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 후 인접분절의 골극 형성에 대한 관여인자

        정의섭(Eo-Sub Jeong),최병열(Byeong-Yeol Choi),신충식(Chung-Sik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6

        목적: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 후 인접분절 골화 형성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을 시행 받은 7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외상 28명,퇴행성 경추질환 47명). 추시중 골화의 발생 시기 및 빈도를 확인하였고 외상군과 퇴행성 질환군에 따른 발생 빈도를 비교하여 연부조직 손상이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유합 범위, 나이, 수술 시간 등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결과: 총 33예(44%)의 환자에서 골화가 관찰되었다. 술 후 1년 이내 관찰된 경우가 5예(15%), 1-2년 사이에 관찰된 경우가 10예(30%), 2-3년 사이에 관찰된 경우가 13예(40%), 3년 이후 관찰된 경우가 5예(15%)였다. 유합 범위만이 골화의 발생과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연관을 보였다(p〈0.001). 외상군과 질병군의 비교에서 골화의 발생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63). 결론: 인접분절 골화 형성은 술 후 관찰되기까지 상당기간의 추시가 필요하며 연부조직의 손상 정도보다는 유합에 따른 인접분절의 과도한 부하가 발생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ffecting factors of adjacent level ossification development (ALOD)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nrolled 75 patients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nd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two years. Twenty-five patients were related with trauma and 47 patients were diagnosed as degenerative cervical disorder. We assessed the incidence, location and timing of ALOD, and compared the incidence of ossification between trauma and degenerative disease groups to know the effect of soft tissue damage. We also review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ossification at adjacent level and the factors, such as fusion level, age, operation time, duration of follow-up, and the presence of 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PLL), as well as ossification of yellow ligament (OYL). Results: Ossification developed in 33 patients (44%). Five cases (15%) were detected during the first year after surgery, 10 (30%) cases detected during the second year after surgery, 13 (40%) between second and third year, and 5 (15%) cases of more than three years after surgery. Only the fusion level wa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ossification statistically (p<0.001). Age, operation time, duration of follow-up, sex ratio, presence of OPLL, and OYL were not 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ossification signific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ALOD between the trauma group and degenerative disease group (p=0.3625). Conclusion: To detect ALOD, it needs a long time for follow-up after surgery. We thought that ALOD is affected by excessive loading at the adjacent level after fusion rather than severity of the soft tissue da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