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al factors of integrating ICT into instructional environment

        정선영(Sunyoung Joung)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논총 Vol.27 No.1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지닌 ICT의 교수적 활용에서의 태도와 신념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자는 예비교사들이 지닌 ICT의 교수적 활용의 수준과 성향에서 특히 교육적 가치, 학문적 기대, 기술적 비용이 주는 영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어 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ICT의 교수적 활용은 예비교사가 가진 교육적 가치와 기술적 비용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이 ICT를 교수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동기를 예측하는 모형은 다음과 같다. (ICT의 교수적 활용)² = 1.845 + .516(교육적가치) + .069(기대) - .225(기술적비용).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and beliefs in the instructional use of ICT. The researcher, particularly, investigated the level and nature of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use of ICT, more specifically, the association among the pedagogical value, academic expectancy, and technical cost. The research results repor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of pedagogical value and cost on the instructional use of ICT. From the result, the researcher produced the following equation predicting the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 of integrating ICT for instructional environment: (Instructional Use of ICT)² = 1.845 + .516(Value) + .069(Expectancy) - .225(Cos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예비유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관계

        정선영(Joung Sun young),김진영(Kim Ji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3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problem-solving. The research subjects were 203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in T-city. For the measurement of self-leadership, RSLQ(Revised meta-cognition Questionnaire) by Houghton and Neck(2002), which was validated for Korean college students by Shin, Kim, and Han(2009); and for the measurement of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SPSI(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developed by D\ zurilla and Nezu(1990) were used after expert reviews and several revisions to meet the research goa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groups with higher self-leadersip had higher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than those with lower self-leadership. Among the sub-components of self-leadership, behavior centered strategy and innovative thinking strategy except from natural compensation strategy appeared significant factors. Particularly, behavior centered strateg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prediction power of sub-components of self-leadership on social problem-solving,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problem definition was behavior centered strategy; that for solution generation was innovative thinking strategy; that for decision making was behavior centered strategy, that for execution confirmation was behavior centered strategy. The current research suggests useful advices in planning and practicing educational programs and curriculum for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지하는 셀프리더십과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 결기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203명의 T광역시에 거주하 는 예비유아교사가 참여했으며, 셀프리더십 검사도구로는 Houghton과 Neck(2002) 이 제작한 RSLQ(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를 신용국, 김명소, 한영석 (2009)이 우리나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 한 척도를 바탕으로 하고, 사회적 문 제해결기술은 D\ zurilla 와 Nezu(1990)가 제작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SPSI: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부합되게 여러 차례 전문 가 검토와 예비검사를 통해 수정 및 보완 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셀프 리더십이 높은 집단은 셀프리더십이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이 더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소 중 자연보상전략을 제외한 행동중심전 략과 건설사고전략이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요소로 나타났 으며, 그 중 행동중심전략이 가장 핵심적인 요소였다. 또한,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소 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의 하위요소인 문제규정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행동중심전략 이었다.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대안산출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 인 건설사고 전략이었다.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의사결정기술을 예측 할 수 있는 유일한 요소는 행동중심전략이었다.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실행확인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행동중심전략이었다. 본 연구결과 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과정개발에 유용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 KCI등재

        기업가정신 교육이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정선영(Joung, Sunyoung),김도현(Kim, Dohyeon),김래영(Kim, R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가정신 교육이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9월부터 2018년 12월 사이 4개월 간 전국 11곳의 고등학생 578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 프로그램 치, 사후검사 순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 되었으며, 최종 44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은 총 10차시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개념 측정을 위해 송인섭(1982)의 자아개념 진단검사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해 Tayor와 Betz(1983)가 개발한 CDMSES-SF(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Scale: Short Form)를 본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은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각각의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 진로교육으로서 기업가정신 교육의 활성화와 정책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validated the effects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ir self-conceptions and self-efficacy in career-determination. The subjects were 442 students from 11 high schools in nationwide.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ither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ed of ten sub-topics for 10 weeks. We used the research instrument developed by Song(1982) to measure the self-conceptions, and the CDMSES-SF(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ient Scale: Short Form) to measure self-efficacy developed by Taylor and Betz (1983)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o meet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has shown that the youth entrepreneurship program affected their sub-components of self-conceptions and self-efficacy in career-determination.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the level of policy for youth career education.

