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프리스트>를 통해 본 3D 영화의 재매개

        정일형(Il-Hyoung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프리스트>라는 OSMU 텍스트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재매개 논리와 특성 등을 살펴보고 문화 인터페이스 개념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의 관계를 밝혀보았다. 분석 결과 재매개의 이중 논리인 비매개와 하이퍼매개가 서로 공존하며 경쟁하였고, 재매개의 특징인 차용, 공격, 흡수 등의 다양한 특징들도 서로 교차되며 나타났다. 그동안의 뉴미디어 관련 연구는 각 분야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새로운 미디어 콘텐츠에 적용한 이론의 재검증이나 새로운 정책 중심 연구가 주를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새로운 뉴미디어들은 3D를 비롯한 테크놀로지 중심의 시각화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로의 콘텐츠 변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본 연구와 같은 재매개와 문화 인터페이스 개념을 토대로 향후 새로운 미디어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다양한 대안을 모색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old and new media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interface. This study try to fi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media contents and interface through contents analysis of <Priest> text. As a results, there are competible coexistance of transparent immediacy and hypermediacy as a double logic of remediation. And the features of remediation that borrowing, aggressive, and absorb are showed cross each other. A related studies are focu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story and on analysis of character, events, and background. And the other studies are focused on the policy of new media distribution. But, recent new media emphasizes the visualization of 3D technology and that strategy. Also they tries to convert a various media cont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heck and prepare those environmental changes of media. Then, more researches will be applied to remediation and cultural interface of this study. And I hope that they will be find an alternative strategy of contents and interface on media.

      • KCI등재

        웹툰 〈순정만화〉를 통해 본 재매개 연구

        정일형(Chung Il H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웹툰, 단행본 만화, 영화, DVD, 홈페이지 등의 〈순정만화〉라는 텍스트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재매개 특성과 전략 등을 살펴보고 문화 인터페이스 개념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동안의 뉴미디어 관련 연구는 기존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연장선상에서 새로운 미디어에 적용하여 재검증하거나 새로운 정책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많은 뉴미디어들은 시각화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로의 변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본 연구와 같은 재매개와 문화 인터페이스 요소 분석을 통하여 향후 새로운 미디어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콘텐츠 다각화 전략의 여러 대안을 모색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old and new media via the concept of cultural interfac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media contents and interlace through contents analysis of 〈Soonjugmanwha〉 text. Related studies are focu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story and on analysis of characters, events, and background, while other studies are focused on the policy of new media distribution But, recent new media emphasizes the visualization and that strategy. Also, they tried to convert various media cont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heck and prepare those environmental changes of media. Then, more research will be applied to the remediation of this study, and they will he find an alternative strategy of contents and interface on media.

      • KCI등재후보

        <미생>을 통해 본 비주얼 구성요소의 공간에 관한 연구

        정일형(Chung, Il Hyoung)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1

        기술이 발전할수록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에서 공간의 중요성이 커진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미생>이라는 웹툰과 프리퀄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비주얼 구성요소의 공간 개념을 분석하고 비교했다. 그 결과 웹툰과 프리퀄 모두에서 평면 공간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뒤를 이어 깊이 있는 공간을 주로 사용했다. 다음으로 웹툰은 모호한 공간이 주로 사용되고 제한적 공간은 아예 사용되지 않은 반면, 프리퀄은 제한적 공간이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었고, 모호한 공간의 사용량이 가장 적었다. 아울러, 닫힌 공간과 열린공간의 분석에서는 웹툰과 프리퀄 모두 닫힌 공간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지 웹툰이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제대로 적응하면 앞으로 열린 공간의 가능성이 많아진다는 것만 확인했다. 향후 이러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공간의 개념이 점차 확대 적용되고, 3차원이나 4차원의 영상물에도 적용가능한 이론적 토대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As the technology advances, the more greater the importance of space in variety media contents. Focusing o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nalyze and compare to the concept of space in the visual components,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webtoons and prequel video in <Misaeng>. As results, both of webtoons and prequel video images, flat space used the most commonly. And the use of deep space followed. In webtoons, ambiguous space used next, and limited space is not. But, in prequel video, limited space used next, and ambiguous space is the lowest. Also, there are no open spaces any more. If only webtoons had adapted well to the smart media environments, the potential of open space will be larger or higher. I hope this kind of research will sustained in the future. Then, I’d like to the concept of space expand to the 3 or 4 dimensions images.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의 재매개화 연구

        정일형(Chung Il-H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社會科學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최근의 다양한 미디어 환경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설명하는 마땅한 이론이 부재한 상태에서 Bolter와 Grusin(1999)이 제기한 재매개화(remediation) 개념을 중심으로 디지털 미디어의 인터페이스 요소들이 어떻게 커뮤니케이션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에서 인터페이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향후 디지털 미디어를 대표하는 커뮤니케이션 이론으로 확장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디지털 미디어의 속성상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고 새로운 미디어가 나올 수도 있다. 올드미디어와 뉴미디어라는 상대적인 개념을 다시 언급하지 않아도 향후의 수많은 디지털 뉴미디어들에 대한 연구 영역은 무궁무진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의 다른 영역들에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연구 개업과 재매개화가 함께하여, 이론적으로도 풍부하고 다차원적으로 측정해 낼 수 있는 학문적 통합이나 학제간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mediation characteristics in the digital media interface through the concept of modality with texts, images, and sounds. In this process, this study attempts to rearrange the complicated and wide concept of interface with the 'culture interface' concept of Manovich(2001). In addition, this study applies the concept that Scott and White(2003) presented to the existing remediation theory to the digital media of various fiel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research tries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modality to three representation forms of texts, images, and sounds by rearranging the various elements of multimedia. In order to analyze the remediation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ses of various digital media in accordance to each form.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hat remediation is commonly applied regardless of genres in both old and new media.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at it is remediation that the method the digital media apply for communicating with the unique interface of old media. Given that not many studies have attempted to provide the definition or identification of the new media by presenting policies on the use of new media or measuring various effects of the new media, this study has a unique value in that it verifies remediation theory as a hypothesis level through various instances in these situations. Considering that there is no suitable theory on new media yet. This study has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remediation concept along with applying to the new media.

