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천 삼룡리·산수리 유적 출토 토기의 생산기술에 관한 고찰

        조대연(Cho, DaeYoun) 한국상고사학회 2008 한국상고사학보 Vol.62 No.-

        이 글의 목적은 진천 삼룡리·산수리 가마유적 출토 토기에 대한 자연과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 지역 한성 백제 성립기의 토기 생산기술의 변동양상을 검토하는데 있다. 본고에서는 삼룡리·산수리 유적 토기를 토기암석학(Ceramic Petrography)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해 분석하여 원료흙의 채취에서부터 소성에 이르기까지 해당 토기의 생산공정을 세분해서 살펴보고 토기 생산기술의 시간적 변화양상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원삼국시대 토기와 백제토기 생산에 있어서 원료흙과 첨가제의 선택과 활용, 몸체성형기법, 토기 소성에 있어서 유사성이 확인되어 이를 바탕으로 이 유적에서 원삼국시대 토기에서 백제토기로의 생산기술의 점진적인 이행을 강조하였다. 진천 삼룡리·산수리 유적에서 관찰되는 이러한 백제토기 성립양상은 백제국가의 영역확대 과정에 대해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e Samyongri·Sansuri kiln site, located in the Jincheon region of mid-western Korea, has the potential to shed light on archaeological issues regarding production technology, production organiz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ial culture and sociopolitical change.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ose archaeological issue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Hanseong Paekche period. Ceramic petrograph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used to reconstruct the pottery production processes, including raw material selection, clay manipulation, vessel forming and firing practices, which took place at Samyongri·Sansuri. Analysis suggests that there was a great continuity of production technology at the site of Samyongri·Sansuri. Also of significance is the presence of well organized craftspeople at this site which could be ascertained from the dominance of non-tempered pottery and the control of the firing atmosphere, both of which reflect the application of sophisticated production skills.

      • A Study on Luminescence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Driven by Square Wave for Large sized-LCD panel

        조대연(Daeyoun Cho),이연재(Yeon-Jae Lee),조규민(Kyu-Min Cho),오원식(Won-Sik Oh),문건우(Gun-Woo Moon),이상길(Sang-Gil Lee),박문수(Mun-Soo Park) 전력전자학회 2006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EEFL can be driven by square wave driving method. A square wave is applied directly to both ends of EEFL by cascaded multi-stage full-bridge inverter. The various current shapes of lamp are achieved by various inductors between lamp and inverter. In this paper, it is newly investigated that the area of current directly influences the luminance. Furthermore, the 3-level square wave is considered to drive EEFL with self-discharge characteristics. The highest luminance efficiency is achieved by properly controlling the rate of self-discharge usage.

      • KCI등재

        청동기시대 청동제품의 생산전문화 양상에 대한 일 고찰

        조대연(Cho, Daeyoun),이동희(Lee, Donghee)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5 No.-

        청동기시대 한반도에서는 적색마연토기, 마제석검, 옥제품, 청동제품과 같은 생산품들이 기존의 가내수공업 단계를 탈피하여 수공업 전문화(craft specialization) 단계에서 제작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논문에서는 청동기시대 남한에서 출토된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을 대상으로 생산전문화 수준을 비교, 검토하였다. 즉, 남한 출토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 중 계량화가 가능한 자료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간의 추이에 따른 청동검의 생산전문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생산전문화가 진행될수록 생산품에 나타나는 변이는 줄어들고 생산품은 상대적으로 표준화된다는‘표준화 가설’(standardization hypothesis)을 채택하였다. 토기 연구와 달리 청동기 연구에 표준화 가설이 적용된 사례는 아직 없는데, 청동기 주조의 특성상 하나의 주형에서 여러 개의 주조품이 생산될 수 있으며 이런 사례가 늘어날수록 표준화 가설을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남한에서 동일 용범에서 생산된 것으로 확인된 청동제품은 확인되지 않으므로 이 문제에 대해 표준화 가설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번 분석에서는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의 표준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전장, 검신 길이, 검경 길이, 전장 대비 검경비율 등 네 가지 속성을 추출하고, 각 속성의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측정, 평가했다. 일차분석 결과, 비파형동검의 경우 완형 제품과 파손품 및 재가공품 사이의 변이계수에 차이가 커서 파손품 및 재가공품을 제외하고 추가로 분석하였으며, 세형동검의 경우, 전장에 대한 분석결과 소형(23㎝미만), 중형(23~27.5㎝), 대형(27.5㎝초과)으로 구분할 수 있어서 이들 중 다수를 차지하는 대형 세형동검에 대해 추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파형동검, 성립기 세형동검, 발전1기 세형동검의 순으로 전장 및 검신 길이, 전장 대비 검경비율의 변이계수 수치가 낮아졌으며, 이를 통해 시간이 지나면서 동검이 표준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동기시대 후기에 청동검 생산에 있어서 상대적인 표준화가 이루어졌고 생산전문화가 더욱 진전되었다고 이해하였다. 즉 이 시기에는 청동기에 대한 수요가 어느 정도 확대되었고 지속적으로 제품 생산이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제한된 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생산전문화가 진전되고 제품의 표준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The Bronze Age of the Korean peninsula witnessed the establishment of farming and the increase in social complexity. As a result, various types of tools, the characteristics of which were entir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iod, came to be made and used. For example, it is believed that products such as red burnished pottery, ground stone daggers, and jade objects were not the result of household production, but were rather produced within a system of craft specialization. In relation to this,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and compare the degree of craft specialization of the slender type bronze daggers which have discovered in southern Korea vis-a-vis the Liaoning type bronze daggers. In other words, we compare the data from slender type and Liaoning type bronze daggers which can be quantified, and based on this analysis, attempt to diachronically trace the nature of the production standardization of bronze daggers. This was done by adopting the standardization hypothesis. As the main attributes, the length of the entire dagger, the dagger, and the hilt were measured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did demonstrate a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daggers was not similar.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degree of craft specialization of bronze products was increased in the late Bronze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