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회교육 담당교사의 경험과 인식

        정효철(Jeong Hyo 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This study focused on w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through itinerant education and how experience changes the behavior of these teachers and what kind of awareness they hav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0 itinerant education teachers in public elementary school in Chungcheongnamdo and interview time was about 30 minutes to an hour. The result of study, participates recognized there is little to show for the hard work. and they can lose chance to adjust to school. Moreover, they said itinerant education is hard to run because of government s lack of support and personal professionalism. In conclusion, they said itinerant education has a lot of problems and should be reformed structurally and operationally. However, itinerant education is an effective policy and fo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y said it can be useful in integrated education. 본 연구는 일반초등학교 특수학급에 근무하며 순회교육을 실시하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순회교육을 통하여 경험하는 것은 무엇이며 경험은 이들의 행동에 어떤 변화를 주고 어떤 인식을 갖게 하는지에 대하여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 남도에서 분리교육형 순회교육을 담당하는 공립 초등학교 특수교사 10명으로 면담 시간은 약 30분에서 1시간정도 소요되었다. 연구결과 면담참여자들은 자신의 노력 만큼 순회교육의 성과가 높지 않으며 순회교육으로 인해 학교에 적응할 수 있는 기 회를 놓칠 수 있다고 인식했다. 또한 정부의 지원과 개인적 전문성이 부족하여 순회 교육을 적절하게 운영하기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끝으로 순회교육은 구조적·운영 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문제가 많지만 순회교육은 효과적인 정책이며 특수교사로서 보람을 느낄 수 있는 통합교육정책으로 인식했다.

      • KCI등재

        예비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보조원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정효철(Jeong Hyo 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특수교사들이 특수교육보조원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이들의 관점을 통해 특수교육보조인력정책에 대한 개선점을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6주간 충청남도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예비 특수교사들 12명을 선정하여 면담을 통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보조인력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지만 지금의 특수교육보조인력의 배정방침에 대해서 강한 심리적 부담을 나타냈다. 면담참여자들은 이러한 심리적 부담은 ‘나이 차이’, ‘단체행동’, ‘특수교사가 겪는 어려움’ 등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며 자신들만의 전략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이에 연구자는 특수교육보조인력 관련자 간 갈등해결을 위해 갈등 관리 연수시스템 개발을 요구하며 본 정책의 구체적 내용 및 방침이 예비 특수교사에 전달될 수 있는 교육과정의 행정적 설계를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s of the special education assistant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service special teachers about how they understand the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To do this, qualitative analysis using interviews was investigated. 12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were selected as interviewee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dicated that although pre-service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special education assistant policy, they expressed strong emotional burdens in terms of current practice of allocating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The interview participants claimed that these emotional burdens are related to age gap, group actions of assistants, and difficul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owever they attempted to settle the problems with their own strategies. In this regard, I assume that the problem of the special education assistant policy is the conflict within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authorities. To solve this, a conflict managing program system is required and also university’s administrative plan is needed to add curriculum conveying specific details of the special education assistant policy to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과정을 수정하는 특수교사와 통합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정효철(Jeong Hyo-Chul),전혜인(Jeon Hae-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과정을 수정하는 특수교사와 통합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를 분석 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충청남도 공립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 10명과 2학기 이상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지도한 통합교사 10명, 특수교사 경력 10년 이상의 초등학교 교장 2명을 선정하며 8주간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먼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특수교사와 통합교사는 의욕적으로 협력했고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의 인식 역시 매우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이들은 이전 교사의 교육과정 수정을 그대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며 효과적인 통합교육 교육과정은 실시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인식을 보여줬다. 다음으로 정부에서 제공하는 통합교육 교육과정 수정 프로그램은 통합교육 현장에 적절하게 활용되지 않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끝으로 학생 수의 감소에도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내용 교과의 교육과정 운영은 효율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결론 그러므로 지금까지 집중했던 교사 간 협력적 관계 개선, 교육과정 운영 및 수정 연수 등의 연구에서 벗어나 현장 중심적인 교수적 수정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며, 더불어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특수교육대상학생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을 제안한다. 후속 연구로는 내용 교과가 통합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이유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instructional modification on the teaching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is practiced in the integrated education field based on examination of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education class teachers working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Methods To this end, 10 special teachers working at Chungcheongnam-do public elementary school, 10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coached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for more than two semesters, and two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special education were selected. And I did a qualitative research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em for eight weeks. Result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special and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attempted strong motivation and official cooperation for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y almost copied the curriculum of predecessors. It also showed that the instructional modific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will not be effective in the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Next, the instructional modific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is not properly utilized in the integrated education field. So they strongly argued that a separate program was needed to solve this. Finally, even with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the instructional modifica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content subjec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not done efficiently. Conclusions Therefore, we should stop the research of improving teacher cooperation and formal instructional modification that we have focused on so far. And I suggest that instructional modification study should be conducted closely with the special education class. I also propose to introduce a machine learning program to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why subjects other than Korean and math are not operated efficiently i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전혜인(Hae-In Jeon),정효철(Hyo-Chul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은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주어지는 역할인데,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 경험 및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제안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을 모색하고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력 15년 이상의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면담은 일대일 심층면담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을 전사본으로 작성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대주제 6가지와 하위주제 12가지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대주제와 하위 주제는 다음과 같다; 교사마다 다른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적용의 어려움, 부족한 지원체계, 전문적 자질 문제, 통합학급에서 더 어려운 특수교육 교육과정, 통학학급 교사의 매일의 고민. 논의에서는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며 제언하였다. In special educati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is a role given to special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there are prior studies that many teach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s and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s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special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difficulties and suggestions in operating the curriculum.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pecial and integrated teachers with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and 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fter all the interviews have been prepared in full-length versions, the analysis has resulted in six major subjects and twelve subtopics; each teacher has different curriculum operations,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curriculum, insufficient support systems,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nd daily concerns of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In the discussion,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s for students and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curriculum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presented and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