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혼결정 전 상담에서의 분별의 영성: 자기 자신이 되어 가는 여정

        정푸름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3

        이혼결정 전 단계의 상담은 이혼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주 목적인 상담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신중한 분별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단계에서는 충분한 내적/외적 정보를 가지고 판단하도록 도우며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결혼 생활을 재정립하거나 이혼을 대안으로 선택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시기이다. 이혼결정 전 단계에서 이혼을 고려하기 시작하면 자기 자신에 대한 낮은 자존감과 수치심이 발생할 수 있고, 누가 뭐라고 하지 않아도 자신을 책망하고, 사람들로부터 자기 자신을 고립시키며, 외로움과 불안에 압도당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이혼결정 전 단계에 영적 분별 작업을 적용한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기독교인들이 이혼결정 전 단계에서 영적 분별을 통해 심리적으로나 영적으로 최선의 결정을 하도록 도우며, 이혼을 분별하는 이 시간 자체가 하나님과의 관계가 깊어지는데 중요한 영적 과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영적 분별 작업은 이혼결정 과정을 신앙적으로 안내하고 돕는 영적 훈련과정이다. 이혼 여부를 결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점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것은 이 이혼결정이 어떻게 하나님의 뜻하심을 알아가는 과정이 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영적 분별과정이 이혼결정 전 단계에 있는 기독교인들에게 적용되었을 때 이혼 과정은 신중해질 것이며, 영적으로도 건강한 결정이 될 수 있고, 이 과정의 결과는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이 되어 궁극적으로 하나님과 연합의 관계로 성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본론에서는 먼저 신학적인 개념인 자기부인과 심리학적 개념인 자아실현을 비교하며 이들의 상호연관성을 논한다. 이를 위해 영적빈곤과 탈애착이라는 측면에서 자기부인을 살펴보고, 심리치료의 자율성의 개념과 영성지도의 자기부인을 비교한다. 또한 고백적 신학과 작용적 신학, 내재적 신학과 심의신학의 개념을 살펴본다. 본론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분별의 영성을 설명한다. 분별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고, 누가 분별할 수 있으며, 분별의 목적은 무엇인지 논의한다. 세 번째 부분은 이혼결정 전 단계의 상담 사례를 소개한다. 사례를 통해 이혼결정 전 과정의 상담이 어떻게 분별의 영성과 접목되어 문제의 본질로 귀결되었는지 설명한다. 그 다음 사례에 대한 논의로 마무리된다. The purpose of pre-divorce counseling is to make decision whether to divorce. In order to satisfy this process, a careful discernment is required. Decisions should be made upon thorough information, which will allow the person to actualize what the real problem is and make discernment whether to reestablish marriage or accept the reality that divorce may be an another option. When a person is in the pre-divorce stage, one can suffer from low self-esteem, shame, self-blaming, isolation, loneliness, and anxiety. This article applies spirituality of discernment in the pre-divorce stage counseling. Christians in this stage needs to be accompanied through discernment process, which will enable them to make satisfying psychological and spiritual decision. It allows them to be in a deeper union with God. Spiritual discernment is a spiritual training in and of itself. Making decision regarding divorce is important enough; however, learning to seek the will of God is pivotal. When spiritual discernment is practiced in the pre-divorce stage counseling, the decisions will not only be carefully examined, but the process will also be a self-discovering journey which will lead to a unifying relationship with God. This article contains the following; first, self-denial and self-actualization is discussed. Self-denial is a theological concept as to self-actualization being a psychological term. These two terms will be compared and also the correlation of the two will be discussed. Second, spirituality of discernment will be defined as to who is able to practice discernment and what the purpose of it is. Lastly, pre-divorce counseling case is presented. This is a case which spiritual discernment is applied throughout the process. It shows how this led to define the core of the client’s presented issue. The article will close with a discussion of the case.

      • KCI등재후보

        Understanding Korean Women's Divorce through Relational-Cultural Theory

        정푸름 한국목회상담학회 2011 목회와 상담 Vol.16 No.-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enhanced understanding of Korean divorced women, examining their post-divorce experience through relational-cultural theory(RCT). While the rate of divorce has increased within the last two decade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lack of understanding in regards to Korean women's divorce. Korean society is still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o, and accepting, this phenomenon of divorce. Therefore, divorced women in Korea not only encounter rejection and stereotyping from the church and the culture, but also are perceived by the society as being responsible for breaking the family and disrupting the social order. Thus, as this study examines Korean women's divorce through the psychological method of RCT, it will equip pastoral theologians and counselors to adequately understand Korean divorced women from a broader perspective. RCT is a feminist psychological theory and a therapeutic model that is geared towards understanding women’s development from women’s psycholog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 RCT is concerned with how culture influences relationship in general. Korean divorced women’s experience need to be understood as the individual and communal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a patriarchal system that dominates these women. This study also emphasizes the need for Korean divorced women to keep balance between the personal need for individual and communal aspects.

