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 기업의 이사회 구조와 이익조정

        김지연(Ji-Yeon Kim),정준영(Chune-Young Ch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7

        본 연구는 베트남 기업의 이사회 구조가 이익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이사회의 구조적 특성은 이사회 규모, 이사회 독립성, 이사회 소유구조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사회 독립성의 대리변수는 사외이사비율과 CEO-의장 겸임 여부를 사용하였고, 이사회 소유구조는 사내이사 지분율과 사외이사 지분율을 사용하였다. 이익조정의 대리변수는 수정 Jones 모형을 토대로 측정한 재량적 발생액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한 표본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6년간 호치민 증권거래소(HOSE)와 하노이 증권거래소(HNX)에 상장된 기업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로 이사회 규모는 이익조정의 크기에 음의 영향을 미치며, 사내이사 지분율은 이익조정의 크기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사회 규모가 커질수록 이익조정이 억제되며, 사내이사가 기업 지분을 보유할수록 이익 조정이 더욱 일어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익조정에 대한 기존의 논문과 달리 이사회의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것에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지배구조의 핵심인 이사회의 중요성을 재조명하였고, 베트남 당국이 기업의 재무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whether the board structure is related to the earnings management of Vietnamese firms. We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ard structure into three categories: board size, board independence, and board ownership structure. As the proxy variables for board independence, we used the ratio of outside directors and CEO-chairman duality, and for the board ownership structure, we used the stock ownership of inside and outside directors. As the proxy variable for earnings management, we used discretionary accruals based on the modified Jones model. We used data based on Vietnamese firms listed on the Ho Chi Minh stock exchange (HOSE) and the Hanoi stock exchange (HNX) for 6 years from 2012 to 2017. We found that the size of the board had a negative effect on earnings management. Also, the inside director stock own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earnings management. This means that earnings management is suppressed as the board size grows, and the higher the inside director stock ownership, the better the earnings management. Unlike existing papers on earnings manage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structure of the board of directors. Our findings show the importance of the board of directors, which is the core of corporate governance,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financial transparency of Vietnamese firms.

      • KCI등재

        주식분할과 무상증자

        양희진(Heejin Yang),주강진(Kangjin Ju),정준영(Chune Young Chung),류두진(Doojin Ryu) 한국증권학회 2017 한국증권학회지 Vol.46 No.4

        주식분할은 고액의 액면가를 일정비율로 분할하는 재무정책이며, 무상증자는 법정적립금 등을 재원으로 활용한 증자정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식분할과 무상증자가 경제적 실체의 측면에서는 유사한 재무정책임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반응이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의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정책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기업의 무상주 발행공시가 해당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2008년 9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우리나라의 KOSPI 유가증권시장과 KOSDAQ 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주식분할과 무상증자를 공시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부채비율이 큰 기업일수록 주식분할을 선호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수익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무상증자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식분할과 무상증자를 선택하는 기업들의 재무적 특성에는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주식분할과 무상증자 모두 공시일에 양(+)의 누적초과수익률이 나타났지만, 주식분할 이후 시장반응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무상증자의 공시효과가 공시일 전후로 주식분할의 효과보다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주식분할과 무상증자 모두 기업의 의도가 반영된 긍정적 신호전달기능의 결과임을 암시하지만, 액면가 분할이 수반되는 주식분할과는 달리, 무상증자의 경우 액면가가 유지되는 특수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미래 현금배당 증가에 대한 기대를 내포하고 있어서, 시장에서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각 증자방법을 선택하여 시장에서로 상이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시장의 반응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Using the sample firms listed in the KOSPI and KOSDAQ from September 2008 to December 2015, this study examines the stock splits and free-bonus issues (capital increase without consideration) in the Korean stock market. The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the market positively reacts to both stock splits and free-bonus issues, but the positive reactions are more evident in the free-bonus issues.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 that the firms with a higher financial leverage are more likely to split their stocks. However, the firms with a higher return on equity (ROE) are more likely to adopt the free-bonus issu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determinants of stock splits and free-bonus issues could be dissimilar. In particular, we find that the positive market reactions to bonus issues are magnified in the firms with a higher ROE. The finding seems to reflect the market’s expectation of an increase in future dividend payments from the issuing firms because face value does not change after issuing bonus shares, and cash dividends are paid on face value in the Korean stock market. Overall, our findings reveal the heterogeneity of stock splits and free-bonus issues although they are seemingly ali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