      • KCI등재

        예비유아 교사의 메타인지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관계연구

        정선영(Joung Sun young),김진영(Kim Ji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지하는 메타인지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211명의 T광역시의 예비유 아교사가 참여했으며, 메타인지 검사도구로는 Schraw와 Dennison(1994)이 제작한 Meta-cognitive Skill 측정도구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은 D\ zurilla 와 Nezu(1990)가 제작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SPSI: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를 취하 여 본 연구에 부합되게 여러 차례 전문가 검토와 수정 및 보완 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메타인지가 높은 집단은 메타인지가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문제 해결기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의 하위요인인 계획하기, 정보관리하 기, 모니터링하기, 수정하기, 평가하기 모두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을 유의하게 예측하 는 요소로 나타났으며, 그 중 모니터링이 가장 유의한 핵심요소로 분석되었다. 메타 인지의 하위요소가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의 하위요소인 문제규정, 대안산출, 의사결 정, 실행확인을 예측하는 설명력을 알아본 결과 제규정을 예측하는 핵심요소는 정보 관리하기였고, 대안산출과 의사결정 및 실행확인을 예측하는 핵심요소는 모니터링 하기였다. 따라서, 메타인지의 5가지 하위요소 중 모니터링하기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에서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준다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meta-cognition and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11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T-city. For the measurement of meta-cognition, the Meta-cognitive Skill inventory developed by Scharaw and Dennison(1994), for the measurement of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SPSI(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developed by D zurilla and Nezu(1990) were used after expert reviews and several revisions to meet the research goa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groups with higher meta-cognition solved the social problems better than those with lower meta-cognition. Among the sub-components of meta-cognition, planning, information-managing, monitoring, debugging, and evaluating, all of them appeared to be significant factors. Particularly, monitoring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prediction power of sub-components of meta-cognition, information management was the core predictor for problem definition. Also, monitoring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for solution generation, decision-making, and performance confirmation. Accordingly, meta-cognition, particularly monitoring among five sub-components of meta-cognition, i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for social problem-solving. The current research suggests useful advices in planning and practicing educational programs and curriculum for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하는 토론능력과 갈등관리전략의 관계 연구

        정선영(Joung, Sunyoung),배성아(Bae, Sung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학습자가 인식하는 토론능력과 갈등관리전략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200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토론능력과 갈등관리전략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것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전문가검 증과 예비검사를 통해 수정 및 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초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자신의 토론능력과 갈등관리전략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동일 학교급내의 학년별과 성별 및 토론경험횟수에 의한 유의한 차이 는 없었다. 둘째, 토론능력의 수준에 따라 갈등관리전략에 있어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회피적인 특성을 제외한 하위요소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토론능력의 하위요소와 갈등관리전략의 하위요소간의 상관관계 분 석에서 회피적 특성을 제외하고 그 결과가 모두 유의했으며, 전체적인 갈등관리전략과 배려적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토론능력의 하위요소는 논쟁적유연성만이 유의하였다. 통합적 특성에서는 표현력과 조사능력이 긍정적인 영향을, 논증력이 부정적인영향을 미쳤으며, 지배적 특성에서는 표현력과 논쟁적유연성이, 타협적 특성에서는 조사능력과 논쟁적유연성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이 같은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상황에서 토론능력배양을 통한 갈등관리 능력향상의 중요성을 검증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s perceived discussion skills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In this study, 200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survey. For research instrument for measurement of discussion skills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were used after properly revising the instrument used in previous studies for the current research purpose and subjec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level perceived their discussion skills and conflict management skills better than those of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depending on the grade level within the same school level, gender and discussion experience frequenc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depending on the level of discussion skills including sub-components of conflict management skills except from avoidant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sub-components of discussion skills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except from avoidant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According to the prediction power of discussion skills on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argumentative flexibility among sub-components of discussion skills shaw significant prediction power on conflict management overall as well as considerate conflict management. Expression skills, investigation ability were positive and proof ability was negative on integrative conflict management. Investigation skills and argumentative flexibility was found significant on cooperative conflict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for basic resource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scussion skills for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in variety of settings.

