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이중과세금지원칙의 위헌심사기준성

        정주백 ( Jeong Joo-baek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서울법학 Vol.15 No.2

        Lots of legal documents refer to the principle of double taxation prohibition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judge unconstitutionality of laws or illegality of taxation on the basis of this principle. But, the explanations about its meaning and basis are not many.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Constitutional Court understands the principle of double taxation prohibition, analyzing its decisions about unconstitutionality of taxation laws and further inquires whether the principle of double taxation prohibition can be the review standard for unconstitutionality of taxation law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titutional Court doesn't have a consistent standpoint about the principle of double taxation prohibition. Second, the principle of double taxation prohibition can not be the review standard for unconstitutionality of taxation laws.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constitution there aren't any clear provisions prohibiting double taxations. Furthermore, the principle of double taxation prohibition can not be drawn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made decisions which seem to draw the principle of double taxation prohibition from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or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legislated taxation. But these principles can not be Constitutional standards, therefore from these other Constitutional standards can not be drawn. Among the many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2003Hun-Kall decision seems to be correct judgment, since it didn't consider the principle of double taxation prohibition a Constitutional standard.

      • KCI등재

        입법자 구속설 비판

        정주백(Joo-Baek Jeong)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23 No.2

        헌법상의 평등 조항과 관련하여 입법자 구속설과 비구속설의 대립이 있다. 이 문제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입법자 구속설과 비구속설은 평등조항 전체 또는 헌법 제11조 제1항이 아니라, 헌법 11조 제1항 전문이 입법자에 대해 구속력을 가지는가 하는 문제로 다루어져야 한다. 둘째, 누가 입법자인가는, ‘기관’이 아니라, ‘기능’을 기준으로 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셋째, 법 집행에 있어서 모든 국민이 평등하다는 것은, 법이 획일적으로, 법에 기재된 바대로 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헌법 제11조 제1항 전문은 입법자를 구속하지 않는다. 가장 강력한 논거는 문언이다. 다섯째, 입법자 구속설의 논거들은 타당하지 아니하다. 입법자 구속설의 가장 주류적인 논거인, 법을 평등하게 집행하더라도 법의 내용이 평등하지 아니하다면 불평등은 그대로 남는다는 주장은 법을 평등하게 집행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이해하지 못 한 견해다. 여섯째, 입법자 구속설은, 헌법 제11보 제1항 전문의 적용범위를 확장할 뿐만 아니라, 규범의 내용을 변질시켰으며, 이로 인하여 이론에 있어 많은 혼란을 야기하였다. Art.11(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ereinafter “KC”) states, “All citizens shall be equal before the law. There shall be no discrimination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or cultural life on account of sex, religion or social status.” 1. A theoretical confrontation exists between two interpretations of the first sentence of Art.11(1) KC. One theory asserts its binding power on law makers, and the other denies such binding power. (a) The issue is whether or not the first sentence of Art.11(1) KC has binding power over law makers. (b) Not ‘agency’ but rather ‘function’ should be the criteria used to distinguish law enforcers from law makers. (c) The first sentence of Art.11(1) KC simply directs law enforcers to apply existing law consistently and equally to all citizens. 2. The first sentence of Art.11(1) KC does not bind law makers. The most obvious evidence is the explicit language of the sentence itself, which modifies the term “equal” with the qualifier “before the law.” The theory asserting the binding power of the sentence, however, ignores the clear language of the article and relies on several indirect, but ultimately unpersuasive arguments. (a) First, proponents of the binding power theory argue that even if the law is enforced equally, inequality between citizens can remain if the laws themselves may not be equal. Whether or not the laws themselves are “equal” is quite distinct from whether the laws are enforced in a consistent and equal manner with respect to all citizens, which is all that the first sentence of Art.11(1) KC requires. (b) Second, proponents of the binding power theory contend that because the judiciary has the power of judicial review over the acts of law makers, the equality clause should have the binding power on law makers. This is an unwarranted leap of logic, as the latter cannot inevitably be drawn from the former. (c) Finally, proponents of the binding power theory argue that as Art.1(3) BL of Germany provides that all constitutional provisions are binding on legislators, the Korean equality clause must also bind law makers. However, it is the specific nature of each individual provision that determines whether that provision has binding power over law makers. Futhermore, the Korean Constitution does not contain such a provision. 3. The binding power theory not only expands the scope of application but also distorts the meaning of the first sentence of Art.11(1)KC.

