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투석 중인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Cardiac Troponin T 증가의 평가

        정채림,홍기숙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0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3 No.2

        Objectives:Cardiac troponin T(cTnT) levels are elevated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CRF) with dialysis which represent myocardial damage. But the cut-off levels were different in laboratories and clinical physicians. We conducted a study to find out the cut-off level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AMI), ischemic heart disease(IHD), and cardiovascular disease (CVD) in CRF patients with dialysis and prognostic aspect according to cTnT levels. Methods:Cardiac troponin T(cTnT) of total 98 patients(men 43, women 55, mean age 60.4±13.0 years) was reviewed the diagnosis and progress for 3 years by the medical records. Serum cTnT by Elecsys 2010(Roche diagnostics, Germany), the 4th generation assay was performed. Results:Mean cTnT level of total 98 patients was 0.26ng/mL and the patients with CVD were 59(60.2%) and their cTnT level was 0.41 ng/mL. The mean levels of cTnT in AMI, IHD, and CVD were 1.10, 0.52, and 0.41 ng/mL, respectively. cTnT, CK, CK-MB, and glucose were increased according to severity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cut-off levels of cTnT in AMI, IHD, and CVD was 0.10, 0.07 and 0.06 ng/m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MI, IHD, and CVD in each cut-off level were 88.2/71.6%, 76.2/71.4%, and 81.4/71.8%,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above cTnT 0.1 ng/mL during 3 years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01) than less than 0.1 ng/mL. Conclusion:The degree of cTnT elevation in CRF patients with dialysis represents severity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poor survival rate. 배 경 투석중인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cardiac troponin T(cTnT) 증가는 심근손상을 알려주는 표지자이다. 그러나 투석중인 신부전 환자에서의 심근손상에 있어서의 cTnT의 결정치는 다양하게 해석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투석을 받고 있는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cardiac troponin T(cTnT)의 증가 원인을 확인하고 심근경색, 허혈성 심질환, 심혈관질환 진단의 결정치를 구하고 생존율과의 관계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로서 cTnT 검사를 시행한 98명(남자 43명, 여자55명, 평균 연령 60.4±13.0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병의 진단 및 진행상황은 진료기록을 참조하였고 관찰기간은 3년간이었다. cTnT는 4세대 검사법인 Elecsys 2010(Roche diagnostics, Germany)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투석중인 신부전환자 98명의 cTnT의 평균치는 0.26ng/mL이었다. 그 중 심혈관질환이 있는 환자는 59명(60.2%)이었고 cTnT의 평균치는 0.41 ng/mL이었고 심혈관질환이 없는 군에서는 0.04 ng/mL이었다. 심근경색, 허혈성 심질환, 심혈관질환에서 cTnT 평균치는 각 1.10, 0.52, 0.41 ng/mL이었다. CK, CK-MB 및 glucose는 심혈관질환의 심한 정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 외 LD, NT-proBNP, BUN, Creatinine, eGFR, triglyce-ride, cholesterol 및 albumin치는 질환의 정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허혈성 심질환이 있는 군에서 없는 군보다 cTnT, NT-proBNP 및 glucose치가 유의하게 높았다. 심근경색, 허혈성 심질환, 심혈관질환의 결정치는 cTnT 0.1, 0.07, 및 0.06 ng/mL이었고, 각각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88.2/71.6%, 76.2/71.4% 및 81.4/71.8%이었다. 3년간의 생존율은 cTnT 0.1 ng/mL 이상 군에서 0.1 미만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결 론 투석 중인 만성신부전 환자에서의 cTnT증가의 정도는 심혈관질환의 심한 정도와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