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운동영양학 : 올리고당과 섭취가 훈련된 흰쥐의 혈중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류승필(SungPilRyu),이상직(SangJikLee),정현경(HyunKyungJung),김현국(HyunKookKim),조대승(DaeSungCho),이수천(SooChunLee) 한국체육학회 2001 한국체육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게 4주간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공급하면서 올리고당과 운동을 부하했을 때의 효과 및 올리고당과 운동을 병행했을 경우 지질농도 감소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3주령된 Sprague Dawley계 수컷 쥐 40마리를 구입하여 예비사육기간을 통한 환경적응을 시킨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집단의 구분은 대조군(N)과 실험군으로 나눈 후 실험군을 다시 식이 형태 및 운동유무에 따라 4군(고콜레스테롤 식이군; HC, 고콜레스테롤 식이운동군; HCT, 고콜레스테를+올리고당 식이군; HCO, 고콜레스테롤+올리고당식이운동군; HCOT)으로 구분하였다. 운동부하는 점증적 과부하의 원리를 이용하였으며 경사도 0, 속도 20m/min로 30분간, 5 day/week의 운동을 4주 동안 부하 하였다. 간의 무게는 N군에 비해 고콜레스테롤식이를 섭취한 HC, HCT, HCO, HCOT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간TC, 총콜레스테를, LDL-콜레스테롤의 농도변화는 HC군이 N군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나 HDL-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수는 현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HCT군과 HCO군간에 있어서 혈청 및 간의 성분변화는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HCO군보다는 HCT군이 긍정적인 양상을 보였다. 특히, 중성지방은 HCT군이 HCO군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또한 HCOT군에서 가장 낮은 음식섭취률과 지방량을 보였으며, 지질개선에 있어서 다른 군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혈청 및 간중성지방에서 유의한 차를 보였다. HCT, HCOT, HCO군의 혈청 및 간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은 HC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로부터 지질대사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기능성 물질인 올리고당과 운동을 병행 할 경우 지질농도의 감소효과가 명백하며 고지혈증의 개선에 더욱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ary oligosaccharides and endurance training on lipid metabolism of a rat fed with high cholesterol diet. Fourty Sprague-Dawly male rats 3wks of age were randomly divided into group of one normal diet, four high cholesterol diet containing 1 % cholesterol and 0.25% sodium cholate. They have fed experimental diet for 4wks after familiarization periods.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s were classified into only high-cholesterol diet group(HC), high cholesterol diet-training group(HCT), high cholesterol -10% oligosaccharide diet group(HCO), and high cholesterol-10% oligosaccharide diet-training group(HCOT). They were exercised by treadmill running at 20m/min, 30min/day, 5d/wk for 4week. Changes of the levels of serum and hepatic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in HC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 group(p<0.05). Whereas a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HDL-cholesterol level and atherogenic index was observed (p<0.05). Between HCT group and HCO group, serum and hepatic components in HCT group, althoug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as more positive than that of HCO group. Especially, serum triglycerides in HC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HCO group(p<0.05). HCOT group was the most lowest food efficiency ratio, fat weight and revealed more positive tendency than that of other groups in each lipid parameters. Especi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and hepatic triglyceride(p<0.05). Serum and hepatic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in HCT, HCOT, HCO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HC group(p<0.05). FO thus belongs to the class of nondigestible oligosaccharides. FO feeding, like that of other fermentable dietary fibers, significantly alters the metabolism of lipids in the liver with, as a likely consequence, a reduction in VLDL production. Our data also agrees with previous observations that fermentable dietary fibers, such as pectins, are effective nondigestible carbohydrates that reduce serum and hepatic triglycerides. Fructooligosaccharide also exerted a lipid-lowering action by decreasing cholesterol contents on serum and hepatic tissue with a simultaneous increase of fecal lipi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fructooligosaccharids may be able to act as potential substitution for a dietary fiber exercising a hypocholesterolemic 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