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진 보법을 이용한 전방향 보행의 생체역학적 연구

        하종규(Hah, Chong-Ku),정왕수(Jeong, Wang-Soo),홍수연(Hong, Su-Yeon),장영관(Jang, Young-Kwan),기재석(Ki, Jae-Su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역학적 변인을 근거로 하여 후진보법의 전방향 보행(댄스보행)이 후방보행처럼 재활과 걷기운동으로써 가능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실행대상자는 13명의 여성댄스 전문가로 자료수집을 위하여 12대의 적외선카메라와 2대의 지면반력기가 동조되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댄스보행의 보속, 활보장과 양 하지지지기시간은 후방보행보다 크고, 활보폭은 작았으며 관절각범위, 관절모멘트와 관절파워의 최대치 출현 빈도에서 댄스보행이 후방보행보다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댄스보행이 재활과 걷기 운동에 후방보행에 버금가는 훌륭한 도구임을 판단하는데 충분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rstigate possibility of a forward gait with backward meehanism(dance gait) as rehabilitation and/or walking exercise by means of biomeehanical variables. Thirteen professional women dancers(age, 21,1±1.3 yrs; height, 159.3±7.2 cm; body mass, 45.1±8.4 kg)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found that speed, stride length and double limb support time of a dance gait were more greater than backward gait, but stride width of dance gait less than a backward gait. Maximum RoMs, moments and powers of the lower limb joints on a dance gait were more frequent than a backward dance. These results were judged to be sufficient by the possivility of dance gait as rehabilitatiob and walking exercise

      • KCI등재

        국궁 활쏘기 동작 시 근활성 분석

        김창선 ( Changsun Kim ),( Zhou Yuezhu ),박동호 ( Dong-ho Park ),김기훈 ( Kihoon Kim ),정왕수 ( Wangsoo Jeong ),김혜리 ( Hye-ree Kim ),이기광 ( Kikwang Lee ),민석기 ( Seok-ki Mi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21 체육과학연구 Vol.32 No.1

        〔목적〕 양궁종목에서 근전도를 이용한 운동학적 연구는 증가했지만, 우리나라 전통 활쏘기인 국궁 관련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궁 궁사를 대상으로 활쏘기 동작중의 근전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국궁 궁사 10명으로 활쏘기 자세에 따라 마주 서기 그룹(PSG, n=5)과 사선 서기 그룹(OSG, n=5)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근전도는 준비(Set), 거궁(Set up), 만작(Full draw), 발시(Release), 마치기(Ending) 등 5개 동작의 활쏘기 국면에서 12개의 근육에서 근전도를 측정했다. 〔결과〕 만작 및 발시 시의 뒤어 깨세모근, 등세모근, 큰마름근, 깍지팔의 넓은등근, 위팔두갈래근, 아래팔폄근무리, 위팔세갈래근, 어깨올림근의 근활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마치기 국면에서는 다시 감소했다(p<.01, p<.001). 또한, 척주세움근의 근활성은 만작 및 발시 시 증가(p<.01, p<.001)한 반면, 배곧은근, 넓다리곧은근, 큰볼기근에 있어서는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마주 서기 집단과 사선 서기 집단을 비교한 결과, 사선 서기 집단의 넓다리곧은근 근활성은 마주 서기 집단의 발시(p<.05) 국면 보다 높았고, 마치기 국면까지 유지되었다(p<.05). 한편, 활의 장력이 높아질수록 발시 시에 깍지 팔의 위팔두갈래근 근활성이 높아졌다(p<.05). 〔결론〕 국궁 활쏘기 시 복부, 다리, 엉덩이 근육보다 양팔과 등 근육이 더 활성화된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마주 서기 자세시에 상체를 비틀기 위해 하지의 근활성이 억제될 가능성이 있으며, 활의 장력이 높을수록 깍지 팔의 위팔두갈래근 근력 증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e past few decades has seen increasing kinematic studies using surface electoromyography (EMG) in archery, however there has been no such specific study in Korean traditional arch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MGs during archery shooting motion in Korean traditional archers. Ten men Korean traditional archers were participa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hooting stance; parallel stance group(PSG, n=5) and oblique stance group(OSG, n=5). The surface EMGs were measured 12 muscles during shooting motion of five events including Junbi(Set), Geogung(Set up), Manjak(Full draw), Balsi(Release), Machigi(Ending). At the result, muscle activity of posterior deltoid, trapezius, rhomboid major, latissimus dorsi, biceps brachii, forearm extensor bundle, triceps brachii, levator scapulae significantly increased at event of full draw and release, then significantly decreased again at event of ending, respectively(p<.01, p<.001). The muscle activity of erector spinae(ES)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t event of full draw and release(p<.01, p<.001), while no significant changes in muscles of rectus abdominis, rectus femoris(RF), gluteus maximus. As a result of comparing PSG and OSG, muscle activity of RF in OSG was higher than PSG at event of release(p<.05), it remained until event of ending(p<.05).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tension of the bow, the higher the muscle activity of the draw arm at event of release(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Korean traditional archery shooting, both side arm and back muscles are more activated than the abdomen, leg and hip muscles. The parallel stance might suppress the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extremities to twist the upper body. And the higher bowstring tension needs to increase of muscle strength in BB of draw a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