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의식의 매개로서의 음과 색채-모던 신지학의 이론을 중심으로

        조관용 ( Kwan Yong Ch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0 예술과 미디어 Vol.9 No.2

        이 논문은 모던 신지학에서 정신적인 실체로서 이 해하는 음과 색채에 대한 연구이다. 음과 색채는 모던 신지학에서 물질 대상의 형태를 띤 정신적인 실 체들로서 인간과 자연의 실체들 간의 의식을 매개 한다. 음과 색채는 수를 토대로 하여 정신과 물질이 하나인 공간에서 인간과 자연의 모든 실체들을 분 화시킨 것이다. 인간과 자연의 모든 것들은 정신과 물질이 하나인 실체로부터 음과 색채로 인해 생성 되어 나온 실체들이기에 음과 색채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모든 실체들을 이어주는 정신적인 매개체가 된다. 인간의 의식은 애니 베산트와 리드비터에 의하면 진동을 통해 음과 색채에 토대를 둔 반의식체인 엘 리멘타리들을 일깨우고, 엘리멘타리들은 다른 사람 들과 자연의 존재들에게 그 의식을 전달한다. 인간 이 사유를 통해 음과 색채를 지닌 자연의 의식체들 을 일깨울 수 있는 것은 인간이 정신과 물질로 이루어진 이분법적인 실체가 아니라 7개의 의식체로 구성된 실체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7개의 의식체로 구성된 실체로서 아래로는 자연의 존재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위로는 인간과 자연을 생성시킨 7개의 행성로고스들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인간과 자연의 존재들 모두 7개의 행성로고스들 에 의해 생성된 의식체들이며, 7개의 행성로고스들 은 또한 태양계의 로고스들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7개의 행성로고스는 인간과 자연의 실체들을 이루 고 있는 물질원자들의 7개의 스파릴래들과 각각 연 결되어 있으며, 그 물질원자들은 또한 태양 로고스 들의 에너지를 통해 그 힘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 다. 다시 말해 인간은 자연의 의식체들과 연결된 존 재이며, 또한 7개의 행성로고스와 태양로고스와 연결된 의식체이다. 음과 색채는 모던 신지학에서 인간과 자연의 모 든 실체들에 토대를 이루고 있는 정신적인 실체들로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모든 실체들을 이 어주는 매개체가 된다. 인간의 의식에 따른 음과 색 채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인간과 자연의 존재 들과의 잃어버린 고리를 찾는 하나의 통로가 되며, 예술의 기초 원리를 깨닫는 하나의 열쇠가 될 것이 다. This essay is to study of modern theosophy we think sounds and colors of spiritual substance. Sounds and colors are in features of material objects at the same time as mind. They can be intermediate the consciou-sness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appeared in numbers that are symbolized of every differentiation from the space where matter and mind are unified. Human can thus be a substantial relation between human and human, or human to nature. Sounds and Colors are also simultaneously a spiritual and material intermediary because they are one of the components of human and universe. According to A. Besant and C.Leadbeater, human`s consciousness is able to awake subconsciousness`s elementary by mean of vibration rooted in sounds and colors. This elementary plays a role of delivering the consciousness to others existences. Human is not dualistic substantial divided into mind and matter but it rather has substantial and resemble structures along with structure of universe which is as natural and vital existence such as seven logos in terms of ontology. Every seven logos partly indicates every consciousness of the celestial sphere and then only logos of cosmos that is also related atoms of matters of seven ``sparill -aes``. This atomic matter maintains power, as received whole energy from the logos of the sun. Sounds and colors are in ontological existences from human and nature but they are some material substantial when sounds and colors are based on as one of universal elementary. It can be the key that we can find out the principle elementary of the arts because human creates the arts as universal existence following the principle of cosmos.

      • KCI등재

        홀로그램과 실재에 관한 연구

        조관용 ( Kwan Yong Cho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3 美學·藝術學硏究 Vol.38 No.-