      • KCI등재

        전부 개정되기 전의 법률 조항 적용을 둘러싼 헌재와 대법원의 갈등

        정주백(Joo-Baek Jeong)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25 No.3

        전문 개정되기 전의 법률 조항을 과세의 근거로 삼을 수 있는가의 문제를 둘러싸고 헌재와 대법원의 갈등이 극에 달한 양상이다. 학설과 판례는 이 문제를 한정위헌 결정의 기속력이라는 관점만으로 바라보았으나, 이 논문에서는 한정위헌 결정의 당부 문제와 기속력의 문제를 나누어 보아야 한다고 제안한다. 비록 한정위헌 결정이 정당하지 아니하더라도, 그것이 당연 무효로 볼 만한 하자가 있지 아니하는 한, 기속력을 가진다고 본다. 한편, 당부의 문제에 있어서도 전부긍정설과 전부부정설의 대립으로 설명이 되었으나, 일부의 한정위헌 결정에 대해서는 대법원도 기속력을 시인함으로써 그 정당성을 받아들이고 있으므로 전부 부정설은 무의미한 것이고, 한정위헌 결정의 한계 문제로 논의가 진전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 논문에서는 그 한계를 획정하는 요소로 재판소원 금지와 일부위헌의 법리를 제시한다. 청구인은 재심청구기각 판결을 받고 다시 헌법소원을 제기하였는데, 이 심판의 향후 심판의 전개 과정을 예측해 보았다. 한편, 현 상황에서 과세관청이 과세를 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소급입법금지원칙의 예외의 허부라는 관점에서 살펴 보았다. The conflict betwee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is at its peak, concerning the problem of "whether taxation can be based on a provision former to its entire revis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question of "whether a Decision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LU) is binding"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ame decision is proper or not". Even if a DLU can be seen as not improper, it is still binding unless there is a flaw that makes it null and void. Whereas, as a matter of admissibility, the conventional dispute confined itself to the choice between whether a DLU was "completely admissible" or "completely inadmissible". But since the Supreme Court admits at least some forms of DLU to be binding and proper, the latter claim is pointless. The discussion should rather concentrate on the criteria to limit DLU, concerning which this article suggests the doctrines of "Prohibition on Petition against Court Judgements" and "Partial Unconstitutionality" as the delimitating factors. In the GS Caltex case, the plaintiff filed a constitutional petition after his petition for retrial was denied by the court. In this article, the author speculates on how the Constitutional Court would deal with this case. And the author also inquires the problem of whether the taxing offices would be allowed to go on taxing with the current bases, in the light of whether the constitutional Prohibition of Retroactive Legislation leaves any room for exception.

