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사조직 간 일가정 양립수준 및 영향요인 비교분석

        김희경 ( Kim Hee Kyong ),조규진 ( Cho Kujin ) 한국행정연구원 2017 韓國行政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의 조화와 갈등 수준을 탐색하고, 일가정 양립에 대한 영향요인을 공사조직비교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일가정 양립 수준 및 이에 대한 영향요인이 조직맥락 차원에서 공사조직 간 차이가 존재한다는 가정에서, 일가정 양립 수준을 조화와 갈등으로 구분하였고, 영향요인의 경우 계층적으로 개인 및 가족적 차원, 근로 및 조직적 차원, 제도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가정 양립의 조화수준은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간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갈등 수준은 유의미하게 민간조직이 공공조직보다 높음을 확인하였다. 일가정 양립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결과, 조화와 갈등 모두 개인 및 조직적 차원, 특히 가족의 지지와 조직문화가 중요한 영향요인이며, 일가정 양립 지원 제도의 경우 제한적으로 갈등을 완화하는 데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조화가 아닌 갈등에만 영향력을 미치는 결과를 통해 일가정 양립의 조화와 갈등이 단일한 스펙트럼의 반대되는 개념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공사조직 비교에 있어서도 공사조직 모두 일가정 양립에 가족의 지지 및 조직문화가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가정 양립 갈등과 관련하여 공사조직 모두 제도적 요인보다 조직적 차원의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지만, 제도효과는 민간조직에만 제한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제한된 제도효과가 확장될 수 있도록 제도적 차원뿐만 아니라 일가정 양립을 지지하는 조직문화 및 개인의 인식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제도설계에 있어서 공사조직 간 조직맥락 차원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satisfaction of work-family life and to analyze which factors might influence work-life balance and conflict.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effects of work-family institutions are affected by organizational contexts, it means that there might be a distin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For the analysis, the work-family life is measured by both balance and conflict and the factors are analyzed by hierarchical dimensions such as personal/family level, organizational level, institutional level.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difference on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whereas private organizations have more work-family conflict than public organizations. In terms of the factors, personal/family and organizational factors are significant, particularly supports of family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contrary, effect of institutional factors(work-family policy) is limited only focusing on conflict mitigation. The work-family policy has no influence on public organizations, but only on private sec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work-life policy needs to be consider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ontexts such as personal recogni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 KCI등재

        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의 보건의료 분야 연구· 개발과제: 분포와 연구비용 비중 분석

        고영곤 ( Younggon Goh ),정태영 ( Taeyoung Jung ),정혜주 ( Haejoo Chung ),차선화 ( Xianhua Che ),유사라 ( Sarah Yu ),조민진 ( Minjin Jo ),차수진 ( Sujin Cha ),문다슬 ( Daseul Moon ),서지영 ( Jiyoung Suh ),조규진 ( Kujin Cho ) 한국보건행정학회 2015 보건행정학회지 Vol.25 No.2

        With the growth of aging population in Korea, a better care of chronic and other degenerative illnesses is urgently needed. Evidences suggest that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incorporating a wide range of care options, expanding beyond medical interven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publically funded research to understand if the Korean research and development funding system matches various approaches and purposes to successfully tackle the chronic care needs of an aging society. We complied the list of funded projects to be analyzed by searching the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database with key words such as aging society/senescence, chronic diseases, disability, and health promotion. Most projects were based on the biomedical approach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etiology and clinical (treatment) interventions. Health promotion projects showed a distinctive distribution with more percentage of projects based on psycho-behavioral approaches while research on chronic diseases predominantly biomedical. It would be necessary to diversify publically-funded research projects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care technologies for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