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황금용』(The Golden Dragon) 역할창조 연구 - LMA를 적용한 프로덕션 과정을 중심으로 -

        정인영(In-Yong Jung),조준희(Joon-Hui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8

        『황금용』(The Golden Dragon)은 아시아계 노동자들의 낯선 도시 베를린에서의 생존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세계화의 비극적 허상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의 포스트 서사극적 특성은 관객에게 이전과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관극할 것을 요구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포스트 서사극적 특성과 포스트 서사극의 개념에 관한 이론적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구체적인 연기적 접근 방법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연기적 접근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황금용』의 포스트 서사극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포스트 서사극에서는 사실주의 연극과는 다른 일인다역을 실행하기 위한 신체중심의 연기 접근법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루돌프 본 라반(Rudolf von Laban)의 라반 움직임 분석(Laban Movement Analysis)을 적용하여, 몸의 활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내적 충동이 유발될 수 있도록 실행하였다. 특히 라반의 움직임의 네 가지 카테고리(BESS) 중 에포트를 통해 포스트 서사극을 연기하기 위한 신체 중심의 연기적 접근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실제 프로덕션 과정을 통해 라반의 움직임 이론이 포스트 서사극의 역할 창조를 위한 신체 중심의 연기적 접근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Golden Dragon is a work that reminds us of the tragic illusion of globalization through the story of Asian workers" lives in Berlin, a strange city. Also, the post-epic nature of the play requires the audience to see it in a new way, more different than before. In Korea, there are theoretical studies on the post-epic theatre,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specific acting approaches based on practical production process. Therefore, I first analyze the post-epic characteristics of The Golden Dragon in order to present specific acting approaches. As a result, it would be confirmed that body-centered acting approaches were required in the post-epic theatre to play more different roles than in the realism play. Thus, Laban movement Analysis(LMA) of Rudolf von Laban is applied so that internal impulses could be naturally induced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e body. Of the four categories of motion(BESS), Laban seeks to look at the body-centered acting approaches through the effort. Finally, it must be confirmed through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that Laban"s theory of motion could be used as a body-centered acting approach to creating the role of post-epic theatre.

      • KCI등재

        국민연금법과 장애인복지법의장애판정기준 일원화의 타당성 고찰

        정인영 ( In Young Jung ),윤상용 ( Sang Yong Yoon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4 사회보장연구 Vol.30 No.1

        현재 국민연금공단에서 시행하고 있는 장애심사는 국민연금법상 장애연금심사와 장애인복지법상 장애등급심사로 이원화 되어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연금법과 장애인복지법의 장애개념 및 장애판정기준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비교분석을 통해, 두 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로 인한 문제점을 파악하며, 두 법의 장애판정기준 일원화의 타당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두 법의 제정 목적 및 장애개념과 관련해서는 비교적 명확한 차이가 발견되는 반면, 장애유형 및 장애판정기준과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일치 또는 유사한 부분이 있는가 하면 상이한 부분도 존재함이 확인된다. 현행 국민연급법과 장애인복지법의 장애판정기준 및 등급기준은 실제 등급 간 차이가 있어서 합리적이지 않고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장애유형 내의 등급 간 차이와 장애유형 간의 등급 간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것을 일관성 있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의학적 손상 평가 기준의 일관성의 일원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두 법의 의학적 손상 기준의 일관성의 일원화는 행정적 비효율성, 등급결정에 대한 고객의 불만제기 및 공단의 장애심사업무에 대한 신뢰도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compares the concepts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judgement criteria for National Pension Act and Welfare of the Disabled Act. First, it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cts and explores what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m are. Second, it examines whether the unification of the judgement criteria for the two Acts are adequat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ough there are comparatively clear distinctions of the objectives and concepts of disability for the two Acts, it is also found that there ar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regard to disability types and judgement criteria. The current disability judgement criteria for the two Acts are not reasonable and the lack of consistency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grades of disability. This causes discrepancies between the grades within a disability type and those between the grades among the disability types. Therefore it is needed to improve the consistency and for this, the unification of the consistency of the impairment based Barema methods for the two Acts is needed.

      • 사무용 건물의 자연채광 도입에 대한 국내ㆍ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비교 분석 연구

        권한솔(Kwon Han-Sol),김선욱(Kim Sun-Uk),엄현용(Eom Hyeon-Yong),정인영(Jung In-Yung),허정호(Huh Jung-Ho)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08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No.-

        The GBCC(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system has been in effect since 2001, which has various assessment item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uilding use. Nevertheless, the criteria related with daylighting has not been quantified yet as compared to the other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GBCC, and even the established measure for interior lighting energy saving also have not existed. Therefore, this study is in progress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e of day lighting-related items in the GBCC was examined. Second, the items were compared with the counterparts in the other foreign systems, such as LEED and CASBEE. Third, in the near future, this study plans to suggest the environmental-friendly certification criteria of daylighting utilization for office buil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