      • KCI등재

        해석적 발문에 기초한 온라인 하브루타 활동이 예비중등교사의 구성주의 교육관에 미치는 효과

        정선영(Joung Sunyoung),김민수(Kim Min-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해석적 발문에 기초한 온라인 하브루타 활동이 구성주의 교육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서울 소재 K 예비중등교사 22명을 대상으로 구성주의 교육관을 측정하기 위해 배계자(2003)가 개발한 구성주의 교육관 측정 도구를 본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사전검사와 12주의 온라인 하브루타 활동, 사후검사로 연구절차가 진행되었다. 12주간 매주 다른 고전소설 텍스트를 사용하여 해석적 발문에 기초한 온라인 하브루타 활동을 진행하였다. 토론그룹은 2인 1조로 구성되었으며, 독립적인 토론방에서 진행되었다. 예비중등 교사는 고전소설 텍스트와 텍스트의 내용을 담은 동영상을 미리 개별학습한 후 하브루타에 참여하였다.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은 해석적 발문 7가지(단어의 뜻, 문장의 표현, 글을 통한 유추, 비교나 대조, 느낌, 가정)에 관한 주어진 발문을 시작으로 파트너와의 질의응답을 주고받았다. 결과 해석적 발문에 기초한 온라인 하브루타 활동이 예비중등교사의 구성주의 교육관(t=-2.13, p<.01)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해석적 발문에 기초한 온라인 하브루타 활동에서 해석적 발문의 범주를 사용하여 텍스트의 모호한 의미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조직함으로써 구성주의적 교육관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데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effect of online Havruta activities based on interpretive questions on the constructivist view of education was analyzed. Methods To this end, the constructivist education view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Bae Gye-ja (2003)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suit the research purpose to measure the constructivist education view for 22 K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ed with a pre-test, 12 weeks of online havruta activity, and a post-test. Online havruta activities were conducted based on interpretive questionnaires using a different classical novel text every week for 12 weeks. The discussion group consisted of two in one group in an independent discussion room. Pre-secondary teachers participated in havruta after individually learning the text of the classic novel and the video containing the text in advance. In the online havruta discussion, questions and answers were exchanged with partners, starting with a given question about 7 interpretive questions (meaning of words, expression of sentences, analogy through writing, comparison or contrast, feeling, and assumption). Results Online Havruta activity based on interpretive questions is the constructivist education hall of pre-secondary school teachers (t=2.13, p<.01)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It is meaningful that the constructivist view of education was constructed by specifically exploring and organizing the ambiguous meaning of the text using the category of interpretive

      • 청소년의 애착유형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인식간의 관계 연구

        정선영(Sun Young Joung),김진영(Jin Young Kim)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논총 Vol.2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애착유형과 자기조절학습능력 인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347명의 경상북도 포항시 D중학교 1~3학년생이 참여했다. 검사도구로는 애착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Bartholomew와 Horowitz(1991)에 의한 성인애착질문지, 양명희(2000)에 의한 자기조절학습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애착유형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전반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소인 인지조절능력, 동기조절능력, 행동조절능력에 있어서도 각각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인지조절과 동기조절 능력에서는 안정애착과 공포애착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양가나 회피애착유형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행동조절능력에서는 안정애착과 양가 및 공포애착유형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회피애착유형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 attachmen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347 D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sang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instrument, the researchers used the revised adult attachment questionnaire (Bartholomew & Horowitz, 1991) to analyze ones' attachment styles questionnaire by Yang(2000),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questionnaire by Yang (2000).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ecure attachment also showe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in general as well as in the cognitive, motiva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Specifically, the secure attach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cognitive and motivative self-regulation than the fearful-avoidants but not than the avoidants or ambivalents The secure attach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behavioral self-regulation than the fearful-avoidants and ambivalents but not than the avoidants.

      • KCI등재

        이스라엘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의 상호작용패턴 분석

        정선영(Joung, Sun young),최현(Choi, Hy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에서는 이스라엘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에서 나타난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하브루타 온라인 상호작용의 유형 및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의 K대학에서 교육공학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 16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부터 6월까지 이스라엘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토론을 실시하였다.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12주 동안 5개의 주제로 이루어진 토론활동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범주화하여 상호작용 유형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하브루타 원리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의 유형은 주장을 주의 깊게 들여다보기, 차이를 발견하고 탐색하기, 설득력 있는 근거 제시하기, 의미 절충하고 확장하기, 변화와 도전 및 협력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하브루 타 토론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지속적인 질문과 답변을 통한 질 높은 상호작용의촉진을 돕고, 교수자들에게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활동의 교수학습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외 하브루타 토론활동의 활용 및 적용에 있어 교육현장에 많은 의의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rising emphasis of innovation and creativity in education has shed light on a unique Jewish teaching method, known as havruta. Havruta is Israel’s traditional form of Jewish debating, in which two persons examine, analyze, discuss, and facilitate arguments whilst thinking through answers and questions repetitively with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online discussion by analyzing those of interaction patterns peform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Israeli’s Havru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students, who registered for educational technology certificate-related courses at K University in Seoul.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on five different topics, and it was carried out for 12 weeks. To analyze the interaction patters of online discussion, Gunawardena et al’s (1997) Interaction Analysis Model was adap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type of interaction that was indicated by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Israel s havruta principle were diverse - ranging from being attentive to arguments and opinions, discovering differences and investigating, proposing credible evidences, meaning negotiation and extension, open to changes, challenges and cooperation etc. By utilizing online havruta’s discussion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interactions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to the learner will be promoted extensively, and provide new strategies and new way of learning for online havruta discussional activities for scholars. In addition, this study of the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the principle of Israel s havruta will give influence to education in South Korea, opening up as a momentous educational outbreak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