      • KCI등재

        탈근대주의의 목회상담과 상호적 관계 지향에 관한 연구

        정푸름 한국목회상담학회 2020 목회와 상담 Vol.34 No.-

        이 시대의 목회상담의 역할은 자아가 확장되는 상호성을 지향해야 한다. 교회 또는 임상현장을 위한 목회상담은 상호적 관계의 내용을 담아내고 이를 위한 실천적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기존에는 자아확장성과 상호성의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았다. 자아의 확장만 강조되던지 아니면 자아확장성은 보장되지 않는 채 관계자체, 상부조직, 공동체만을 위한 관계가 존재해야 하는 형태였다. 그 속에서 개인과 그 맥락은 무시되었으며 더 큰 대의를 위해 희생되어 온 측면이 있다. 신학은 때때로 개인이 무시되고 자신의 목소리를 제시할 수 없는 상황을 합리화하는데 잘못 사용되기도 했다. 이러한 관계는 자아가 확장되지 않는 관계다. 자아가 확장된 관계는 상호적일 때 가능하다. 상호성이란, 서로의 주체성과 주관성을 존중하며 관계를 중심으로 사고하는 것이다. 누구의 희생을 담보로 형성되는 관계가 아닌, 상대를 존중하며 각자의 고유성이 관계를 더 확장시키는 요소라고 인식하는 관계가 상호적 관계다. 상대의 주체성과 독특성을 인정한다는 것은, 일방적인 수용이 아니라 그 과정을 통해 그것을 수용하는 자아의 확장도 함께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목회상담의 탈근대적 관점에서 자아확장과 상호적인 관계가 함께 존재할 때, 그 안에서 개인의 성장, 관계의 성장, 다양성의 확장이 일어날 수 있음을 주장한다. 탈근대적인 관점만이 목회상담에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목회상담에는 성서적 전통, 그 위에 서있는 교회의 풍성한 의례들, 신학적 이해와 인문사회과학의 이해 등등, 모두가 요구된다. 하지만 사람들의 삶의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는 목회상담은 지배담론에서 벗어나 상황적 이해, 사회문화정치적인 이해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이해들이 포괄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자아와 관계의 상호성이 요구되어 진다. 이를 체계적으로 주장하기 위해 본론에서 우선적으로는 목회상담을 간략히 정의하고 설명하고 목회상담의 기준이 되는 관점들을 정리한다. 그 이후에는 목회상담에 대두된 탈근대적인 관점을 논의하며 비판적 상관관계방법과 Carrie Doehring의 삼중초점 렌즈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며, 상황과 권력의 주 개념들을 강조한다.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여성주의상담의 상호성, 목회상담의 상호성 그리고 Martin Buber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상호성에 관한 논의를 펼친다. The role of pastoral counseling in this era should be directed toward the mutuality in which the self expands. Pastoral counseling for the church or clinical field should contain the contents of the mutual relationship and be able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Previousl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ansion of the self and mutuality was unclear. In relationships, only the self was emphasized. Or to an extreme, self was not even guaranteed a place, because relationship itself, community, and the system was superior to the self. The individual and the context have been neglected, and sacrifices have been made for greater causes. Sometimes theology has been misused to rationalize situations in which individuals are neglected and unable to represent their own voices. This relationship is one in which the self is not expanded. Expansion of self is possible when the relationship is mutual. Mutuality means being relationship-centered with respect to each other's subjectivity. Rather than a relationship based on someone’s sacrifice, mutual relationship respects the other person and recognizes each other in their own uniqueness and realizes that this is a factor that further expands the relationship. Recognizing the other's subjectivity and uniqueness is different from unilateral acceptance. It means the self is experiencing expansion through the process of mutuality. This paper argues that in the post-modern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when self-expansion and mutual relationship exist together, individual growth, relationship growth, and diversity expansion can occur. A post-modern perspective is not a requirement only for pastoral counseling. Biblical tradition, the rich rituals of the church,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tc., are all required for pastoral counseling. However, pastoral counseling, which is responsible for responding to the needs of people's lives, must move beyond the dominant discourse and include contextual and socio-political understandings. In order for these understandings to work comprehensively, the reciprocity of self and relationship is required. To systematically make this claim, this paper will first of all briefly define and explain pastoral counseling and summarize the perspectives that are the basis for pastoral counseling. Subsequently, the paper will discuss post-modern perspectives presented in pastoral counseling, using critical correlation methods and Carrie Doehring's trifocal lenses as examples and emphasizing the main concepts of situation and power. In the final part of the paper, the mutuality of feminist counseling, the mutuality of pastoral counseling, and Martin Buber’s concept of relationship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김천 공자동의 입지 및 구곡시가(九曲詩歌)에 나타난 경관특성과 장소성 연구

