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중증장애인 의료형 단기입소서비스 분석 연구

        정희경 ( Chong Hee Kyong ),최복천 ( Bogcheon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최근 우리나라의 장애영역에서 복지와 의료를 통합하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 보건복지의 통합돌봄형태인 의료형 단기입소시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달성을 위해 Gilbert & Terrell의 분석틀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할당에서 서비스 대상은 전연성의식장애가 있는 사람과 기관절개로 인공호흡기를 착용하여 상시 의료적 케어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급여는 간호사와 그에 준하는 의료관계자에 의한 서비스와 복지서비스 제공이다. 전달체계는 진료소나 병원, 그리고 노인보건시설과 중증장애인(아동)시설등이 있다. 재정은 기본적으로 세금과 자기부담금으로 충당되며, 부족한 운영비는 각종 가산금으로 해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특별가산금을 확대하는 등 의료적 케어가 필요한 장애인들도 단기입소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integrated service of welfare and medical treatment grabs attention in the disability area of Korea. Thu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for Korea by analyzing the medical short stay facilities that is the integrated care type of health and welfare in Japan. To achieve the objective, this study utilized the Gilbert & Terrell’s analysis fram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allocation, the service recipients are people in vegetative state and people who constantly need medical care by wearing a ventilator after tracheotomy. The benefit is to provide welfare service and service by nurses and medical personnel. In the delivery system, the service is provided by clinics, hospitals, health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facilities for the severely disabled. The financial resources are basically tax and self-payment, and the deficient operating expenses are covered by all sorts of surcharges. Korea should also seek for the measures in which the disabled in need of medical care could use the short stay facilities, by expanding special surcharge.

      • KCI등재

        루게릭장애인 원스탑지원서비스 개발연구 – 한일사례연구 -

        정희경(Hee-Kyong Cho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ALS(루게릭)장애인의 병진행 단계에 따른 원스탑지원서비스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목적달성을 위해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다중사례연구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과 일본의 루게릭장애인의 일기, 블로그, SNS, 유트브, 그리고 인터뷰 등을 통해 양국의 지원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루게릭병 발병단계에는 한국루게릭협회와 같은 당사자 조직에 루게릭질환을 경험한 사람이나 가족에 의한 동료상담가를 배치하여야 한다. 연화장애단계에서는 위루술시술 후 소독과 경관식투여와 같은 의료적 처치를 위해 방문간호사의 재택방문횟수가 늘어야 하며, OT,PT에 의한 재택서비스가 필요하다. 호흡장애의 단계에서는 인공호흡기의 착용과 거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호홉기착용단계에서는 루게릭전용활동지원인의 양성과 파견이 필요하다. 또한 주 부양자를 위한 가족쉼터나 루게릭장애인 당사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단기보호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이러한 서비스는 단계별로 연계성 있는 원스탑지원서비스가 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one-stop support service for the ALS. To achieve the purpose, the cases of Korea and Japan were researched. The data used in the multiple-case study mainly referred to diaries, blogs, social networking sites, Youtube, and interviews of the disabled with ALS disease in Korea and Japan, and analyzed support services of both countri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in the onset stage of ALS disease, a fellow counselor should be assigned by family member or person who experienced the disease from KALSA or other organizations to which a patient belongs. Also, it need a counseling by fellow counselor in the stage of softening disability. And after the gastrointestinal procedure, the number of home visits by visiting nurses should increase, and other services by OT and PT are required. In the stage of wearing a respirator, it needs to train and dispatch volunteers for ALS exclusive activities. And it is necessary to set up a family rest area or a respite service for the mentally and physically exhausted primary caregiver by long-term care. Most of all, these services should be one-stop support with linking step by step, not fragmentary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