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정성지(Seongji Jeong),최수(Sujung Choi),윤순진(SunJin Yu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8 環境 敎育 Vol.3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다룬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통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2018년 동안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다룬 문헌 중 2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이 가운데 PRISMA chart에 부합하는 17편의 논문은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2018년 동안 환경소양의 전체평균 효과크기는 2.488로 큰 효과크기를 지니고 있었다. 둘째, 환경소양 구성 요소별로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환경기능, 환경지식, 환경정서, 환경행동 순으로 높았으나,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조절변인에 따라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3학년, 6학년, 5학년 1학년, 2학년의 순으로 평균 효과크기가 컸다. 회기 수에 따라 평균 이상(13회) 수업을 진행한 집단이 평균 미만 수업을 진행한 집단보다 평균 효과 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개별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환경 소양의 함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전체 평균 효과 크기 및 관련 조절 변인별 통계적 차이를 밝혀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study aims to integrate findings of the studi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nd to access an overall estimate of its effectiveness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tudents. Among 176 studies, a total of 28 experimental studies were obtained for a systematic review insp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udy that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rom 2000 to 2018. With a total of 61 effect sizes of 17 studies, which were qualified for criteria of a PRISMA chart, a meta-analysis was utilized using R.3.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f the studies was big (d=2.488).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environmental literacy, the effect sizes of environmental functio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were higher in order, but the mean difference among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students’ grade (grade3 > grade6 > grade5 > grade1 > grade2) and number of lessons (more than average (13 times) > less than average).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mean effect size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statistical difference according to program characteristics.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y is needed to analyze the effects size of environmental literacy including other sub-factors and to discover additional significant program characteristics affecting environmental literacy.

      • KCI등재

        DACUM 방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분석 연구

        진철(Jinchul, Jeong),김재호(Jaeho, Kim),남중수(Jung-Soo, Nam)임소현(Sohyun, Im),정성지(Seongji, Jeong),조홍용(Hongyoug,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이 연구의 목적은 DACUM 직무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특성과 진로교육 목표를 분석하고 진로전담교사 직무 관련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DACUM 직무분석을 통하여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책무(Duty)와 과업(Task)을 도출하고 각 과업의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DACUM 직무분석을 위해 1명의 직무분석가, 9명의 데이컴 위원(내용 전문가), 3명의 서기, 2명의 실무자로 이루어진 DACUM 위원회를 구성하여 2017년 7월 25일에 DACUM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를 ‘학생들이 행복한 삶을 사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진로개발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교 진로교육과정 편성, 운영 및 평가를 총괄하고 교사의 진로교육을 지원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8개의 책무(학교 진로교육과정 편성(기획), 진로교육(단위) 프로그램 구안, 진로교육 정보지원, 진로심리검사 실시, 진로상담 지원, 진로체험 운영, 교사/학부모 진로교육 역량 강화, 진로교육과정 운영 결과 평가 및 환류)를 도출하였으며 각 책무 별 과업은 총 48개로 분석되었다. 셋째, 각 과업의 중요도를 평정한 결과 핵심 과업으로 20개가 도출되었다. 넷째, 초등 진로전담교사에게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제시하였으며, 9개의 지식과 15개의 기술이 도출되었고, 갖추어 야 할 바람직한 태도로는 12개의 태도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 by applying the DACUM task analysis techniqu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we analyzed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areer education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former research related to career teacher. Based on the analysis of DACUM tasks, we have drawn out the duties and tasks of our career teacher and weighed down the importance of each task. For the DACUM job analysis, we organized one task analyst, nine subject matter expert, three staff members, and two practitioners and hold a DACUM workshop on the 25th of July, 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fining the job of an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 as ‘to develop basic career development skills necessary for a happy life,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 is responsible for organizing, operating, and evaluating school career education courses and supporting the career education of teachers’. Second, there are eight duties (organizing/planning school career education curriculum, career education (unit) program design, career education information support, operating psychological examination, career counseling support, career experience management, strengthening teacher/parent career education competency, evaluation and feedback of career course operation results) and the total number of tasks according to eight duties is 48. Thir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each task, 20 core tasks were derived. Fourth, the opinions about the gener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s were collected and presented. Therefore, nine knowledge and fifteen technologies were derived, also a desirable attitude was derived from the recommended attitude.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진로체험기관 인증지표 개발

        진철(Jinchul Jeong),김재호(Jae-Ho Kim),남중수(Jung-soo Nam),이현민(Hyunmin Lee),정성지(Seongji Jeong),이영광(Yeonggwa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자유학년제・연계학기 확대와 관련하여 다양한 진로체험처가 참여하는 풍토에서 안전과 질이 보장된 진로탐색활동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의 인증지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진로체험기 관 인증제 지표 개발을 위해 델파이와 AHP를 실시하였으며, 델파이는 진로교육 연구자 3인, 진로전담교사 3인, 진로체험지원센터 담당자 3인 등 총 9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11월 8일~12월 28일까지 총 3회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진로체험기 관 인증지표를 개발하고 각 항목별로 배점을 확정하였다. 두 차례의 델파이를 통하여 지표는 크게 ‘1. 체험기관’, ‘2. 프로그램’의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1. 체험기관’의 경우, ‘가. 체험기관 역량’, ‘나. 체험환경 관리’, ‘다. 체험기관 특별기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2. 프로그램’의 경우, ‘가. 프로그램 기획’, ‘나. 프로그램 운영’,‘다. 프로그램 평가’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the career experience agencies’ accreditation system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of safe and qualified learning environment with more career experience agencies engaged. Delphi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questions. Each of three researchers, career specialist teachers and staffs from career experience support center participated as expert panel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between 8th Nov and 28th Dec in total. In result, the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career experience agencies were developed and the mark distribution for each category was confirmed. The accreditation indicators consists of ‘1). career experience agencies’ and ‘2) programs.’ In case of ‘1)career experience agencies’, sub-areas were divided into a. ‘career experience agency capacity’ and ‘b. career experience environment management and ’c. special criteria for career experience agencies‘. In case of ‘2) programs’, the sub-areas were divided into ‘a. program planning , ‘b. program operation . ‘c. program evaluation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