        정푸름,노재현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4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8 No.1

        연구대상지인 김천 공자동은 유가의 시조인 성현(聖賢) 공자(孔子)의 존함을 그대로 차용해 이루어진 지명을 갖는 마을이다. 이러한 공자동을 배경으로 하는 구곡시가에 나타난 지명의 물리적 환경과 인간활동 그리고 그 의미 간의 상호작용의 산물인 마을의 장소성 구명(究明)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과 해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례향교와 도동서원을 중심으로 16~17 세기 선비문화가 발전한 김천 공자동 설동(設洞)의 가장 유력한 설은 조선초 김천 부항면 출신 병마사 이회(李晦)가 자택에 보관하던 공자의 화상(畫像)을 1650~1670년 사이에 경주 이씨·김해 김씨·밀양 박 씨를 본관으로 하는 세 선비가 인근 지례향교로 옮기면서 공자동이라 명명하였다는 것이다. 이후 인근 지역의 지명까지도 공자와 관련된 고사(古事)와 관련된 인물과 행적과 관련지어 명명하면서 유가의 성현 공자의 소환을 통한 유가의 이상세계를 구현하고자 하는 지명의존과 장소착근 현상이 심화되었다. 둘째, 공자동이 지속적 마을 형성과 발전을 지탱해온 바탕에는 이곳이 지례면과 김천시를 잇는 길목에 있는 교통요충지라는 이점과 더불어 성현의 존함을 차용한 공자동이라는 지명 자체가 마을의 물리적·정신적 토대이자 주민의 자긍심을 높이는 소속감과 장소애의 본질로 판단된다. 지금도 존재하는 공자관련 지명은 대항면 대성리의 공자동·창평, 주례리의 주공, 구성면 상거리의 저익촌·백어·명덕·벽계, 구성면 상좌원리의 문도동 등 다수가 존재한다. 셋째, 공자동의 산수경관이 노래된 황남별곡(黃南別曲), 공자동구곡(孔子洞九曲) 그리고 구곡단가(九曲短歌)는 공자와 관련한 인명과 『논어(論語)』의 고사를 통해 공자에 대한 숭모(崇慕)와 득도(得道)의 열망이 표출된 것이다. 지명 공자동(孔子洞), 창평(昌平), 주공(周公), 안연대(顏淵臺), 백어(伯魚), 명덕(明德), 저익촌(沮溺村), 문도동(問道洞), 상좌원(上佐院), 모성암(慕聖巖), 자하령(子夏嶺) 등은 특히 성현 공자를 향한 흠앙(欽仰)과 존양(存養)의 장소로서, 공자와 유가사상이 깃든 장소의존과 장소애착의 산물이다. 넷째, 벽계천(碧溪川)을 중심으로 설정된 공자동구곡과 구곡단가의 제1곡 모성암을 비롯한 구곡명과 경물 그리고 구곡 바위글씨는 공자 이외에 무이구곡 문화를 실천한 주자(朱子)의 덕행에 대한 흠모를 바탕으로 유가의 실존과 덕행을 따르고자 했던 흔적이다. 공자동에서 보여지는 지명과 경물에 부여된 의미경관과 실존경관은 궁극적으로 모두 공자와 주자에 대한 흠앙과 존숭(尊崇)을 통해 유가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조선 선비들의 신념이 표출된 것으로 공자동 장소정체성의 본질이다. 다섯째, 공자동 구곡 일대의 바위글씨 대부분은 제1곡 모성암과 제6곡 안연대에 집중(75.6%)된다는 점에서 해당 장소가 문화경관적 맥락에서 장소적 중요성과 가치를 지님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성암의 바위글씨는 장소와 관련한 인물에 대한 흠앙과 존숭 그리고 장소에 대한 찬미의 내용을 담고 있는 반면, 안연대 바위글씨는 공자의 제자 안연(顏淵)에 대한 추모와 함께 안빈낙도하고 유유자적한 삶의 동경이 강하게 표출됨에 따라, 구곡간의 장소성에는 다소의 차이가 발견된다. 공자동 일대의 지명 등은 공자뿐만 아니라 공자의 아들과 제자, 공자가 숭모한 인물 주공 그리고 공자의 정신이 함축된 것일 뿐 아니 ... Gongja-dong, Gimcheon, the study site, is a village with a name borrowed from the title of Seonghyeon Confucius, the founder of Confucia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place-specific nature of the village, which is a produ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human activities, and the meaning of the place names shown in Gu-gok City, with Gongja-dong as the background. The results of the study derived th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re as follows. First, Gongja-dong's name originated from the most popular theory that three scholars, Lee Clan, Gimhae Kim clan, and Miryang Park clan, moved the portrait of Confucius kept by Yihoe in the early days of the first election to Jiryehyanggyo Bridge between 1650 and 1670. Since then, the surrounding area has been named in relation to Confucius' stories, characters, and activities, deepening the dependence of name dependence and place rootedness to the ideal world of Confucianism through Confucius' summons. Second, nevertheless, the reason why the village was continuously formed and developed is that it is a transportation hub and the name Gongja-dong is considered to be the physical and spiritual foundation of the village and the essence of the sense of belonging and topophilia that increases the residents' self-esteem. Third, <Hwangnambyeolgok(黃南別曲)>, <Gongja-dong Gu-gok(孔子洞九曲)> and <Gu-Gok Dan-ga(九曲短歌)> expressed their adoration for Confucius and desire for spiritual awakening through their names and stories related to Confucius. Gu-gok's geographical name and Landscape Components' name are the places of admiration and respect for Confucius and Confucianism, and are the products of the place's dependence and attachment have an thought Confucius and Confucianism reside. Fourth, the name of Gu-gok, which was established around Byeokgyecheon Stream, and carved letter in the rock are a trail of follow of the Confucianism's existence and virtue based on the admiration of the Zhu Xi's admiration of virtue. The meaning and existence of the land's name and Landscape Components's name are the essence of Gongja-dong place identity, as Joseon scholars expressed their belief in realizing Confucian ideals through admiration and respect for Confucius and Zhu Xi. Fifth,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rock writings in the Gu-gok area of Gongja-dong are concentrated (75.6%) on Moseongam and Anyeondae, confirming that the location has regional importance and value in the context of cultural landscape. In addition, the rock calligraphy at Moseongam contains contents of adoration and respect for people related to the place and praise for the place, while the rock calligraphy at Anyeondae is a memorial to Confucius' disciple Anyeon(顏淵). As the longing for a peaceful life and a leisurely life are expressed strongly, some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sense of place between the valleys. Gongja-dong and its surrounding geographical names seem to embody a Confucian ideal world that contains the spirit of Confucius and his son, disciples, Confucius' admiration to ZhouGong, and the spirit of Confucius. It can be seen that gu-gok's name, scattered around Confucius-dong, is a place-making where Joseon scholars wanted to pursue a thorough Confucian life by adoration Confucius, Zhu Xi, and Neo-Confucianism.

