추구 모두 가슴형과 장형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슴형이 장형에 비해 점수가 높았다.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중재 개입 시,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대처행동을 예측하고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제시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ncluded 102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to september in 2020 based o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personality type and coping behavior. Personality types were evaluated using Enneagram, and coping behavior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Coping Behavior Scale for Pare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elly type was the most common personality type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As for coping behavior, active problem-solv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the highest sco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ping behavior, strengthening marital cooperation, and pursuing social-emotional support. As a result of post-verifi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eart type and belly type in coping behavior, strengthening marital cooperation, and pursuing social-emotional support, and heart type scored higher than belly type. When conducting interventions for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more effective services by predicting cop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and presenting individualized programs.

      • 작업치료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조미림 ( Mi Lim Cho ),박보라 ( Bo Ra Park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심리적 안녕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 및 업무관련 특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011년 6월 1일에서 6월 30일까지 현재 국내 대학병원, 종합병원, 복지관, 재활 관련 기관 등에서 근무경력이6개월 이상인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우편,온라인 등을 통한 설문지 94부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실시하였다.MAL과 SS-QOL의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사의 심리안녕감은 192.5±28.5점이었고 작업치료사의 심리적 안녕감의 6가지 차원은 개인적 성장,긍정적 대인관계,자아수용, 환경통제력, 삶의 목적, 자율성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분석 결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었고 작업치료사의 업무 특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분석 결과,동료 수는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6가지 차원 중 자아수용,긍정적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환경통제력은 매우 유의미한차이를 보여주었다.치료대상은 심리적 안녕감의6가지 차원 중, 삶의 목적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중 휴식시간은 심리적 안녕감의6가지 차원 중 개인적 성장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결론: 심리적 안녕감은 동료수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으며 작업치료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및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를 통한 질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이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look into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 and work characteristic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 Methods :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more than 6 months of experience in occupational therapy at the places like university hospitals, general hospitals, welfare houses and rehabilitation facilities through on-line and mail service from June 1, 2011 to June 30, 2011. The 9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 The average score of occupational therapist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192.5±28.5 and the personal growth showed highest score followed by positive relations, self-acceptance, environmental mastery, purpose in life, autonomy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company numb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environmental maste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ubject of investigation and purpose in life. The break tim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sonal growth. Conclusion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company numb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would provide better medical service through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ccupational therapists.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 분석: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조미림(Cho, Mi-Lim)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9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경상권, 중부권, 호남권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작업치료 전공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이 누락된 12부를 제외한 388부가 자료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하여 보통의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치매안심센터로의 취업의사가 있는 학생들은 전체 학생의 80%이상이었다. 둘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중요하며, 치매조기검진 및 예방관리사업에서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이 모두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 중 연령과 학년, 지역에 따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와 치매안심센터 전반적인 기능,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경우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와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지역사회 작업치료 교과목 수강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치매안심센터 기능과 치매안 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수준, 그리고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에 대한 관심 정도에 따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치매안심센터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야의 활성화와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From September 2019 to January 2020, 400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were surveyed at universities located in the Gyeongsang, Joongbu and Jeonra areas. With the exception of 12 missing responses, 38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First,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had a normal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more than 80 percent of all students were willing to work at a dementia care center. Second, students recognized that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was important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was most important in early screening of dementia and preventive management project. Third, students were all aware of the need for education on the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clinical practi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educational needs about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ccording to age, grade and region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ifth,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educational needs for clinical practice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there was a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Six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educational needs about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clinical practi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job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level of interest in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Conclusion :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valued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found tha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dementia care center. These findings could used as a useful basis for activating the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education.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기능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인식 수준 조사

        조미림(Mi-Lim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 기능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인식 수준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수준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매안심센터의 7개 사업유형별 기능에 대한 인식 수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안심센터의 7개 사업유형 중 상담 및 등록관리사업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가장 높았다.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에 따라 7개의 치매안심센터 사업유형 모두 인식 수준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년의 경우, 방문형 모델을 제외한 6개의 치매안심센터 사업유형에 대한 인식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역은 치매환자쉼터 운영사업과 치매가족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치매안심센터 이용경험 유무에 따라 치매안심마을 운영에 대한 인식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 경험 여부에 따라 상담 및 등록관리사업, 치매가족 지원사업, 치매안심마을 운영에 대한 인식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작업치료 전공 관련 교육기반 마련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levels of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on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 study included 357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9 to December 2019 based o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mong the types of projects of the dementia care center, ‘consultation and registration management’ scored the high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7 projects of dementia care center according to ‘age’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6 projects except ‘a visiting model’ according to ‘gra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rest area business for dementia’ and ‘support for families with dementia’ according to ‘reg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dementia care village’ according to ‘experience of using dementia care cent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consultation and registration management’, ‘support for families with dementia’, ‘dementia care village’ according to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and help to establish the curriculum of occupational therapy.

      • 시지각 증진을 위한 중재접근법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조미림 ( Mi Lim Cho ),김덕주 ( Deok Ju Kim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시지각 중재접근법에 대한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 및 시지각 중재에 유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1년 1월 이후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을 통해서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시지각 증진’, ‘시지각 치료’, ‘시지각 훈련’, ‘시지각 프로그램’으로 제목 및 초록에 사용된 논문을 검색하여 연구동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시지각 증진’, ‘시지각 치료’, ‘시지각 훈련’, ‘시지각 프로그램’이라는 검색용어로 각 40개, 141개, 61개, 193개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바탕으로 주저자가 10편의 논문을 선정 하였다. 10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근거 수준이 II인 연구는 8편(80.0%)이고, 근거수준이 III인 연구는 총 2편(20.0%)으로 나타났다. 결론: 현재 국내에서는 시지각 중재접근법으로 가상현실 게임훈련을 적용한 경우가 3편(30.0%)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도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 BioRescue 프로그램, Balance Trainer(안대착용), 적응적·교정적 접근법을 사용한 시지각 치료, 안구운동 프로그램, 진동자극, 재활 승마 등이 있었다. 이 중 중재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경우는 총 8편(80.0%)이었다. 국내 시지각 중재의 활성화를 위해 대상자의 특성을 잘 반영한 맞춤형 중재접근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rends in research on visual perceptual intervention approaches and to provide available basic data for therapists. Methods :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a search of computerized database of the literature(KERIS, since 2001) using ‘improvement of visual perception’ and then ‘visual perceptual intervention’, ‘visual perceptual training’, ‘visual perceptual program’ as key words. Results : Based on titles and abstracts, the first author selected 10 studies. 10 studies were included, level II 80.0%, level III 20.0%. The use of virtual reality game program for improvement of visual perception was the biggest part of these studies. Conclusion : To activate the visual perceptual intervention of people who need help in Korea, personalized intervention approaches should be develop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ne of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