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ML (Anatomic Medullary Locking) 인공관절 삽입물을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 -최소 7년 이상 추시-

        신헌규 ( Hun Kyu Shin ),최재열 ( Jae Yeol Choi ),정화재 ( Haw Jae Jeong ),임종준 ( Jong Joon Lim ) 대한고관절학회 2009 Hip and Pelvis Vol.21 No.4

        Purpose: To evaluate the long-term results (minimum 7 Years` follow-up) of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an Anatomic Locking Medullary (AML) hip prosthesis. Materials and Methods: Fifty-one patients (57 hips) underwent total hip arthroplasty between January 1995 and July 2002. They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of seven years (7.1 to 14.6) after the initial operation.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6.8 years. The radiographs were reviewed and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Harris hip score improved from 52.4 points preoperatively to 88.2 points postoperatively. Of the 40 hips showing a good press-fit, 29 hips (72.5%) exhibited bone ingrowth fixation. Of the remaining 17 hips with a poorer press-fit, 7 hips (35.3%) showed bone ingrowth fixation and 6 hips (35.3%) had unstable fixation. Of the 36 hips showing bone ingrowth fixation, 28 hips (77.8%) exhibited stress mediated bone resorption. On the last follow-up radiographic examination, osteolysis occurred around the femoral stem and acetabular cup in 21 (36.8%) and 6 (10.5%) hip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of cementless AML total hip arthroplasty were acceptable up to 7 years but polyethylene wear and osteolysis should be followed carefully over the long term.

      • KCI등재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술시 오구 쇄골 인대 봉합의 필요성

        김유진(Eugene Kim),신헌규(Hun-Kyu Shin),정화재(Haw-Jae Jeong),최재열(Jae-Yeol Choi),박세진(Se-Jin Park),최규보(Kyubo Choi),임종준(Jong-Jun L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오구 쇄골 인대를 봉합하지 않고 견봉 쇄골 관절의 관혈적 정복만 시행한 환자군에서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7년까지 변형 Phemister 술식과 갈고리 금속판 (AO hook 금속판, Wolter 금속판)을 사용하여 견봉 쇄골 관절 탈구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삽입물 제거한 5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변형 Phemister 술식을 사용한 군이 21명, 갈고리 금속판을 사용한 군이 32명 이였다. 임상적 평가는 Constant score를 이용하였으며, 양측 쇄골과 오구돌기 사이의 수직거리를 비교하여 방사선적 평가를 하였다. 결과: Constant score는 변형 Phemister 술식을 사용한 군에서는 87.59±7.8, 갈고리 금속판을 사용한 군에서는 89.35±5.3로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두 군에서 수술 전 손상 부위의 쇄골 오구돌기의 평균 거리는 15.9 mm 이였으며, 건측 견관절은 평균 8.0 mm 이였다. 갈고리 금속판 환자군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평균 1.0 mm, 변형 Phemister 환자군에서는 평균 1.2 mm 의 수직 전위가 관찰되었으며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오구쇄골 인대를 복원 하지 않은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은 양호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였다. Purpose: We evaluate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fo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without coracoclavicular ligament repair after removal of implants.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obtained for 53 patients who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n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between 1998 and 2007. A total of 21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modified-Phemister method and 32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Hook plate method. All subjects were surveyed after removal of their implants. The Constant scoring system was administered postoperatively to evaluate clinical results. Radiologic outcomes were evaluated by both coracoclavicular intervals on plain films. Results: Constant scores were 87.59±7.8 in the Phemister group and 89.35±5.3 in the Hook plate group. For both groups, the mean coracoclavicular interval at preoperative radiography was 15.9 mm at the injured site and 8.0 mm at the opposite site. After metal removal, the mean difference between coracoclavicular distances between normal and injured sites were 1.0 mm for the Hook plate group and 1.2 mm for the modified Phemister method group (p>0.05). Conclusio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an acromioclavicular joint without coracoclavicular ligament repair shows good long-term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 KCI등재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에서 두 가지 갈고리 금속판의 임상적 비교

        최재열(Jea-Yeol Choi),김유진(Eugene Kim),정화재(Haw-Jae Jeong),안진환(Jin Whan Ahn),신헌규(Hun-Kyu Shin),박세진(Se-Jin Park),이승희(Seung-Hee Lee),이재욱(Jae-Wook Lee),최규보(Kyu-Bo Choi)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2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5 No.2

        목적: 견봉 쇄골 탈구의 수술적 치료에서 갈고리 금속판의 견봉측 고정장치 (acromial locking system)가 유용한지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견봉측 고정장치가 있는 Wolter 금속판과 그것이 없는 AO hook 금속판 두 가지 방법의 임상적 결과와 합병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Rockwood 분류 III-V형의 견봉 쇄골 관절 탈구로 수술한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Wolter 금속판을 이용하여 수술을 한 환자 39명, AO hook 금속판을 이용한 환자가 32명이었다. 술 후 평가는 Constant-Murley 평가 지표를 이용하여 수술 후 약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에 관절 기능을 점수화하고 운동범위를 측정하였으며 금속판과 골의 방사선적 합병증을 조사 하였다. 결과: 수술 후 1년 추시 Constant-Murley score는 Wolter 금속판 85.2±5.3점, AO Hook 금속판 83.2±6.8점으로 유의한 차이 없이 우수하였다. 운동범위는 수술 후 1개월 및 3개월에서 Wolter 금속판의 운동 범위가 유의하게 높게 호전 되었으나 6개월 이후에는 AO hook 금속판과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Wolter 금속판은 4예에서 방사선상 나사못의 이완 및 파열이 나타났으며, AO hook 금속판은 7예에서 견봉하 골용해 소견과 금속판 주위 골절이 나타났다. 결론: 견봉측 고정장치 유무에 상관없이 두 가지 수술 방법 모두 장기적인 임상 결과는 우수하며,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되나 견봉측 고정장치가 없는 AO hook 금속판이 수술 후 초기에 관절운동 제한이 더 많이 관찰 되었으며, 견봉의 골용해도 많았다. 그러나 Wolter 금속판은 큰 절개가 필요하다는 등의 단점이 있고 나사못의 이완 및 파열, 견봉 골절 등이 나타날 수 있어 두 방법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Objective: To evaluate if acromial locking in hook plate is necessary for surgical treatment of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by compare Wolter plate and AO hook plate. Methods: Seventy one patients who have Rockwood type III to V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treated with AO hook plate and Wolter plate were involved. Among them, 39 patients were treated with Wolter hook plate and 32 patients with AO hook plate. The Constant-Murley score and the range of motion of shoulder joint were measured on postoperative 1<SUP>st</SUP> , 3<SUP>rd</SUP> , 6<SUP>th</SUP> and 12<SUP>th</SUP> months, and the radiological complications involving plate and bone were investigated. Results: Constant-Murley score of postoperative one year were 83.2 6.8 in AO hook plate group and 85.2 5.3 in Wolter plate group without statistical difference (p<0.05). Faster recover of forward elevation and external rotation were examined in Wolter plate group at first and third months after surgery than those of AO hook plate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fter six months or later after surgery. Four cases of loosen or broken screws and one case of pull-out of plate were found in Wolter plate group. Seven cases of subacromial bony erosion and one periprosthetic fracture were found in AO hook plate group. Conclusion: Although clinical outcomes of both two methods were same, no matter if acromial locking system was or not. More radiological complication of plate and bone were found in AO hook plate than that of Wolter plate. However also had disadvantage like larger incision during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