      • KCI등재

        포토저널리즘의 에크프라시스에 관한 연구

        정일형 ( Il Hyoung Chung ) 한국사진학회 2015 AURA Vol.0 No.34

        There is a concept of “Ekphrasis” in old rhetoric. Ekphrasis defined as the verbal representation of visual representation. And this concept was further developed in digital era. Then this study attempt to expand the concept of ekphrasis to digital photojournalism. We often say that the caption is not separated with photos. So, this study tries to connect with ekphrasis and caption of photojournalism. Of course, a lot of lacking in the early stages of research. But, I have an expectation that the study of photojournalism more activated from this study.

      • KCI등재

        N-스크린 환경에서의 콘텐츠 재매개

        정일형(Chung, Il H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32 No.3

        본 연구는 웹툰, 단행본 만화책, 프리퀄 영상, TV 다큐멘터리, TV 드라마, 홈페이지, 페이스북 페이지등의 <미생>이라는 텍스트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재매개 특성과 전략 등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와 인터페이스의 체계를 분석해보았다. 그 동안의 재매개 연구는 기본 개념을 적용해 분석하거나 다른 미디어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들이 많지 않았다. 최근의 많은 뉴미디어들은 처음부터 디지털 콘텐츠로 원본이 만들어져 다양한 미디어의 포맷으로 확장되면서 그동안의 미디어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 더욱이 스마트폰이 컴퓨터를 대체할 가능성이 더욱 증가된 가운데, 실시간 본방사수의 개념보다는 다운로드의 미디어 소비가 증폭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본 연구와 같은 재매개 기본개념을 확장하는 연구와 여러 미디어간의 관계 분석을 통하여 N-스크린을 넘어서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콘텐츠 다각화 전략의 여러 대안을 모색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old and new media via the concept of remediation.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media contents and interface through analysis of many 〈Misaeng〉 contents. Also this study tries to draw a system map of remediation about 〈Misaeng〉. There are lots of 〈Misaeng〉 contents such as a webtoon, comic-book, prequel, TV documentary, TV series, web site, and facebook page. Recent new media emphasizes the visualization and that strategy. Also they try to convert a various media cont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heck and prepare those environmental changes and mix of media. Then, more researches will be applied to remediation fields from this study. And I hope that they will be find an alternative strategy of contents and interface on new media trends and strategies over leaping N-Screen.

      • KCI등재

        부산 지역 일간지의 1면 사진 연구

        정일형(Chung Il H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지역 일간지 1면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1면 사진의 유형을 살펴보고, 1면 사진의 유형에 따라 그 기능과 역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특히 지역 일간지 연구는 그동안 지역성 논의를 둘러싼 정체성의 논란과 더불어, 신문 지면의 레이아웃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 및 포토 저널리즘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급속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적극 수용한 우리나라 일간지들은 서울이나 지역에 상관없이 각각의 언론사 위상과 정체성을 찾아가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본 연구와 같이 현 시점에서의 변화의 양상을 점검해 보려는 시도들을 통해, 향후 새로운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훌륭한 대안을 모색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Kookjeshinmoon and Busanilbo are representative of Busan. This study is focused on these two local daily newspapers. This study try to fi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two newspapers, and explain the functions and roles depending on types of frontpage's photos. Newspapers are facing many changes of digital technologies. They also trying to applied such chang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heck and prepare those changes by this independently trying to find their identify in various fields. Then, more studies are needed such as this study in the present states.

      • KCI등재

        대학생들의 디지털 사진에 관한 Q 방법론적 연구 -디지털 사진 관련 과목 수강생들을 중심으로-

        정일형 ( Il Hyoung Chung ) 한국사진학회 2010 AURA Vol.0 No.22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of digital photo users` subjectivity by focusing on their beliefs, values, and attitudes with Q methodology. After constituting 36 Q samples and 41 P sample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 2009 to 13th. There are 3 types of subjectivity structures showed by PC QUANL program. The types are "the digital technology seeking type", "the digital convenience seeking type", and "analog photos seeking type". These types of users actively accept the positive aspects, while they denying the negative aspects of digital photos. Then these findings applied to educating digital photos and advertising digital camera in the future. And I hope these study continues in various digital pictures and camera industries.

      • KCI등재후보

        〈순정만화〉의 비주얼 구성요소 연구

        정일형(Il-Hyoung Chung)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1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2

        본 연구는 〈순정만화〉라는 텍스트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영상의 비주얼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웹툰에서 단행본 만화와 영화, 홈페이지 등으로 확장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동안의 영상 관련 연구는 스토리에 중심을 둔 서사구조를 파악하거나 인물, 사건, 배경 등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많은 영상물들은 비주얼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시각화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로의 변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본 연구와 같은 비주얼 구성요소들의 분석을 통하여 향후 새로운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콘텐츠의 시각화 전략의 여러 대안을 모색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focused on visual components of various media contents. This study try to fi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media contents through contents analysis of 〈Soonjugmanwha〉 text. A related studies are focu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story and on analysis of character, events, and background. But, many recent visuals emphasizes the visualization and that strategy. Also they tries to convert a various media cont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heck and prepare those environmental changes of media. Then, more researches will be applied to visual components of this study. And I hope that they will be find an alternative strategy of visual repres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