        이 논문은 이차크 벤토프의 정신과학에서 말하는 인간과 우주와 실재를 블 라봐츠키와 그를 계승하고 있는 이론과의 연계를 통해 설명하고, 마이클 탈보트 의 실재의 개념과는 대립되는 이차크 벤토프의 실재의 개념을 흘로그램의 원리를 통해 해명하는 데에 있다. 또한 홀로그램 예술을 홀로그램 예술 이론가들이 말하는 홀로그램의 예술의 개념과 현대 신지학의 이룐에서 정의하는 홀로그램의 예술의 개념과의 차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는 데에 있다. 인간과 우주는 이차크 벤토피의 정신과학의 이론적 기반이 되는 블라봐츠키 와 모던 신지학의 이론에 의하면 실재로부터 ``의식을 지닌 진동(3중성의 성질)``을 통해 생성되어 나온 실체이다. 정신과 물질은 이들의 이론에 의하면 분리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실재이며, 실재는 진동수를 토대로 하여 인간과 우주의 모든 것을 을 생성시키는 모태인 것이다. 다시 말해 인간과 우주는 진동을 통해 실재에서 분화되어 나온 실체들이다. 인간의 의식은 우주의 의식과 마찬가지로 7중의 구조를 지닌 실체이며, 인간의 감성과 사유는 인간의 7중의 구조(물질체, 에테르체, 아스트랄체, 하위 멘탈 체, 상위 멘탈체, 븟디체, 아트마체)중에서 아즈트랄체와 멘탈체를 통해 작용하는 것이다. 인간의 기억은 블라봐츠키와 모던 신지학의 이론을 계승하고 있는 이차크 벤토프에 의하면 마이클 탈보트가 주장한 것과 같이 물질적인 두뇌에서 홀로 그램의 원리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멘탈체의 작용을 통해 기능하는 것이다. 인간의 의식은 이차크 벤토프에 의하면 물리적인 두뇌의 간섭무늬를 통해 기능 하는 것이 아니라 실개라는 기준 광선이 변형된 작용광선(멘탈체)을 통해 기능하는 것이다. 인간과 우주는 이차크 벤토프에 의하면 마이클 탈보트가 주장하는 홀로그램이 아니라 홀로그램의 원리를 통해 작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실재는 이차크 벤토프에 의하면 기준광선에 해당하며, 인간과 우주는 작용광선에 해당하는 것이다. 작용광선은 그에 의하면 기준 광선과 하나가 될 때 까지 우주 균형의 원리인 카르마의 원리에 따라 반복적인 순환(윤회)을 해야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인간과 우주는 블라봐츠키와 모던 신지학을 수용하고 있는 이차크 벤토프에 의하면 실재가 지닌 3중성의 속성을 통해 실재로부터 분화되어 나온 작용광선에 해당하는 것이다. 인간과 우주는 그에 의하면 실재라는 기준광선이 작용광선으로 본화 하여 체험을 통해 스스로를 인식하 는 과정이며, 그것은 블라봐츠키와 그를 계승 한 이론가들의 말을 빌려 설명하자면 실재의 존재 변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홀로그램의 예술은 현대 신지학의 이론가들에 의하면 홀로그램 예술 이론가 들이 말하는 빛이 인간의 정신과 분리된 자발적인 창조적인 에너지를 띤 추상적인 대상도 아니며, 오브제 빔과 오브제 빔 사이의 차이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감정과 정신을 드러내는 데에 있는 것이다. 그것은 이들 이론에 의하면 빛이 일곱 가지 색채를 내재하고 감정과 생각들은 진동을 통해 차별화되는 색채들과 동일한 실체이기 때문이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expound man, the universe, and substance, the concepts Itzhak Bentov(1923-1979) describes in his mental science in connection with H. P. Blavatsky`s theories and theories succeeding to Blavatsky`s, and elucidate Bentov`s notion of substance opposite to that of Michael Talbot(1953-1992). This is also intended to explain briefly the difference of the concepts of holographic art clarified by holographic art theoreticians and the notions defined in modern theosophy. According to theories of Blavatsky and modern theosophy that are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Bentov`s mental science, man and the universe are the substances engendered through “vibrations with consciousness” (trinity character). According to their theories, spirit and matter are one-and-the same substance, and this substance is the matrix of all humans and things in the universe through vibrations. That is to say, man and the universe are the real derived from substances through vibrations. Human consciousness is the substance in the seven-fold structure the planets in the seven-fold structure divide through trinity. Human thought and sensibility work through the astral body and mental body in the humanity`s seven-fold structure(physical body, ether body, astral body, lower mental body, higher mental body, buddhic body, atma body).According to Itzahk Bentov succeeding to the theories of Blavatsky and modern theosophy, the human memory does not work on the holographic principle in a physical brain, as Michael Talbot claimed but function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ental body. For Bentov, human consciousness does not work through a physical brain(object beam) but functions through mental brain(object beam) modified from the reference beam. According to Itzhak Bentov, man and the universe operate, anchored to the principle of hologram, not hologram itself as Michael Talbot claims. That is, for Bentov, substance is the reference beam while man and the universe are the object beams. Bentov explains the object beam has to be in a repetitive cycle(the cycle of transmigration) on the principle of karma, the principle of cosmic balance when this becomes one with the reference beam. In other words, for Bentov who embrace Blavatsky`s theories and modern theosophy, man and the universe pertain to the object beam divided from substance through an attribute of trinity of the substance. Bentov also explains that man and the universe are a process of cognizing themselves through experience when the reference beam of substance is divided into the object beam. According to modern theosophy theorists, holographic art is neither the abstract objects with spontaneous creative energy in which light separates from human spirit nor any revelation of the gap between object beams. This aims to reveal human emotion and spirit. That is why seven colors are innate in light, and feelings and thoughts are identical with the colors differentiated through vibrations according to their theories.

