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장인의 직무적합도가 번영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승철(Sung-Cheol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는 직무적합도가 번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일의 의미와 불안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공기업 및 일반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3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MOS 21, SPSS 21, 그리고 SPSS Process Macro v.3.3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적합도는 일의 의미 및 번영과는 정적 상관을 그리고 불안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직무적합도가 번영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일의 의미와 불안이 각각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들 일의 의미와 불안이 순차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이는 이중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직무에 대한 의식이 변화하고 정서적 및 심리적 웰빙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상황에서 조직 관리차원에서 직무적합도와 일의 의미의 효과적인 관리가 중요하다는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논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결론에서 다루어졌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work meaningfulness and anxiety in the process of person-job fit influencing flourishing.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20 employees working in various compani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MOS 21, SPSS 21, and SPSS Process Macro v. 3.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on-job fi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work meaningfulness and flourishing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Second, work meaningfulness and anxiety were both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and flourishing. Third, the dual-mediating effect of work meaningfulness and anxiety was confirmed.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important to manage effectively person-job fit and work meaningfulness at workplace as the individuals’ perspective toward work changes and the emotional/psychological well-being becomes even more essential.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신경증-스마트폰 중독-학교적응의 매개관계에 대한 자기 통제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정승철(Sung Cheol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의 주된 관심은 신경증-스마트폰 중독-학교적응에 이르는 매개과정에 대한 자기 통제력의 조절효과,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해서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인식되고 있는 중학생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녀 중학생 1,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자기 통제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인 학교적응의 세부 요인에 대해서는, 학교만족과 학업성취가 종속변인일 때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며, 대인관계가 종속변인일 때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자기 통제력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자기 통제력의 수준이 높을 때에 신경증의 수준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자기 통제력의 수준이 낮을 때보다 스마트폰 중독의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의 원인과 결과를 하나의 연결된 과정으로 검증하였다는 것과 이러한 과정에 대해서 신경증과 자기 통제력이라는 2개의 성격 변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된 시사점 및 제한점이 결론 및 논의에서 다루어졌다.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of neuroticism-smart phone addiction-school adaptation.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vulnerable to smart phone addiction, and 1,400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tail, school satisfaction and school performance, the sub-factors of school adaptation, showed significant results but social relation non-significant. Concerning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results supported significantly moderating effect, demonstrating that high level of self-control showed consistently lower level of smart phone addiction than low level of self-control regardless of level of neuroticism. We can find the meanings of this study in having demonstrated, on the one hand, the causal process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on the other,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is causal proces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neuroticism and self-control. Final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개인-직무 적합성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대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와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연구

        신인규,정승철,Shin, In-kyu,Jung, Sung-cheol 한국벤처혁신학회 2020 벤처혁신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job fit on job performance. In the proces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eaning of work an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was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04 employees working at the company organization and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alistic person-job fit and perceived person-job fit. Second, perceived person-job fit is a significant predictor of job performance. Third,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and job performance. Fourth,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the meaning of 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and work engagement.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orrelation of realistic and perceived person-job fit, which has not been studied in Korea before. It was found that person-job fit influences job performance through mediating emotional variables such as work engage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organization managers,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work environment that i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es and to manage how employees perceive person-job fi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upport employees to recognize that their work promotes their growth and contributes to the public goo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PR실무자의 직무특성이 번영에 미치는 영향 : 일의 의미와 직무열의의 이중매개효과 연구

        이지영,정승철,Rhee, Ji-young,Jung, Sung-cheol 한국벤처혁신학회 2020 벤처혁신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job characteristics of the PR practitioner on flourishing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eaning of work and job engagement. This study used a survey of 353 PR practitioners from PR firms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gathering the data of the job characteristics, the meaning of work, the job engagement and the flourishing by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Process Macro bootstrapping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job characteristics of the PR practitioner were found to influence the flourishing with the double-mediation effect, the meaning of the work and job engagement. The more PR practitioners regard their work affects their surroundings, the higher the degree of autonomy is, and the more they get feedbacks they engaged more, as they valued their job more thereby experience flourish more. Moreover, when PR practitioners valued their job more, they more engaged in their work and experience flourish. The meaning of work revealed to be the important factor to affect flourish regardless of the job characteristics and the job engagement so that gained the results that PR firms' effort to elevate the meaning of work of PR practitioners has is important.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PR practitioners' flourishing is manageable in the organization by paying attention to oneself in the aspect of the organization, not leaving in individual areas. Limita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고용안정성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고용 관련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 고령 근로자를 중심으로

        정우진,정승철,Jeong, Woo Jin,Jung, Sung Cheol 한국벤처혁신학회 2020 벤처혁신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노인 일자리의 고용 안정성과 노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고령층의 고용 안정성과 전반적인 삶의 질 사이에서 임금 만족도, 근무 환경 만족도, 전반적인 직무 만족도의 변인으로 이루어진 고용 조건 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7차 고령화연구조사패널(KLoSA) 조사 데이터에서 임금 근로자만을 추출하여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용 안정성과 고용 조건 만족도는 정적관계를 가진 반면, 고용 안정성과 고용 조건 만족도 모두 전반적인 삶의 질과는 부적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고용 안정성이 향상될수록 고용 조건에 대한 만족도는 올라가지만, 전반적인 삶의 질은 하락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할 경우 다른 연령층과는 다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과 노인 일자리의 질적 측면을 통하여 고령층의 삶의 질을 분석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의 차별성 및 시사점을 가진다.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d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ment stability of senior wage earners and their quality of life. Moreover, we analyzed a mediated effect of satisfaction variables: income satisfaction,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For the research, we used the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and analyzed the data set of 1,318 senior wage earn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exist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while the overall quality of life has a negative relation with both the job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howed a contradictory result from previous studies that claim that the quality of employment such as job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of life, and the result implies that the research on senior wage earners requires perspectives different from those on other age groups and social classes.

