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인가구의 품목별 소비지출 분석

        박문수(Park, Mun-Soo),정호근(Chong, Hogun),김화년(Kim, Hwa-Nyeon),고대영(Koh, Dae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토빗모형을 이용하여 1인가구의 소비패턴이 연령별, 소득별로 얼마나 다른지 추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2006년부터 2012년까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의 지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추정결과, 음식료품, 주거 및 수도광열, 통신 지출 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1인가구의 소득탄력성은 1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품목별로 다른 소비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했 다. 또한 1인가구의 품목별 소득탄력성은 연령별, 소득별로 크게 차이를 보였다. 향후 1인가구의 관련 정책 또는 기업의 전략 을 수립할 때 연령별, 소득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기업은 1인가구 중 고소득 미혼자 그룹 등 구매력이 큰 소비자의 소비를 이끌어내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1인가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음식료품이나 에너지 등과 같은 필수재 구매 비중이 줄어들고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1인가구 증가에 따른 보건, 의료, 기사지원 등 서비스 시장 확대에 대비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single-person household expenditure patterns are different with respect to age and income groups using Tobit model. The expenditure data of the national household survey from 2006 to 2012 were used. The results show that income elasticities of all items are greater than 1 except for food & beverage, housing, water, electricity & gas, and Communication. Income elasticiti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nsuming items. Additionally the income elasticities are also different between various age and income group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governments and businesses have to take this into account when devising their policies or strategies regarding single-person households. Especially, businesses need to adopt a strategy targeted at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high income and buying power such as unmarried professional people. A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 increases the proportion of expenditures on necessities such as beverage, food, and energy is expected to decrease while that on services increases. Consequently policy responses are required to prepare for the expansion of service industries such as health, hospital, and housekeeping services.

      • KCI등재

        가구특성에 따른 소비지출행태 분석

        박문수(Park, Mun-Soo),정호근(Chong, Hogun),고대영(Koh, Daeyoung),이경희(Lee, Kyung-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9

        본 연구에서는 Price-Scaling AIDS 모형을 바탕으로 가구별 특성의 차이가 소비지출 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서비스 품목들의 소득탄력성은 비서비스 품목들의 소득 탄력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나 향후 가구소득이 늘어날 경우 서비스 품목들에 대한 더 큰 수요 증가가 예상된 다. 또한 품목별 가계의 소비지출행태는 연령별, 소득수준별로 상이한 모습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서비스 품목에 대한 지출비중이 높은 전통적인 가계지출구조에서 보건, 교육, 통신 등과 같은 서비스품목에 대한 지출비중이 높은 구조로의 전환이 촉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서비스품목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한 가계소비지출 구조의 변화는 관련 서비스 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서비스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더욱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분야에 대한 잠재수요 및 성장가능성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더불어 해당 서비스 시장의 형성 및 확대와 관련한 공급측의 적절한 대응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differences in household characteristics influence consumer expenditure patterns. The Price-Scaling AIDS model with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come elasticity of the service items is greater than non-service items, indicating an increase in higher demand of service items with the same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The household expenditure patterns vary according to the commodities, holding age and income level. The so-called traditional pattern, which emphasizes spending for non-service items, changed to the one with a higher expenditure ratio for service items. Such a change in household expenditure patterns naturally derives the expansion of the relevant service market; hence, the growth of the related service industry. This highlights the need to formulate an appropriate response from the supply side that deals with the changes in the service market.

      • KCI등재

        APH 기법을 활용한 중장기 산림정책의 우선순위 결정

        박소희 ( Soohee Park ),정호근 ( Hogun Chong ),석현덕 ( Hyun Deok Seok ) 한국산림경제학회 2013 산림경제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산림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장기 산림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산림정책에 대한 우선순위는 4대 기본목표와 9개 핵심전략, 19대 실천과제를 바탕으로 APH기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총 29개의 응담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그 결과 산림분야 전문가들은 산림산업 경쟁력 강화(0.2827)를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선정하였고, 다음으로 지역사회 활성화(0.2765), 산림생태계 보전과 산림환경서비스 확대(0.2465) 산림의 다원적 기능 보상(0.1943)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국민과 임업인 우선순위와 비교하기 위해 핵심전략 수준에서 종합 우선순위를 구한 결과, 임업인 육성 및 지원과 산촌복지 및 일자리 확대 전략이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국민이 산림생태계 보전과 휴양·치유 관련 정책, 임입인이 임산물과 목재생산 관련 정책을 우선시 했던 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이에 산림정책이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수요를 수렴할 수 있도록 협력적인 산림관리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decide the policy priority of long term forest management. After surveying forestry experts, we used 29 data to analyze the priority of forest policies, which have 4 targets, 9 strategies and 19 action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l-IP). According to the forestry experts, it is most important to build the competitiveness of forest industry(0.2827) compared to invigorating local communities(0.2765), conserving the forest ecosystem and expanding environmental services (0.2465) and making compensations for the forest multi-functionality(0.l943) at the target level. And they chose fostering the farmers and improving rural welfare as top priority at the strategy level.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itizens picked the forest conservation and provision of forest service, and that the farmers chose the production of forest products as top priority,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for forest policies among the stakeholders. In order to meet a variety of policy demand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 for forest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