      • KCI등재

        BTS 현상에 관한 목회상담 연구: 취약함으로 연대하다

        정푸름 ( Chung Pooreum ) 한국목회상담학회 2022 목회와 상담 Vol.39 No.-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BTS phenomenon’ and its implica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Studying BTS as a cultural phenomenon means that this popular culture holds the phenomenon, the process, and the narrative content. To understand the BTS phenomenon, it is also essential to understand the process that led to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personal, social, and structural messages BTS sends out. Which narrative is reflected in the BTS phenomenon? What kind of cultural content does this narrative contain? What direction it reflects and points to must be understood comprehensively. The BTS phenomenon has overturned the existing Western-centric, large-scale capital power system that used to be central, leading to a top-down cultural approach. This revolutionary subversion made possible by a non- Western Asian boy band achieved its position by challenging the old system through communication and a mutual relationship with their fans, the ARMY. Rather than simply emphasizing the BTS phenomenon, this research will focus on engaging and developing the discourse together with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Since pastoral counseling presupposes interdisciplinary research, it is likely to have a conversation with the social and global phenomenon of BTS.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all are impacted by cultural phenomena. And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the macroscopic perspective is one of the main tasks of pastoral counseling,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tersection of these two fields. Applying the analysis of the BTS phenomenon to pastoral counseling, this research suggests being in assembly with the vulnerable through mutual relationships. Furthermore, it is argued that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in pastoral counseling comprises the client’s vulnerability and the counselor’s in assembly.