      • KCI등재후보

        색채와 의식 -20세기 초의 신지학이론을 중심으로

        조관용 ( Kwan Yong Ch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09 예술과 미디어 Vol.8 No.1

        색채는 신지학에서 절대의식이 정신과 물질로 분화되면서 생성된 것으로서 의식의 일부를 이루는 것이다. 색채는 신지학에 의하면 절대의식이 분리되는 순간 분화되어 나온 것으로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여 일곱 빛깔의 색으로 분리되듯이 정신과 물질도 동전의 앞 뒷면과 같이 일곱 개의 층위로 분리된다. 또한 각각의 층위는 각 의식에 상응하는 에너지의 파장을 가지고 눈에 보이는 물질세계에서도 그렇듯이 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세계에 이르기까지 무지개와 같이 일곱 빛깔의 색채의 층위를 이루며, 각각의 의식 상태를 지니며 작용하는 것이다. 생각과 감정은 색채의 질과 형태를 띠며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물질적인 사물로서 시공을 넘어 사방으로 방사되며 자신은 물론 타인에게도 영향을 주는 것 이다. 그것들은 물질계와 마찬가지로 우주에너지의 분산법칙에 의해 카르마의 법칙에 지배를 받는 것이 다. 카르마는 행위나 감정의 구속이 아닌 절대의식이 분화되어 의식의 진화를 통해 자각을 이루기 위한 우 주의 법칙인 것이다. 물질은 에테르의 거품을 통해 형성된 일종의 전자로서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의 요 소들과 함께 감응하며 순환하는 결정화된 빛이며, 우 리의 자아 또한 절대의식이 분화되는 순간 물질의 원 자들과 함께 제2로고스의 생명의 활력을 받으며, 제1 로고스의 분신인 모나드와 함께 개체화된 개별적인 의식들로서 진화를 통해 근원에서는 물질과 동일한 실체인 것이다. 정신과 물질이 절대의식으로부터 분화되어 의식의 진화를 통해 자각해 간다는 하나의 상징물로서 인간 의 인체에 있는 꼬리뼈에서부터 정수리에 이르는 일 곱 개의 차크라의 색채들은 이를 입증하는 것이다. 색 채는 신지학에 있어서 정신과 물질이 하나인 절대의 식이 생명을 지닌 의식체로 분화해가는 데에 있어서 형태와 질을 결정하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것이다. 색채는 물질이면서도 정신의 속성을 지닌 것으로 우 리의 의식 상태를 가늠할 수 있는 하나의 나침반이 되는 것이다. In theosophy, color is created when Absolute consciousness is divided into mind and matter, and forms part of our consciousness. Just as light is divided into seven colors when passing through a prism, mind and matter has seven layers like the two sides of a coin. Each layer has the waves of energy corresponding to each consciousness, forms the seven layers of rainbow colors in the range of visible or invisible material worlds, and operates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Thought and emotion take on the quality and form of color. They are not abstract but material things, being radiated toward the four directions beyond space and time. Influenced by themselves of course, and the others, they are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dispersing cosmic energy and karma. Matter is not a particle occupying a post in space, but an electron formed through absolute consciousness and luminiferous ether, light-bearing, crystallized ether that responds to the elements of external light. Seven major chakra colors, believed to exist in the human body from the forehead to coccyx are thought of as the symbols to which the principle of the Trinity is applied. When humans are in a complete balance or reach their full consciousness, the chakra is in full blossom, and the colors of an aurora turn to white by incorporating all hues. Anyway colours have an attributes of matter and mind and are an compass which mesures the states of our consciousnes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나라자다사의 "원형"의 의미와 예술의 개념

