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매개감염병 취약군의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건강신념과 예방행동 및 영향요인

        정애숙(Ae-Suk Jeong),장경숙(Keong-Sook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본 연구는 성매개감염병 취약 대상자의 STI 건강신념을 확인하고 STI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관련업소, 단체 종사자 및 보건소 내소자 등 241명이며, 연구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우편 혹은 방문을 통한 자기기입형 설문자료를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5점 리커트 척도에 근거하여 지각된 민감성은 2.70점, 지각된 심각성은 3.63점, 콘돔사용의 지각된 유익성은 3.82점, 콘돔사용의 지각된 장애성은 2.45점, 콘돔사용의 자기효능감 3.93점 및 STI의 예방행위는 3.51점이었다. STI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콘돔사용의 자기효능감(β=.23, p =.003)과 콘돔사용의 지각된 장애성(β=-.15, p =.035), 교육수준(β=.16, p =.018)이 유의하였고 이들의 설명력은 17.0%이었다. 결론적으로 성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인식개선과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ealth beliefs of the vulnerable group on the prevention of STI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prevention behavio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41 of persons vulnerable to STI. A total of 24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mail or in person through relevant workplace, group members, and visitors to public health centers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s a result, the level of perceived susceptibility was 2.70, perceived severity was 3.63, perceived benefits of condom use was 3.82, Perceived barriers of condom use was 2.45, self-efficacy of condom use 3.93 and prevention behavior of STI was 3.51 based on 5-point Likert scale. Condom use self-efficacy(β=.23, p =.003), perceived barriers of condom use(β =-.15, p =.035), and level of education(β=.16, p =.018) we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STI prevention behavior and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17% of STI prevent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factors influencing and improving awareness to prevent ST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