      • KCI등재

        암각장기판의 형상 및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

        정푸름 ( Jeong Poo-reum ),김정문 ( Kim Jeong-moon ),노재현 ( Rho Jae-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과거부터 토착화 된 놀이문화인 장기(將棋)가 산 속·계류(溪流)의 정자(亭子)·고목(古木) 아래에서도 행해졌다는 증좌(證左)인 암각(巖刻)된 장기판에 대한 가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종합적인 현황의 조사·분석을 통해 암각장기판의 위치와 형태, 주변 공간의 입지 등의 물리적인 환경과, 지명유래 및 주변경물 등 역사적 의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국내 암각장기판의 입지유형과 경관의미 그리고 보존가치 등을 다각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집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양문화를 대표하는 한(韓)·중(中)·일(日) 세 국가에 동일하게 전파된 장기(將棋)를 각 국가의 사상과 민족적 성향에 맞도록 변형시킨 양식을 정리하여 한국의 장기(將棋)가 이미 토착화를 마친 전통문화임을 입증하였다. 전국에 분포하고 있는 암각장기판 15개소에 대한 조사 결과 형태는 돌장기판 6개소(40%), 암각장기판 9개소(60%)로 분류되었으며, 규모는 평균 51cm×46.6cm로서 실제 대국이 가능한 이용후생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기반암의 규모와 장기판의 크기의 산포도를 통해 볼 때 암각장기판은 대국(大局)의 합리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조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암각장기판 주변의 입지와 경물, 공공성 등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암각장기판의 입지가 선조(先祖)들이 풍류(風流)를 즐겼던 한국경관의 일환(一環)이며 조경유적으로서 보존·관리가 필요한 대상임을 밝혔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ue of rock Korean chessboards as a corroborative evidence that go, the play culture naturalized from the past, was also performed under the pavilion of the mountain stream, and the old tree. This study executes analysis on the location and form of rock Korean chessboards,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the position of surrounding space, the origin of the nomination, surrounding landscap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of comprehensive present conditions, and highlights the position types, landscape significance, and preservation value of the rock Korean chessboards of Korea from diverse angles.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styles of Korean chess (將棋), which identically propagated in the representative countries of Eastern culture, Korea, China, and Japan, and modified in accordance with each country`s idea and native tendency, were organized, and confirmed the Korean Go as a naturalized native culture. 2. Out of 15 rock Korean chessboard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9 (60%) were categorized as rock Korean chessboards, and 6 (40%) were categorized as stone Korean chessboards. Also, the average size of the go boards were 51cm x 46.6cm, which demonstrated not much difference with present day universal go boards.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ed rock and go boards were 0.647, demonstrating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the research subject of rock go boards have been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rationality, convenience, and the value of promotion of public welfare. 3. The results of analysis of location patterns of rock Korean chessboard showed that villages (87%), mooring (73%), plains (60%) and mountains (47%). The most frequent location pattern is mooring and village, and these two factor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rock Korean chessboard.

      • KCI등재후보

        여성의 부정적 자족감에서 관계지향으로의 전환: 여성주의 관점에서

        정푸름 ( Poo Reum Chung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3 목회와 상담 Vol.20 No.-

        The problem of self-sufficiency, which many women deal with nowadays, can have a negative affect on relationships. Self-sufficiency, a term defined as one independently providing for oneself without the help of others, makes it difficult to have intimate connection with others and to mature through those relationships. The influence of Western psychology that emphasizes mostly the self, and the expectation of women`s gender role in the patriarchal society, has led women to build up self-sufficiency. The negative aspect of it, in which the need of the inner self and the social demand of the gender role is conflicted, causes tendency to disconnect and push away intimacy in a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main notion of Western psychological concepts, such as autonomy, separation, independence, and generativity influenced putting emphasis on the self apart from connections. This paper provides a perspective on understanding women`s self-sufficiency through analyzing how relationships are affected; moreover, advocating growth-enhanced relationship for women`s mature growth. Two research methods are employed to better understand women`s balanced development of the self and the relationship: feminist pastoral theology and relational-cultural theory. Connections need to be mutual, otherwise, it will not lead to growth. In order to overcome self-sufficiency and to experience a balanced self and relational growth, a mutual relationship that can help and influence one another is needed.