      • KCI등재

        상대적 평등설의 허구성

        정주백(Joo-Baek Jeong) 한국헌법학회 2013 憲法學硏究 Vol.19 No.2

        평등'의 개념에 관한 문제는 늘 상대적 평등과 절대적 평등을 대비시켜 두고 논의되어 왔다. 그런데, 상대적 평등설은 하나의 내용을 가진 학설이 아니다. 크게 보더라도, 두 가지 이질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다. 즉, 절대적 평등의 개념 요소인 '절대적', '같음' 중 각 하나씩을 부정한 후, 자신의 견해를 상대적 평등이라 할 뿐이다. 평등을 합리적 차별을 허용하는 것이라 보는 입장은 '절대적' 부분을 부정한 상대적 평등설이고, 같은 것은 같게, 다른 것은 다르게 처우하는 것이라 보는 입장은 '같음'을 부정한 상대적 평등설이다. 그런데, 전자는 평등의 의미에 관하여 아무런 의미가 없다. 평등이 무엇을 요구하는가를 말하지 않고, 차별의 정당화 여부에 대해서만 말하기 때문이다. 후자는 평등의 의미를 밝히는 데 있어서는 의미가 있으나, 실천적으로는 동등한 처우가 헌법에 의하여 명령되는 것으로 보는 것과 같은 내용의 심사를 한다. 다른 처우가 있다고 하여 바로 차별이 있다고 보는 것은, 후자의 논리적 귀결이 아니다. 이와 같은 혼란은, 법집행의 평등과 입법자 구속설을 오해하고, '명령'과 '허용'을 혼동함으로써 생긴 것이다. 1. Those who uphold the relative equality theory (RET) understand absolute equality as treating things the same. They claim that RET is reasonable, as it is impossible and unreasonable to guarantee absolute equality. 2. What the relative equality theorists say about the content of relative equality is twofold. One is to allow reasonable discrimination (RET-1), and the other is to treat the same things the same way and different things differently (RET-2). 3. However, RET-1 is in reality the same as the absolute equality theory (AET), as its proponents have the same idea of what the Constitution commands. RET-2 can be understood to be opposed to AET because its proponents have a different idea of what the Constitution commands. 4. According to RET-2, even if there is different treatment, we cannot say this is discrimination, as we have not determined whether the case involves the same things being treated differently, or different things being treated differently. Only when we accept RET-1 can we immediately determine that it is discrimination to treat things differently. Almost always in judicial review, RET-1 is accepted. However, RET-1 is the same as AET. 5. Even though relative equality theorists facially reject AET, in terms of content their idea is identical to AET (RET-1), or they fail to follow the logic of their unique idea (RET-2). Accordingly, RET is fictional.