        조관용 ( Kwan Yong Ch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3

        이 논문은 지나라자다사(C. Jinarajadasa)의 원형의 의미와 예술의 개념을 다루고 있다. 지나라자다사의 원형 개념은 블라바츠키(H.P. Blavatsky)의 신지학 이론을 계승하여 근원적인 실체를 예술의 행위를 통해 인식하고 자각하는 데에 있다. 지나라자다사의 원형 개념은 융(C. G. Jung)이나 엘리아데(M. Eliade)와 같이 플라톤의 이데아의 개념을 계승하고 있으나 융의 원형 개념이나 엘리아데의 원형개념과는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 지나라자다사의 원형 개념은 ``인간 의식의 근원적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는 융의 원형 개념이나, 또는 ``원초적인 시간(illud tempus)속으로 투사된 신화적 모델을 제의를 통해 반복``하는 엘리아데의 원형 개념과는 다르다. 다시 말해 지나라자다사의 원형 개념은 ``의례와 재현``을 통해 인간의 근원적 의식을 자각하는 융의 원형 개념이나, 또는 제의를 통해 ``신화적인 모델을 반복``함으로써 자신의 근원적 실체를 자각하는 엘리아데의 원형 개념은 아니다. 그리고 융의 원형 개념과 같이 인간의 의식으로 경험될 수 없거나, 또는 포착되지 않는 실체는 아니다. 지나라자다사의 원형의 개념은 블라바츠키의 신지학의 이론에서 정의하는 ``근원유형``의 개념을 의미하며, 물질적으로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지만 잠재적으로 자연의 모든 것을 생성시킬 수 있는 공간이 지니고 있는 사유이자 상념을 의미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그의 원형 개념은 인간이 창조자의 사유이자 상념을 자신을 통해 구현시킴으로써 자신의 근원적 실체를 인식하는 행위이다. 예술의 행위는 지나라자다사에게 예술의 매체를 통해 원형을 계시하는 것이며, 그럼으로써 자아의식을 진화시키는 것이다. 진화는 그에게 생물학적인 발전이나 의식의 상승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초월적인 세계의 것을 현실에서 내재화시키는 것, 즉 자기 자신이 지닌 신성을 해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나라자다사는 예술의 장르를 시간 예술과 공간 예술로 구분하고, 시간 예술은 드라마와 시와 음악으로, 공간 예술은 회화, 조각, 건축으로 나누고 있다. 시간 예술은 표현 방식에 있어서 드라마에서 시로, 시에서 음악으로 발전하며, 공간예술은 회화에서 조각으로, 조각에서 건축으로 발전한다고 말한다. 또한 각 예술장르는 시간과 공간으로 표현하는 매체에 따라 차이를 지니고 있을 지라도 원형의 개념을 중심으로 서로 상호 작용을 한다고 말한다. ``드라마``와 ``회화``는 그에게 ``사건``을 중심으로 성격으로 인해 일어나는 ``행동``의 전형적인 유형을 계시한다는 점에서 서로 상호성을 지니고 있으며, ``시’와 ‘조각``은 시가 상상력의 재료로부터 이미지에서 이미지를 조각한다는 점에서 서로 상호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음악과 건축은 괴테와 레싱이 건축이 ‘결빙된 음악’이라고 한 것처럼 음악은 율동을 통해 원형을 계시하며, 건축은 음악적인 율동의 느낌을 공간에서 물질적으로 구축을 함으로써 원형을 계시하는 것이다. 지나라자다사의 원형의 개념은 블라바츠키의 신지학의 이론을 계승하여 발전시킨 개념으로 인간의 근원적인 실체를 인식하고자 하는 융의 원형 개념이나 또는 제의를 통해 신화적인 모델의 행위를 반복하는 엘리아데의 원형 개념이 아니라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의 모든 사물들의 보편적인 특성을 의미하는 원형 개념이다. 인간은 지나라자다사에게 예술의 행위를 통해 원형 개념을 계시하는 데에 있으며, 그럼으로써 자기 자신 안에 내재한 신성의 개념을 발견하고 인간과 자연의 모든 사물들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신성의 개념을 자각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into the import of archetype and the concept of art by C. Jinarajadasa. His notion of archetype, succeeding H. P. Blavatsky’s theosophical theories, is to perceive and realize underlying substance through artistic action. Like Carl Jung and MirceaEliade, his concept of archetype inherits Plato’s notion of Idea, but it also differs from those of Jung and Eliade. That is, his concept of archetype is different from that of Jung, for whom it was to "grasp the elemental nature of human consciousness", and that of Eliade, for whom it "repeats a mythic model projected into primal time through rituals". In other words, his concept is not like the notion of Jung, to perceive humanity’s elemental consciousness through "ritual and representation", or the notion of Eliade, to perceive one’s underlying substance through a repetition of "mythic models"through rituals. Unlike that of Jung, his concept is also something humans experience or capture through their consciousness. Jinarajadasa’s concept means the notion of "prototype" Blavatsky defines in histheosophical theories, and also refers to thought and conception of space in which nothing exists physically but creates all in nature. In other words, his concept of archetype is an act of perceiving humanity’s elemental substance by embodying the Creator’s thought and conception through himself. To C. Jinarajadasa, an artistic act is to reveal the archetype through the media of art and evolve one’s self-consciousness by doing this. Evolution does not mean any biological progress or ascending of consciousness but internalization of the transcendental in reality or emancipation of one’s divinity. Jinarajadasa classifies the genres ofthe arts into two categories: the temporal arts, such as drama, poetry, and music, and the spatial arts, such as paint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He explains that the temporal arts develop from drama to poetry, poetry to music, whereas the spatial arts from painting to sculpture, sculpture to architecture. He also mentions that each genre of the arts interacts at the center of the concept of archetype while they have differences in expressive mediums. To him, drama and painting are correlated in that they present typical types of actions deriving at the center of "incidents". And poetry and sculpture are also correlated in that they sculpt images with the material of imagination. As Wolfgang von Goethe and Gotthold Ephraim Lessing defined architectureas "frozen music", music presents the archetype through rhythm, and architecture implies the archetype through a physical construction of musical rhythms in space. Jinarajadasa’sconcept of archetype, succeedingand developing Blavatsky’s theosophical theories, is the notion of the archetype referring to the universal features of all objects in nature. To Jinarajadasa, humans reveal the concept of archetype through their artistic actions, thereby discovering the concept of divinity within them and realizing that they remain inseparable from all objects in nature.