      • KCI등재

        목회상담, 그 개혁의 목소리: Bonnie Miller-McLemore의“살아있는 인간망”으로 성찰한 한국목회상담의 역할

        정푸름 ( Chung Pooreum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8 목회와 상담 Vol.31 No.-

        이 논문은 지금 이 시대에 목회상담을 한다는 것은 무엇일까를 고민하는 논문이다. 한국목회상담협회와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가 공동주최한 2017년도 학술대회에서 기조 강연 강사로 나선 바니 밀러-맥니모어(Bonnie J. Miller-McLemore)는“살아있는 인간망”으로 한국목회상담의 역할을 성찰하며,“ 살아있는 인간망”이라는 목회신학패러다임을 적용하고 한국교회와 사회를 조망하여 이에 목회상담은 어떤 목소리로 응답할 것인지를 연구 발표하였다. 밀러-맥니모어의“살아있는 인간망”이 우리 목회상담과 목회상담이 뿌리내리고 있는 교회와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는 무엇인지, 어떤 관점을 제공하는지 고찰해봐야 한다. 한국의 목회상담은 매우 개인 중심적으로 펼쳐지고 있다. 밀러-맥니모어는 개인 중심의 상담에서 벗어나 개인이 처한 상황에 대한 관심으로서의 목회상담을 이야기하는데, 현재 한국적 목회상담은 아직도 매우 개인 중심적이다. 목회상담은 공동체 중심의 움직임이라고 여겨지기보다는 개인의 감정정화와 인식의 전환, 그리고 행동 변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더 큰 사회와 교회의 조직 안에서 개인이 받을 수밖에 없는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히 다뤄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종교개혁의 전통 아래 있는 교회와 그 신학에 기반을 둔 목회상담은 항상 개혁적인 목소리를 담당해왔다. 밀러-맥니모어가 “부적절한 신학”이라고 칭하는 의미는, 교회와 신학이 충분히 삶의 현상들을 설명해내지 못했다는 것이라며 주장하기를 그 신학의 빈자리를 채우며 전통과 기존의 견고한 제도에 도전하고 개혁의 목소리를 내온 것이 바로 목회상담이라는 것이다. 목회상담이 지금 이 시대에도 그 역할을 이어갈 것을 이 논문은 주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밀러-맥니모어의“살아있는 인간망”의 개념과 의미를 이해하고, 목회상담의 개혁성을 논의하며, 목회상담의 개혁적 목소리 중심에는 목회상담이 갖는 인간이해가 있었음을 주장한다. 목회상담이 개혁의 목소리를 낸다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먼저, 개인심리적인 차원과 사회구조적인 차원을 통합적으로 탐색해야 한다. 개인적인 측면이 우리의 정신적인 건강에 지대한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금까지의 목회상담이 정신역동과 개인중심적인 인간 이해에 집중했기에 구조적인 차원의 문제를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하는 실수를 범했다. 다음으로, 권력관계에서 소수에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 구조 안에서 희생되는 약자에 대해, 그들이 내지 못하는 목소리를 알아차리고 대변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간과 공동체에 대한 신뢰와 희망이다. 목회상담에서의 개혁적 요소는 항상 그 중심에 인간에 대한 신뢰와 그들이 속한 공동체가 존재했다. 목회상담은 이러한 개혁적 전통을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doing the performanc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n the present context. Through In her keynote speech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Pastoral Counseling Association in 2017, Bonnie Miller-McLemore presented her concept of the a living human web, reflecting the rol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n the context of Korean churches and the society, and on how Korea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will should respond. It needs to be thought through as ofWe need to think through what Miller-McLemore is inviting us to consider. Korea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s mainly focused mainly on individuals. Rather than having communal focus,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s focused on an individual’s emotive, cognitive change, as well as behavioral change. It does not sufficiently emphasize enough the social systems and the church, along with the voices that exists. Pastoral theology has developed under the reformation theology; thus, it contains and shares the reformative perspective.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overall has given voices to those who struggled with their personal and social experiences without a language to use in traditional church and theology to provide.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has been the act of reformation against the traditional church and theology.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that this reformative act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be carried on and further developed thorough keeping a balanced search between internal psychology as well asand social systems, listening to the voices of the powerless, and having consistent personal and communal tru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