      • KCI등재

        재판의 전제성 중 ‘재판이 가지는 법적 의미를 달리하는 경우’라는 요건의 필요성

        정주백(Jeong, Joo-Baek)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27 No.1

        헌재는, 성폭력 범죄를 다루는 형사 재판에서, 성폭력 범죄로 유죄판결이 확정되면 범죄자의 신상을 등록하도록 정하고 있는 법률조항에 대하여 재판의 전제성이 인정되지 아니한다는 이유로 헌법소원을 각하하였다. 이 사건 법률조항 당해사건에 적용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그 위헌여부에 따라 당해 사건 재판의 주문이나 내용, 효력에 관한 법률적 의미가 달라진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이 사건 법률조항은 당해사건에 적용되지 아니하고, 나아가 동 조항의 위헌 여부에 따라 당해 사건재판의 주문이 달라지지 아니한다. 이들 점에 대해서는 동의한다. 그러나, 이 사건 법률조항의 위헌 여부에 따라 재판이 가지는 법적 의미가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은 타당하지 아니하다. 이 사건 법률조항이 위헌으로 결정되면, 범죄자의 신상이 등록되지 아니한다. 이 사건 법률조항이 위헌이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범죄자의 신상이 등록된다. 그러므로 이 사건 법률조항의 위헌 여부에 따라 재판이 가지는 법적 의미가 달라진다. 92헌가8 결정과 같은 논리다. 다만, 이 사건 법률조항이 당해 사건에 적용되지 아니한다는 점은 그대로 남는데, 92헌가8 결정의 사안도 마찬가지지만, 재판이 가지는 법적의미를 달리하는 경우는 처음부터 당해 사건에 적용되지 아니하는 법률조항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이 점에 있어서는, 재판의 전제성에 관한 일반적 설시가 잘못된 것이다. 한편, 재판이 가지는 법적 의미를 달리하는 경우에 관하여 재판의 전제성을 인정하는 것은 구체적 규범통제의 본질에 반한다. 헌재가 위헌결정을 하더라도, 당해사건의 재판에는 아무런 변동이 없기 때문이다. 나아가 당해 법률조항의 위헌성은 다른 절차에 의해 확인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재판의 전제성을 인정할 필요성도 적다. 그러므로, 헌재의 실무와 같이, 기존의 재판의 전제성 이론을 적용시켜 보았을 때 당연히 재판의 전제성이 인정됨에도 이를 부인할 것이 아니라 차제에 재판의 전제성에 관한 심사기준을 재검토하여 정리할 필요가 있다. 연구자는 ➀ 재판이 있을 것, ➁ 심판대상 법률조항의 위헌 여부에 따라 재판의 결론이 달라질 것이 재판의 전제성에 관하여 필요하고도 충분한 요건이라 본다.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CC’) dismissed a constitutional complaint on a statute prescribing the registr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criminals who were given the final and conclusive conviction of guilt for specified sexual crimes (‘the provision’). In this case, the CC ruled that the preconditional relevance to the court’s judgement (the ‘PR’) was not sufficed, since the provision (a) could not be ‘applied’ to the pending case, and whether the provision is unconstitutional or not could not make any difference in either (b) the ‘consequence’ or (c) the ‘legal implication’ of the court’s judgement. The author of this article agrees with the above (a) and (b). However, the author disagrees with the above (c). If the provision is declared to be unconstitutional, the criminals’ personal information will not be registered, whereas a judgement that the provision is not unconstitutional will cause it to be registered. By the same token as the previous 92-Hunka -8 decision, it does make a different ‘legal implication’. Still, the fact that the provision cannot be ‘applied’ to the pending case remains the same. But whenever the judgement’s ‘legal implication’ can be different, the provision in question can never be applied to the pending case in the first place, to which the 92-Hunka-8 case is not an exception. On this point, the general statement by the CC about PR is incorrect. Admitting PR in cases where it makes a difference in ‘legal implication’ contradicts the nature of ‘concrete norm-controlling’ (konkrete Normenkontrolle), because even if the CC declares the provision to be unconstitutional, it makes no difference how the court rules the pending case. Furthermore, there is another procedure eligible to ascertain the provision’s unconstitutionality, which diminishes the necessity to admit PR in such cases. Thus, rather than denying PR in cases where it would certainly be admitted in the light of conventional doctrine, as the CC does in the present case, the general criteria of PR should be re-examined and be reorganized accordingly. The author would say, to admit PR, it is necessary and sufficient to require : (i) that there is a pending case, and (ii) that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provision in question makes difference in the consequence of the court’s judge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법률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에 있어서의 권리보호이익

        정주백(Joo Baek Jeong) 한국헌법학회 2015 憲法學硏究 Vol.21 No.4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논증하고자 한다. ①위헌법률심판이나 헌재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심판을 통해 위헌결정이 선고된 경우, 당해 사건의 당사자에게 위헌결정의 소급효가 미치는 것은, 해석에 의한 것이 아니라, 헌재법 제42조, 헌재법 제75조 제7항에 근거한 것이다. 형벌에 관한 법률조항에 관하여도 헌재법 제47조 제3항을 근거로 하여 소급효가 미치는 것이 아니다. ② 헌재법 제68조 제1항의 헌법소원심판을 통해 법률에 대해 위헌결정이 선고 된 경우 헌재법 제47조가 적용될 법적인 근거는 없다. 가사 준용된다고 하더라도, 당해 사안에 소급효가 미칠 수 있는 법적인 근거로 되는, 위의 헌재법 제42조나 제75조 제7항과 같은 성격의 조항이 없다. 그렇다면, 공권력 행사 자체에 대하여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지 아니하고, 근거되는 법률조항에 대하여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한 경우, 위헌결정이 선고되더라도 당해 공권력 행사에 이미 확정력이 발생하였다면 여전히 유효하다. 따라서 권리보호이익이 인정되지 않는다. ③ 법률에 기한 집행행위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집행행위를 대상으로 하는 구제절차가 없거나 구제절차가 있다고 하더라도 권리구제의 기대가능성이 없고 다만 기본권 침해를 당한 자에게 불필요한 우회절차를 강요하는 것밖에 되지 않는 경우에는 직접성이 인정된다는 판례는 재검토되어야 한다. 권리보호이익이 인정되지 아니하므로, 직접성이 인정된다는 것은 무의미하다. The present article attempts to demonstrate the following: 1. When a statute is decided to be unconstitutional, via Unconstitutionality Review by Art. 47 or Constitutional Complaint by Art. 68 Sec. 2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Act (hereinafter the 'KCCA'), the 'rectroactivity' of the decision on the party to the questioned case itself must be grounded on Art. 42 or Art. 75 Sec. 7, not on mere 'interpretation', of the KCCA. Even in cases of penal statutes, the above retroactivity cannot be based on Art. 47 Sec. 3 thereof. 2. In cases where statutes are decided to be unconstitutional in a Constitutional Complaint via Art. 68 Sec. 1, there is no legal basis to think that Art. 47 of KCCA can be applied therein. Even if it can be construed to be applied mutatis mutandis, there is no such statute like Art. 42 or Art. 75 Sec. 7 which can ground the retroactivity to the party in the questioned case itself. Thus, in cases where a Constitutional Complaint is targeted -not to the exercise of official power itself but- to the 'grounding statute' of the exercise thereof, even if the statute is decided as unconstitutional, the exercise itself -if it is already settled- is valid. Which deprives the Interest of Rights Protection in those cases. 3. The cases say that the requisite 'directiveness' can be satisfied where "even if there is an enforcement action based on the questioned statute, (1) there exists no procedure for remedy for the above action, or (2) there does exist a procedure in the above sense, but the procedure cannot be expected to lead to actual redemy and thus becomes nothing but a superfluous detour". Those cases need to be reexamined. Where the Interest of Rights Protection cannot but be denied, it is meaningless to say that the enforcement is 'direct'.

