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요 전략지수별로 살펴 본 국내 대형건설업체의 해외건설 진출전략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정우용,한승헌,장우식,구본상,Jung, Woo-Yong,Han, Seung-Heon,Jang, Woo-Sik,Koo, Bon-Sa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0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1 No.1

        Although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gradually takes a important position among the export industries, the previous studies about international construction entry strategy have just focussed on trend investigation or suggestion for revitalization. Moreover, in order to prepare the market uncertainty such as world financial crisis and to plan the long term strategy, specific strategy studies based on corporate level are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estimates the nine strategic index and four financial index of 31 companies that performed 1920 international projects from 1993 to 2007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as three periods by multi-regression analysis. Also, this study analyze dynamic correlation between these index and the performance considering times. this study verifies that market diversification, product diversification, localization and decrease of debt to asset ratio make a good effect on the international order as long term strategy and shows that collaborated entry with domestic corporations, alliance entry with host country's company, alliance entry with third country's company, portion of labor cost and portion of management expense differently make a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as times.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for the construction companies to plan the international entry strategy reasonably and specifically. 해외건설이 국가수출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산업으로서 기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간 해외건설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는 단편적인 동향이나 활성화 제언을 제시하는데 초점이 모아졌다. 금융위기와 같은 시장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중장기 진출 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이러한 제언적 연구나 프로젝트단위의 연구보다는 제조업처럼 기업단위의 연구를 통해 실효성 있는 해외진출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993년부터 2007년까지 31개의 기업이 수행한 1,920개의 해외수주 프로젝트를 기업별로 분석하여 9개의 전략지수를 산정하고 4개의 재무지표를 조사하여 주요 기간별(아시아시장 도약기, IMF 조정기, 재도약기)로 기업의 수주성과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주요 전략지수와 재무지표의 각 시기별 증감이 기업의 해외수주량 증감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동태적인 분석을 추가하였다. 그 결과 건설기업의 지역다각화, 공종다각화, 현지화, 부채비율 감소는 어느 시기에나 중장기적으로 해외수주량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전략으로 평가되었으며, 국내기업간 공동진출비중, 선진기업 제휴비중, 현지기업 제휴비중, 인건비 비중, 관리비 비중의 증감은 시대에 따라 다르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성과는 해외건설진출 기업들에게 구체적이고 근거 있는 진출전략을 수립하고 해외시장진출 리스크를 관리하는데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중소·중견건설기업의 해외하도급사업 리스크관리 성과분석

        정우용,이바울,한승헌,Jung, Wooyong,Lee, Baul,Han, Seunghe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7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8 No.2

        최근 국내 대형건설기업들의 해외 수주급감과 사업손실은 산업체뿐만 아니라 학술기관에도 큰 이슈가 되어왔다. 반면에, 중소 중견건설기업은 대형건설기업보다 수주 기업수나 건수면에서 해외사업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많은 연구가 있지 못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 중견건설기업의 해외 하도급 사업에 특화된 리스크에 대하여 사업특성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실제 수행된 프로젝트를 조사하여 입찰 전 예측 리스크와 실제 발생한 리스크의 수준을 비교하여 리스크 중요도와 사업성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해외사업 계약조건과 사업의 수익성에 대한 특성에 따른 리스크 중요도와 관리 성과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외사업에서 국내 중소 중견건설기업이 직접시공을 할 때, 보다 나은 수익성과를 창출하기 위하여 입찰 전 어떠한 리스크 예측을 주의해야 하고, 수주 후 어떠한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지원해주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reduction of international award and project loss by Korean contractors have become a big issue not only in industry but also in academic fields. However, many researches have not focused on small and medium subcontractors but on the large contractors, even though the number of international project by small and medium companies is more than by large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predicted risk before bid and the actual risk after award in international subcontracting projects. In addition, it provides the difference between project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contract types and the project profitabi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more informed risk knowledge to small and medium subcontractors, which enables them to pay attention to managing risk for better project performances.