      • KCI등재후보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가 조직 침묵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 동기의 이중매개효과

        김주현,정우진,정승철,Kim, Joo-hyun,Jeong, Woo-jin,Jung, Sung-cheol 한국벤처혁신학회 2021 벤처혁신연구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ffice workers' covert narcissism on organizational silence and identify the (Duel)mediation effects 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This study used a survey of 393 office workers to measure the covert narcissism, the organizational silenc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BM SPSS 23 and SPSS PROCESS macro in a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 shows that the covert narcissism, the organizational silenc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have positive correlations. In addition,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and all of them showed adequat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between each variables. Next, the mediating model was verified by mediation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the organizational silenc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not verified and the avoidance motiv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the organizational silenc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avoidance motivation were gradually mediated through the (Duel)mediation effects model, and the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not on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but also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진로 성숙도가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구직 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성격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우진(WooJin Jeong),정승철(Sung-Cheol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 성숙도가 가들의 진로 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구직 효능감이 이를 매개할 때 성격 요인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 외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이를 위계적 회귀분석과 Hayes의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해당 변인들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 성숙도와 진로 결정 수준의 관계에서 구직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진로 성숙도가 구직 효능감의 매개를 통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성격의 5요인 중 외향성 요인이 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해당 변인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이 결론 및 논의에서 다루어졌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ity and job-seeking efficacy in the process of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ffecting their career decision certainty level.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54 college students attending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which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seek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certainty level. In addition, the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certainty, mediated by job-seeking efficacy, was shown to be controlled by personality, namely extraversion, confirming the moderate mediating effect of this variab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프로티언경력지향성, 지속학습활동,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나영(Na-Young Kim),정승철(Sung Cheol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지속학습활동을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과정에 대해서 조직문화 불균형성이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기업 경력 5년 이상의 사무직 근로자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5와 Process Macro v3.5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지속학습활동이 매개하는 것은 확인되었지만,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의 하위변인인 ‘자기주도성’이 지속학습활동을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 및 그 하위변인 ‘고용가능성’,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과정에 대한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에 제한점, 후속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organization culture unbalance plays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on the mediation process that protean career orientation influences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To this end, a survey was carried out on 276 office work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work experience in large compani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 and Process Macro v3.5. The results showed that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protean career orientation affecting subjective career success, but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unbalance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unbalance on the mediation process, that ‘self-direction’, protean career orientation’s sub-factor, affects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its’ sub-factor ‘employability’, and ‘career satisfaction’ through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our finding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리더의 자기기만 행동이 팀학습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감과 침묵풍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강석(Kang-suk Suh),정승철(Sung-Cheol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팀 리더의 자기기만 행동이 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안전감과 침묵풍토의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일반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원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과 Process Macro v.3.3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팀 리더의 자기기만 행동은 팀원들의 심리적 안전감과 부적 상관, 침묵풍토와 정적 상관, 팀 학습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팀 리더의 자기기만 행동이 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과 침묵풍토가 각각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심리적 안전감과 침묵풍토가 순차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조직의 팀 성과 향상을 위해서 팀 리더의 진정성의 관리가 중요하다는 실무적인 의의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된 시사점 및 제한점이 결론 및 논의에서 다루어졌다.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PS) and silence climate(SC) in the process of team leaders self-deception behavior(SD) influencing team learning(TL). We conducted a survey of 294 workers in domestic companies and analyzed the data statistically using SPSS 21 and SPSS Process Macro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ll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significant showing that SD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C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PS and TL, 2. simple mediation effects(SD-PS-TL and SD-SC-TL) are all significant, 3.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and silence climate on the relation between team leader’s self-deception behavior and team learning(SD-PS-SC-TL) is verified. This study showed that the authenticity of team leaders could be an crucial element for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effectiveness. Final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선호음악 감상의 음악치료가 언론사 기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전지은(Jee-Eun Jeon),정승철(Sung-Cheol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선호음악을 활용한 음악치료 활동이 언론사 기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열의, 번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기자 51명으로 실험집단은 A방송국의 기자 20명, 통제집단은 계열사인 A신문사의 기자 31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은 총 2주 동안 하루 최소 3회 이상 선호음악 감상을 자율적으로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활동도 하지 않았다. 자료 분석을 위해 실험 시행 직전(사전)과 종료 후(사후) 각 집단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직무열의 척도, 번영척도 점수를 수집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했으며, 통제집단과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점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직무열의 또한 유의한 차이로 증가되었다. 셋째, 번영의 경우 실험집단의 사후 평균값이 소폭 상승하였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언론사 기자의 직무스트레스 상황에서 회복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activities using preferred music on job stress, work engagement and flourishing of reporters in broadcasting company. The study targets 51 reporters in S city, with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20 reporters from A broadcasting company and the control group composed of 31 reporters from A newspaper company. The experimental group voluntarily listened to preferred music at least three times a day for two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any activities. For data analysis, the job stress scale, work engagement scale, and flourishing scale scores of each group were collected righ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s job stress decreased, and significant score differences were also shown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work engagement also increased by a noticeable difference. Third, in the case of flourishing, the after experiment’s average value rose slightl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is research offered implications for the need for a music therapy activity program to recover from reporters’ job stress circumstances and discusse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