      • KCI등재후보

        블라봐츠키와 루돌프 스타이너의 색채론의 비교

        조관용 ( Kwan Yong Ch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1

        이 논문은 블라봐츠키의 신지학의 색채론과 루돌프 슈타이너의 색채론의 차이를 연구하는 데에 있다. 루돌프 슈타이너의 색채론은 블라봐츠키의 신지학의 영향을 받았지만, 블라봐츠키의 신지학과는 다른 색채론의 체계를 지니고 있다. 블라봐츠키의 색채론은 ``진동과 의식의 진화``를 통해 물리적 세계를 넘어서 무한히 열려 있는 색채를 인식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루돌프 슈타이너의 색채론은 ``운동과 상상력``을 통해 물질 이면에 존재하는 내적인 실체를 체험하여 자아의 본질을 인식하는 체계를 지니고 있다. 색채는 블라봐츠키에게 의식을 내재하고 있으며, 진동을 통해 생성되어 나와 인간과 우주를 구성하는 본질적인 요소이지만 루돌프 슈타이너에게 인간과 자연의 이면에서 움직이고 있는 내적 실체들을 반영하는 이미지로서 상상력을 통해 색채의 이면에 있는 내적 실체를 인식함으로써 인간의 고차원적인 인식을 획득할 수 있는 매개체와 같은 것이다. 검은 색과 흰색은 블라봐츠키의 색채론에서 우주에서 실재하지 색채이지만 물리적인 세계에서 만들어낸 색채이지만, 루돌프 슈타이너의 색채론에서 검은 색과흰색은 인간의 본질적인 자아인 영혼의 실체를 상징하는 이미지이다. 일곱 개의색채는 블라봐츠키에게 공간이 지니고 있는 3중성의 성질을 통해 생성되어 나온7중의 존재구조와 동일한 대응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인간은 자신의 7개의 신체의식 구조를 이루고 있는 색채의 성질과 기능을 통해 태양계의 7개의 행성로고스들을 비롯하여 태양과 우주의 생성원리와 작용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루돌프 스타이너의 색채론의 체계는 일곱 개의 색채 이외에도 검은색과흰색, 살색을 추가하여 10가지의 색채의 체계를 지니고 있다. 검은색과 살색은죽음과 인간의 혼의 이미지를 상징하며, 흰색과 녹색은 인간의 영과 자연의 생명을 상징하고 있다. 검은색과 살색은 그에게 하나의 짝을 이루고, 흰색과 녹색은짝을 이루어 위와 아래의 대립된 색채의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좌우로 정신이 외부로 향하는 색채들과 정신이 내부로 향하는 색채들의 대립 구도를 이루며, 색채들은 인간의 영혼의 운동을 드러내는 이미지로 작용한다. 색채는 블라봐츠키에게 사유와 함께 진동을 통해 생성되어 나와 의식을 내재하고 실체로서 인간의 의식 진화를 통해 무한히 인식할 수 있는 것이지만, 루돌프슈타이너에게 상상력을 통해 색채 이면에 있는 실체들로 인식을 확장함으로써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있는 요소를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해 색채는 블라봐츠키에게 블라봐츠키와 루돌프 스타이너의 색채론의 비교 131의식의 진화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요소이지만, 루돌프 슈타이너에게 상상력을 통해 그 이면에 있는 실체를 인식할 수 있는 매개체인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chromatics asserted in H. P. Blavasky`s theosophy and chromatics by Rudolf Steiner. Steiner`s chromatics was influenced by Blavasky`s theosophy, but has its independent system of chromatics. While Blavasky`s chromatics stresses that infinitely open colors are perceived through the "evolution of vibration and consciousness" beyond the physical world, Steiner`s chromatics asserts that the true nature of the self can be perceived through experience of inner substance existing on the hidden side of material through "movement and imagination". For Blavasky, color has its own consciousness and is an elemental factor consisting of myself and the universe, shaped through vibrations. For Steiner, color is like the image reflecting inner substances moving on the hidden side of man and nature, and a medium to attain a high level of perception, realizing inner substances hidden in color. While black and white in Blavasky`s chromatics are colors that are nonexistent in the universe and made in the physical world, these colors in Steiner`s chromatics are symbolic of humanity`s elemental self, the true nature of the soul. For Blavasky, the seven colors are in corresponding relation with the seven-fold structure