      • KCI등재

        해외 엔지니어링 사업의 리스크관리 성과분석

        정우용,이바울,한승헌,Jung, Wooyong,Lee, Baul,Han, Seunghe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7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8 No.2

        최근 들어 국내기업의 해외 엔지니어링 사업에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해외 엔지니어링 사업은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EPC 건설사업에 비해 리스크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국내기업의 해외 엔지니어링 매출수익은 그만큼 좋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엔지니어링 사업에서 많이 발생하는 리스크를 수주 전과 수주 후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사업을 총액계약방식과 실비정산계약방식으로 나누어 계약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리스크의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토목공종과 건축공종으로 나누어 리스크 차이를 분석하였다. 해외 엔지니어링 사업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를 다양한 각도로 분석한 본 연구는 산업체에게는 리스크 분석을 좀 더 실무적으로 참조할 수 있게 해주고, 학계에는 향후 좀 더 집중해서 연구해야할 엔지니어링 리스크 분야의 방향성을 제시해주는데 도움을 준다. In recent years, Korean engineering companies are actively entering into the international business. Although international engineering project is known to have lower risk rather that EPC construction project, Korean engineering companies' international sales profit is not as goo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risks that are predicted before bid and actually occurred after award.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e difference of risk depending on lump sum contract and cost reimburse contract.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of risk according to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engineering. This study provides industry to analyze risk more practically and helps academics to focus on risk to be studied more in the future.

      • KCI등재

        해외토목 원도급사업의 원가상승 원인에 관한 연구

        정우용,한승헌,Jung, Wooyong,Han, Seunghe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7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8 No.3

        최근 국내 대형건설기업은 해외사업에서 큰 손실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손실의 중요한 원인은 저가수주 및 수행역량 때문이었다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원가상승의 원인을 실제사례를 기반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13개 대형건설회사에 수행한 67개 해외토목 원도급 사업에 대해, 원가상승률, 예비비, 견적의 여유분, 입찰 전 리스크, 수주 후 발생한 리스크, 수주 후 원가에 영향을 미친 리스크 등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원가가 상승한 프로젝트는 입찰 전에도 어느 정도 리스크를 인식하고 있었으나 예비비나 견적에 반영된 리스크 금액이 충분하지 못했다. 특히, 원가가 크게 증가한 프로젝트 일수록 이러한 현상이 심하게 나타났다. 둘째, 원가상승의 원인은 내부역량 리스크보다는 외부환경 리스크에 의한 영향이 컸다. 하지만, 원가상승이 컸던 프로젝트에서는 내부역량 리스크도 상대적으로 크게 평가되었다. 셋째, 원가가 증가한 프로젝트들은 리스크 대응 성과가 좋지 않았지만, 원가가 감소한 프로젝트들은 리스크 대응도 중요하지만 입찰 전부터 리스크가 적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해외건설사업이 보다 나은 원가관리를 위해서, 입찰 전의 리스크 평가와 견적, 수주 후의 리스크 대응에 대해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In recent years, large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have suffered serious losses in their overseas business. Many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have analyzed causes of cost overrun in these projects. However, these arguments have not been empirically verified based on acutal project cases. This study investigated cost overrun rate, contingency, allowance, predicted risk before bidding, and actual and residual risk after award in the 67 international infrastructure projects conducted by 13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The causes of cost overruns a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ey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cost overrun to some extent before the bidding, but did not reflect the enough risk money to bid price. In particular, this behavior was more severe in badly cost-overrun projects. Second, the causes of cost overrun were more influenced by external environmental risk than internal capability risk. However, the internal risk in badly cost-overrun projects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cost-underrun projects. Third, badly cost-overrun projects failed to mitigate risk. However, cost underrun projects were affected more by low exterior risk conditions than by well mitigated risk. This study provides more informed knowledge in controlling project costs in international infrastructure projects.