      • KCI등재

        지금, 대한민국의 수도는 어디인가?

        정주백(Joo-Baek Jeong)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8 No.2

        2004. 10. 헌재는 신행정수도의건설을위한특별조치법(이 사건 법률)을 위헌이라고 결정하였다. 이 사건에서 헌재는 서울이 수도라는 관습헌법(이 사건 관습헌법)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기본권 침해를 요구하는 헌재법 제68조 제1항의 헌법소원의 특수성 때문에, 바로 위헌결정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헌재는 이 사건 법률이 이 사건 관습헌법을 ‘개정’하였다고 보았다. 이 사건 관습헌법을 개정하기 위해서는 헌법 제130조에서 정한 국민투표를 거쳐야 하는데, 이를 거치지 아니하였으므로 청구인들의 국민투표권이 침해되었다고 논증하였다. 그 후 이 사건 법률이 위헌이라고 선언하였다. 위의 헌재의 논리를 따라가면, 종래의 이 사건 관습헌법은 이 사건 법률로 인하여 개정되었다. 이 사건 법률로 인하여 서울이 수도라는 관습헌법이 개정되어 세종시가 수도인 새로운 헌법이 성립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금 헌법상 대한민국의 수도는 세종시이다. 대통령과 국회가 수도 아닌 곳에 소재하는 현재의 상태는 위헌적인 것이다. On October 2004,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Court’) declared the Special Act on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the Act’) to be unconstitutional. In this decision the Court introduced a notion, namely that Seoul is the capital city of Korea by “customary constitution” (‘the Custom’). But such an introduction was not sufficient for the decision on unconstitutionality, since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by Art. 68 (1) of the Constitutoional Court Act requires that there is a violation on the plaintiff’s fundamental right. With this in mind, the Court considered the Custom to ‘have been amended’ by the Act. The argument of the Court was that, since, in the course of the enactment, a national referendum as was provided in Art. 130 of the Constitution which was needed in order to amend the Custom was never held, the Act violated the plainiffs’ right to referendum. If we follow the line of this argument, the former Custom “has been amended” by the Act, which means that the former constitution (‘Seoul is the capital city of Korea’) has been substituted with a new constitution (‘Sejong is the capital city’). Therefore, the decision in question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at least logically, the constitutional capital city of Korea now is Sejong City, and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both the presid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are officed elsewhere is to be unconstitutio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