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에 나타난 민주 시민상의 변천 : 제3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김형렬(Kim, Hyungryeol),유가현(Yu, Kahyeon),정진리(Jung, Jilli)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9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중등 도덕과가 목표로 하는 이상적인 민주시민의 모습, 즉, ‘민주시민상(民主 市民象)’의 교육과정 개정기에 따른 변천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3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중·고등학교 교과서 37권을 대상으로 민주 시민상 관련 내용이 포함된 단원들의 서술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틀로 민주시민교육의 전통적 유형과 변혁적 유형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시민의 특성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에서 도덕과 교육이 육성하고자 하는 민주 시민상이 전통적 유형에서 변혁적 유형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국가에 대한 태도, 법에 대한 태도, 공익과 사익의 관계, 시민 참여,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변혁적 역량의 다섯 가지 세부 범주에서 점차 민주시민의 능동적이고 비판적인 특성이 부각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차기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정시 도덕과 내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의 목표 및 내용 조직에서의 유의점을 제안하였다. Building upon and expanding the existing theoretical framework regarding traditional vs. progressive approaches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ays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democratic citizens have been described in South Korean moral education textbooks over time.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sections dealing wit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37 lower and upper secondary moral education textbooks in Korea from 1973-2020.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active and transformative potential of democratic citizens have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with respect to several themes including attitudes towards the nation, attitudes towards the law, the relation between public interests and private interests, citizen participation, and transformative social chang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we discuss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중 · 고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에서의 국가 시민성과 세계 시민성 관련 내용의 변천 : 제3차 교육과정부터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

        김형렬(Kim, Hyungryeol),유가현(Yu, Kahyeon),정진리(Jung, Jilli),신지선(Shin, Jisun),김동언(Kim, Donge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8

        본 연구는 한국의 중·고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에서의 국가 시민성과 세계 시민성 관련 내용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제3차 교육과정부터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 출판된 중·고등학교 도덕과 교과서 36권을 분석하였고, 국가 시민성을 나타내는 핵심 단어로 ‘국가,’ ‘조국,’ ‘민족,’ ‘애국(나라사랑),’ ‘국민,’ ‘통일’을, 세계 시민성을 나타내는 핵심 단어로 ‘인권,’ ‘정의,’ ‘평화,’ ‘다문화·다양성,’ ‘세계시민(세계인),’ ‘환경’을 선정한 후 이 단어들이 제3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출판된 중·고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에서 사용된 빈도를 계산하였다. ‘민주주의’의 경우 단어가 사용된 맥락의 차이에 따라 국가 시민성 또는 세계 시민성으로 분류하여 사용된 빈도를 계산하였다. 나아가 단순한 빈도 계산으로 놓칠 수 있는 사용 맥락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해당 단어가 포함된 교과서 서술에 대한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에서 전반적으로 국가 시민성 관련된 핵심 단어의 사용 빈도는 줄어든 반면, 세계 시민성 관련된 핵심 단어의 사용 빈도는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최근의 교과서일수록 ‘국가,’ ‘애국(나라사랑),’ ‘민주주의,’ ‘통일’ ‘세계시민(세계인)’ 관련 내용들이 국제사회에서 통용될 수 있는 보편적 가치와 규범에 따라 서술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도덕과 교과서에서의 내용 서술이 큰 틀에서는 신제도주의가 지적하는 세계적 동형화 추세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민족주의에 근거한 통일 담론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으며 세계화 시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 발견되어, 세계화의 추세 속에서도 도덕과 교과서 내에 한국의 역사적·정치적 특수성이 견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계화 시대의 시민교육이 이분법적인 전 세계적 동형화 혹은 국가경로 의존이기보다는 두 가지 특성이 동시에 포착되는 조화와 접합의 양상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how national and global citizenship themes have been present in South Korean moral education textbooks over time.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36 lower and upper secondary moral education textbooks in Korea from 1973-2020.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its traditional emphases on national citizenship themes have weakened while global citizenship theme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particularly since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 line with the predictions of worldwide isomorphism offered by neo-institutional theorists. Findings further suggest that several themes including the nation-state, patriotism, democracy, reunification, and world citizen have become increasingly contextualized as a global or universal value rather than a national one in moral education textbooks. Despite such changes, references to ethnoracial national homogeneity are not entirely absent, as this racialized discourse still appears in sections dealing with the issue of reunification in contemporary textbooks. Moreover, contemporary textbooks that include sections on world citizen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having a strong and clear national identity in the global age. This study’s findings indicate that a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citizenship education as decisively national or global is overly dichotomous and thus cannot account for the development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 We also discuss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사립초 졸업이 특목고/자사고 진학에 미치는 영향

        변수용(Byun, Soo-yong),정희진(Chung, Hee Jin),정진리(Jung, Jilli)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립초 졸업이 특목고/자사고 진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사립초 졸업생들은 공립초 졸업생들과 비교하여 가정배경, 학생 특성, 출신 중학교 소재지를 통제한 후에도 다른 고교 유형에 비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할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출신 중학교 설립 유형을 추가로 통제하였을 때 사립초 졸업생들은 공립초 졸업생들과 비교하여 특성화고에 비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할 확률이 여전히 높았지만, 일반고에 비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할 확률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사립초 졸업 여부와 일반고 대비 특목고/자사고 진학과의 연관성이 출신 중학교 설립 유형에 의해 설명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추가 분석을 통해 사립초 졸업생 가운데 다수가 특목고/자사고 진학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 사립중에 진학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등교육 이전 단계에 있어 교육 기회의 질적 불평등 현상과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Drawing on the six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ttending private elementary schools on the probability of entering elite high schools, namely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attending private elementary schools were more likely to enter elite high schools relative to other types of high school,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attending public elementary schools, even after controlling for family background, student characteristics, and the location of middle schools attended. However, once the type of middle school attended by the students was controlled for, the difference in the likelihood of attending elite high schools relative to general high schools between private vs. public elementary school graduates was no longer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ding private elementary schools and the likelihood of attending elite high schools could be explained by the type of middle schools attended. In fact, our supplementary analysis indicated that a great number of private elementary school graduates entered private middle schools which maintain good admission results to elite high school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in relation to the qualitative inequality of opportunity prior to hig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