      • KCI등재

        해외개발사업 발굴단계의 수주성공요인 분석

        정우용,한승헌,Jung, Wooyong,Han, Seunghe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7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8 No.3

        Recently,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have increasingly engaged in international PPP projects a result of both uncertainties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and low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EPC project business. These international PPP projects usually require long-term preparations and substantial sales costs, which make it important for decision-makers to select winning-award potential project in early stage of the projects. However, most previous research has analyzed success factors in terms of project development across all stage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28 success factors of 4 categories in the early stage of 31 international PPP projects. First, results indicate that unsolicited PPP projects require better implementation capabilities and financial conditions compared to solicited PPP projects. Second, implementation capability is important because it is not easy to improve as the project proceeds. Third, commercial conditions are identified as important even if conditions are not fixed in the early stage of PPP projects. Fourth, non-commercial conditions, strategy, and public interest are not found to be meaningful in the early stage of PPP projects because they can vary as the project proceeds. This study helps to improve selection criteria aimed towards more winning-award potential project in the early stage of international PPP projects. 국내건설시장의 불확실성과 해외 EPC도급 사업의 수주 경쟁력 약화로 인해, 국내건설기업의 해외개발사업에 대한 관심은 최근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해외개발사업을 수주하기 위해서는 오랜 준비기간과 판매비용이 투입되기 때문에 사업발굴초기에 수주까지 달성할 수 있는 사업을 선별하는 것은 의사결정자에게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사업초기단계보다는 사업개발 전체단계 관점의 타당성평가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1개 해외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사업발굴단계의 사업추진역량, 상업적 조건, 비상업적조건, 전략 및 공익성의 28개 의사결정요소와 사업수주 성공/실패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입찰형 사업과 제안형 사업의 리스크는 다소 다르며, 제안형 사업이 대체적으로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보다 나은 사업추진역량과 금융조건을 필요로 한다. 둘째, 사업발굴단계 이후에도 개선이 쉽게 되지 않는 사업추진역량의 중요도가 높다고 분석되었다. 셋째, 상업적 조건의 경우, 사업발굴단계에서는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나 수주가능성을 판단하는데는 유의미하게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넷째, 비상업적 조건과 전략 및 공익성은 사업발굴단계의 수주가능성 예측에는 유의미한 변수로 평가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해외개발사업의 수주가능성을 발굴단계 초점을 맞추어 실제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중소규모 지방 대학의 MOOC 활성화 방안 연구

        정우용(Wooyong Jung),오원근(Wongeun Oh)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21 예술과 인간 Vol.7 No.-

        본 연구는 국내외 고등교육 연구 및 대학 동향 분석을 통해서 지방 대학이 추구하는 MOOC의 방향을 제시하고 대학에 적합한 MOOC의 모형을 단계별로 제안한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비대면 교육이 급격하게 활용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인터넷을 활용한 교육은 점차 더 확대될 전망이며, 코로나 이후에도 많은 부분에서 지금보다 더 높은 이용률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대학의 교육 환경에 적합한 MOOC 플랫폼과 경쟁력 있는 컨텐츠를 구축하기 위해 국내외 MOOC 플랫폼의 동향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기반으로 지방에 위치한 중소 규모 대학의 MOOC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추진 방향과 절차에 대해 고찰하였다. MOOC는 장점도 있지만 비대면으로 인한 단점도 존재한다. 전통적으로 대면 교육을 해왔던 대학에서 비대면 교육의 장점을 흡수해서 경쟁력있는 새로운 대학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각 대학의 실정에 맞는 효율적인 MOOC 체계의 구축이 필수적이며,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MOOC pursued by local universities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trend analysis. And we propose a model of MOOC suitable for local universities step by step. Recently, non-face-to-face education has been rapidly used due to the coronavirus,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even after COVID-19. In order to build MOOC platforms and competitive contents suitable for the university"s educational environment, the trend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OOC platforms are investigated. Then, the direction and procedure for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MOOCs of small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located in the provinces were considered. Although MOOC has advantages, there are also disadvantages due to non-face-to-face communication. Universities have traditionally provided face-to-face education. In order to absorb the advantages of non-face-to-face education and make a competitive education system,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 efficient MOOC system suitable for each university"s situa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se stu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