of existence deriving from trinity. We humans are able to understand the seven planetary logos in the solar system and the generative principle and operation of the sun and the universe through the property and function of the colors, thus forming our seven structures of the body and consciousness. On the contrary, Steiner`s chromatics comprises 10 colors adding black, white, and skin color to the seven colors. Black and skin color are symbolic of death and the soul, and white and green of the soul of man and the life of nature. Like black and skin color, white and green form the system of contrasting colors in pairs. Colors toward the inside of the spirit and colors toward the outside of the spirit are in a dichotomous composition from side to side, working to unveil the movement of human souls. For Blavasky, color is the substance inherent in myself and consciousness and engendered through vibrations along with thought, and can be perceived through the evolution of human consciousness while for Steiner, the true nature of color can be grasped by expanding our perception to the substances behind color through imagination. That is, for Blavasky, color is an element perceived through the evolution of consciousness whereas for Steiner, it is a medium to enable us to perceive the substance hidden behind color through imagination. For Steiner, the experience of colors is an act of perception imparted with spiritual nature on the hidden side of things whereas for Blavasky, our perception of colors is limited unless our consciousness is evolved.

      • KCI등재

        음폐수 이용 혐기성 소화의 내부 pH 조절에 따른 바이오가스 전환율 비교 및 미생물 군집도 분석

        윤여명(Yeo Myeong Yun),시경(Si Kyung Cho),정다영(Da Young Jeong),이은진(Eun Jin Lee),관용(Kwan Yong Huh),신동혁(Dong Hyuk Shin),이창규(Chang Kyu Lee),신항식(Hang Sik Shin)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8

        본 연구에서는 음폐수를 이용 낮은 유기물 부하율에서 소화조 내부 pH 조절 유무에 따른 소화조 운전의 바이오가스 발생량 및 미생물 군집도 변화에 대한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내부 pH를 조절하지 않은 반응조는 pH, Free ammonia, Volatile fatty acid의 증가에 의한 반응조 안정성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내부 pH 조절 반응조와 비슷한 바이오가스 전환율을 보였다. 이는 미생물 군집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부환경에 대한 내성이 강한 Methanosarcina sp.의 우점에 의해 반응조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and microbial community of anaerobic digestion fed by food waste leachate at low organic loading rate were investigated with and without internal pH contro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imilar biogas yield was achieved in both reactors regardless of increase in pH, the concentrations of free ammonia and volatile fatty acids in case of without internal pH controlled one. The results of a methanogenic community analysi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revealed that the apparent preponderance of Methanosarcina sp. could be one of reasons for the maintenance of reactor stabi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