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산 육상 지역 탄소보유량 및 경제적 가치 평가

        정세화(Sehwa Jeong),성기준(Kijune Sung) 한국생태공학회 2021 한국생태공학회지 Vol.8 No.1

        Studies on estimating and assessing carbon storage related to natural-based solutions that reduce carbon by utilizing ecosystems, one of the carbon neutral strategie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re being conducted. In this study, assessment of carbon storage and economic value of terrestrial area area in Busan were conducted using the Carbon model of InVEST, an ecosystem service-based assessment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terrestrial area increased from the past time due to the development of coastal stations and urban areas, but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decreased. Dong-Busan and Gijang-gun, which have the largest area, had the highest carbon storage per unit area. In the case of Gijang-gun, the rate of reduction in carbon storage was the largest among administrative districts. In order to realize carbon neutrality in Busan,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carbon storage capacity of important ecosystems by comparing the current status of carbon storage and the amount of carbon changes caused by development.

      • KCI등재

        국내외 해양생태계 관리계획의 네트워크 분석

        정세화 ( Sehwa Jeong ),김영하 ( Yeongha Kim ),여운상 ( Unsang Yeo ),성기준 ( Kijune Su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1 환경영향평가 Vol.30 No.1

        해양과 연안 지역의 과도한 개발과 이용으로 인하여 해양생태계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국가에서 해양생태계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와 주요 해양 국가들의 해양생태계 관리 방향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외 공통적으로 해양생태계 관리 기반 구축, 국제적 협력 및 파트너십 구축, 기후변화 대응 강화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strengthen, promote, improve, establish 등의 단어가 많이 사용된 핵심어로 나타났다. 하지만 세부적인 관리계획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국외에서는 특정 종에 대한 관리계획의 제시와 이미 수행 중인 제도적 기반을 개선하는 단계인 반면, 국내의 경우 포괄적인 해양생물 관리 강화 및 해양생태계 관리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는 단계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외 해양생태계 관리 방향을 이해하고 향후 국내 지역의 해양생태계 관리계획 수립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marine ecosystem management plans to solve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excessive development and use of marine and coastal areas. In this study,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compare and understand marine ecosystem management's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in Korea and other maritime countr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ords ‘strengthen,’ ‘promote,’ ‘improve,’ and ‘establish’ were the keywords used a lot in domestic and foreign marine ecosystem management plans.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marine ecosystem management, establish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partnerships, and strengthen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was commonly included.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detailed management plans. In foreign countries, it aims to present management measures for certain species and improve the existing institutional foundation. Still, in Korea, it aims to strengthen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marine life and establish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marine ecosystem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he direc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marine ecosystem management and establish a domestic marine ecosystem management plan in the fu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