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 주민의 식생활

        정은미 ( Jeong¸ Eunm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보건복지포럼 Vol.298 No.-

        김정은 정권 9년 동안 북한 주민의 식생활은 양적·질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음을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조사와 국내외의 통계 등에서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인구의 대다수가 하루 세 끼 식사를 하며 쌀 소비량과 고기 섭취량이 점진적으로 늘어났다. 북한의 국내 곡물 생산량은 국내 수요를 충족할 만큼 충분히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곡물 및 식료품 수입의 증가, 시장 구매력의 증가, 그리고 가전제품의 보유 등은 북한 주민의 식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2020년 이후 북한 주민의 식생활은 불안정해지고 있으며 북한 당국이 공식적으로 밝혔듯이 올해는 식량 부족을 겪고 있다. 북한의 식량안보는 이상 기후로 인한 자연재해나 코로나19의 대유행과 같은 외 생 변수의 영향에 취약성을 드러냈으며, 국경 봉쇄로 인한 대외 무역의 급감은 북한 주민의 식생활 불안정의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북한 주민의 식량 접근성을 높이려면 식량 지원뿐만 아니라 코로나19 백신의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 During the nine years of Kim Jong Un’s regime, the dietary life of North Koreans have improved quantitatively and remained stable, and this change is able to be indirectly confirmed through a survey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domestic and foreign statistics.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eat three meals a day, and rice and meat consumption gradually increased. Although the domestic grain production in North Korea is not high enough to meet domestic demand, the increase in imports of grains and food, the increase in market purchasing power, and the possession of household appliances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stabilizing the diet of North Koreans. However, since 2020, North Koreans’ diet has been unstable and, as the North Korea authorities have officially said, they are suffering from food shortages this year. North Korea’s food security has been vulnerable to the effects of exogenous variables such as natural disasters and the pandemic of COVID-19, and the sharp decline in foreign trade due to border blockade is a major factor in the instability of North Koreans’ diet.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food to North Korea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food support as well as COVID-19 vaccine support.

      • KCI등재
      •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1/5차년도)

        성주인(Seong Jooin),박대식(Park Daeshik),정은미(Jeong Eunmee),민경찬(Min Kyungchan)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Vol.- No.-

        연구의 배경 최근 한국 농어촌 마을은 인구 유출과 고령화로 과소화 공동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귀농 귀촌 증가로 주민 구성이 달라지면서 마을의 경제 활동이나 공동체 활동 양상도 변화하고 있다. 농어촌 마을은 대도시 접근성, 어메니티 자원 등의 요인에 따라 지역별로 다양한 유형으로 분화되며 이러한 변화 양상은 더욱 다변화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현재 농어촌 마을의 정주여건을 실증 분석하고, 향후 변화 방향을 전망하여 그에 따른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5년에 걸쳐 연속으로 진행되며 제1차 년도에는 전체 연구 조사 설계와 농어촌 마을의 전반적인 변화 실태와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 통계자료 분석, 사례 지역과 마을의 조사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서 농어촌 마을의 시기별 기능 변화와 선진국 농어촌의 변화 현상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둘째, 농어촌 관련 전국 단위 자료를 바탕으로 농어촌 마을의 거시적 여건 변화와 최근 농어촌의 지역 간 분화 현상을 분석한다. 셋째, 사례 지역 조사는 마을 이장 조사와 주민의식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인구 및 가구 변화, 공동체 활동 변화, 경제 활동의 변화 등의 전반적인 변화 실태를 파악한다. 연구 결과 및 시사점 농어촌 유형별 정주 여건 비교를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존에는 대도시 접근성을 농어촌 활성화 정도의 주된 결정 요인으로 보았으나, 점차 원격 지역이라 하더라도 새롭게 활력을 모색할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농업 기반이 강한 지역일수록 외부 인구 유입 등의 변화가 더디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이며, 커뮤니티 구성원에 따라 농어촌 지역별 특성이 다변화되고 차이를 보인다. 이에 따라 어떤 주민들이 거주하느냐가 농어촌 지역사회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셋째, 상당수 면 지역은 소재지라 하더라도 인구 증감이나 공동체 활성화 등에서 배후 마을과 실질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또한 귀농 귀촌인은 지역사회에 따라 활동 참여 양상이나 지향하는 가치 등의 성향에서 차이를 보이며, 정착 시기별로도 매우 다른 성향을 나타낸다. 한편 농어촌 마을 변화 및 활성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마을 단위의 심층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마을의 변화 요인을 몇 가지 특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요인으로 ① 도시 인구 유입, ② 소득 기반, ③ 마을 접근성, ④ 마을 리더 역량, ⑤ 마을 공동체 활동 역량, ⑥ 정부 지원 사업 등 여섯 가지 항목에 대해 사례 조사 결과를 정리하였다. 결과적으로 농어촌 마을 변화에는 대도시 접근성과 같은 입지 요인이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지만, 농어촌 내부의 미시적인 요인도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소득 기반, 자연환경과 어메니티 등의 요인이나, 마을 리더 및 주민들의 공동체 활동 역량, 전통 등의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같은 지역 내에서도 다양한 모습으로 마을 특성이 분화될 수 있다. 지역 내 외 네트워크나 정부 지원 사업 같은 외부 자원의 효과적인 활용도 마을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라 할 수 있다. 더불어 귀농 귀촌 인력 유입과 같은 변수가 작용하고 있어 장래 농어촌은 마을마다 더욱 다양한 양상으로 분화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Background of Research Recently, rural villages in Korea have been differentiated by region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aging of population, urban-to-rural migration, and government projects, and this trend has been more diversified.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hanges in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currently postmodernized, forecast their future changes, and accordingly present the policy direction. This research continues for five years, and the first-year study aims to design the whole research and identify the overall situation of changes in rural villages and their factors.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consists of the literature review, statistical data analysis, and research and analysis of case areas. First, we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hanges in rural villages" functions and in developed nations" farming communitie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Second, we investigate the changes in rural villages" macroscopic conditions and the recent division among regions in rural areas, based on national data on rural communities. Last, we conduct research on case areas through surveys on heads of villages and on residents" awareness, and analyze overall changes including changes in population, households, community activ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is study drew several implications from the comparison of settlement conditions by each type of rural villages. First, even remote regions with low accessibility to metropolitan cities have a possibility of seeking new vitality, different from the past. Second, the stronger an area"s agricultural base is, the slower its changes such as the inflow of the outside population are. Third, a significant number of myeon (township) regions with myeon offices do not show actual differences in population changes or community vitalization from villages around them. Last, people who returned to farming and rural areas are very different in their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or their values, especially according to the time of settlement. Also, their existence is a key variable in the vitalization of a village. Among the factors in changes in and vitalization of rural villages, the results of the case research on the six items, including 1) the influx of the urban population, 2) the income base, 3) village accessibility, 4) village leaders" capacity, 5) capabilities for community activities, and 6)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are as follows. Although the location factor such as accessibility to large cities still has a big influence, microscopic factors in rural villages are also important. Amenity factors like the income base and the environment, and social factors, including village leaders" and residents" community capacity and village traditions, work complexly, dividing villages even in the same area into various groups. In addition,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external resources such as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and networks in/outside a region also affect the vitalization of the village. Further, rural communities are expected to be more diversified in the future with great effects of a variable of the influx of people who return to farming and rural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