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루노 야셴스키의 『주범』과 안티유토피아

        정보라(Bora Chung)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2 슬라브학보 Vol.27 No.1

        Bruno Jasie?ski is an unusual writer in many respects. He is a Jewish Pole who chose to immigrate to the Soviet Union. He became a Soviet Russian writer and started writing in Russian shortly after the immigration. His Russian works, however, still show unique aspects that are not typically Soviet Socialist Realist, as many critics came to consider him over the years. Jasie?ski’s works are more cosmopolitan than just Russian, and deals with deeper philosophical issues that are easily dismissed under the strong political statements. In the short story “The Main Culprit” (Главный виновник), the main character has to go to fight in wars against his will, must suffer from a great fear of death, and is forced to choose between a death sentence that will validate his sufferings or a life without meaning. The hero, who has shown an overwhelming fear of death throughout the story, chooses to be executed as the “main culprit” of a non-existent anti-government crime, because he thinks it is the only way to make any sense of all the pain and suffering he experienced. The society he lives in is an anti-utopia precisely because it takes away the meaning of life and turns the vast majority of its members into the anonymous, nonchalant, distant “they.” Additional discussions of passages from Jasie?ski’s other works demonstrate that the meaning of life has been one of his central topics in many of his major works, both before and after his immigration to the USSR. It will do him justice only when one reads past the political statements to discover the more philosophical aspects.

      • KCI등재

        도스토옙스키와 페트루솁스카야의 고통받는 어머니들

        정보라(Bora Ch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4

        도스토옙스키는 여러 작품에서 여성을 고통받는 인간으로 묘사하였다. 특히 『죄와 벌』의 카테리나 이바노브나는 여성으로서 어머니로서 현실에 좌절하여 광란하고 죽음에 이르는 인물이다. 도스토옙스키는 카테리나 이바노브나의 이상성과 광기를 공감과 연민의 눈으로 묘사한다. 현대 러시아 문학에서 류드밀라페트루솁스카야 작품의 어머니들은 경제적 곤란에 시달리고 사회적으로 불안정한 삶을 이어간다. 그녀들에게 자식을 양육하고 부양하는 의무는 존재 이유이고 삶의 원동력이면서 엄청난 부담이자 고통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페트루솁스카야의 어머니들은 모순적이고 양가적인 특징을 보인다. 작가는 이를 통해 어머니인 여성, 남성의 성애적 대상이 될 만큼 젊지 않고 아름답지 않은 여성을 입체적이고 다면적인 인물로 형상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어머니를 고통받는 불완전한 인간으로 묘사한 러시아 문학의 두 작가를 비교하여 러시아 문학에서 어머니 형상의 다양한 모습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compare and contrast Dostoyevsky and Petrushevskaya, the two great authors in Russian literature who focused on the image of a mother as an imperfect human being who is in pain and struggles in life for her children. Fyodor Dostoyevsky depicts women as human beings in pain in many writings. Katerina Ivanovna in Crime and Punishment, for example, is deeply frustrated with her reality because she is a woman and a mother; she suffers madness and eventually dies. Although Dostoyevsky describes Katerina Ivanovna as a clearly abnormal character, his depictions remain compassionate. In modern Russian literature, Lyudmila Petrushevskaya often depicts mothers who are impoverished, economically strugling and leading unstable lives. For these mothers, raising children, taking care of them and feeding them is at once a burden and their raison d’être. Because of this, mothers in the works of Petrushevskaya tend to display conflicting thoughts and ambiguous attitudes. They are not young or pretty enough to be a love interest in the eye of men and therefore the author depicts them as complex human beings.

      • KCI등재

        러시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비교연구

        정보라(Bora Ch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3

        러시아 문학에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은 소비에트 시기라는 역사적 특이성 때문에 서구에서 논의하는 문예사조의 흐름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모더니즘의 특징이 하나의 통합적인 이상을 정립하려는 유토피아적 시도였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러한 이상이 해체되는 양상을 보인다는 측면에서는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러시아의 경우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변화 발전해야 할 기간의 중간 시기를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정치성 강한 문예사조가 지배했으며,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그 자체로 또한 일률적인 이상향을 소비에트 국가체제 전체에 주입하려는 시도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소비에트 말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현대 러시아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억압적이고 기만적인 사회에 대한 조롱과 함께 모더니즘과 그 이전 시기의 역사적, 문학적 전통을 재발견하여 계승하는 것은 물론 모방하고 변형하여 재창조 한다. 문학적 기법은 물론 주제와 소재에서도 이러한 연결점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러시아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여러 측면에서 모더니즘의 직접적인 패러디로 나타난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시기를 대칭점으로 설정하고 그 이전 이 모더니즘의 시기이며 이후가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기라면 러시아에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은 동전의 양면이며 러시아 현대문학이라는 하나의 전체를 이루는 두 축이다. 본고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여러 성격 중에서도 모더니즘적 지향성의 패러디이자 현실의 패러디로서의 측면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러시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역사적 흐름이라는 하나의 큰 틀 안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In Russian literature, Modernism and Postmodernism present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ern counterparts because of one major historica uniqueness: the Soviet period. The common feature that Russian literary trends share with their Wester counterparts is that Modernism was a rather utopian attempt to find and confirm a synthetic, unilateral ideal, while Postmodernism shows the deconstruction of such an ideal. However, in the case of Russia, the period in which Modernism should have changed and developed freely into Postmodernism was ruled by the very political and ideological Socialist Realism, which was itself an attempt to impost a unilateral utopian ideal upon the entire Soviet Union and its system. Therefore Russian Postmodernism, which began to manifest itself in the late Soviet period, shows the tendency to ridicule the oppressive and deceptive society and attempts to re-discover the previous literary and cultural traditions, succeed them, mimic, modify and re-create them. One can find these links between Postmodernism and its predecessors not only in terms of literary techniques but also in themes and subjects. In general Russian Postmodernism appears as a parody of Modernism in many respects. One may posit that Russia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re mirror images of each other, on either side of the same coin, composing a whole that is modern Russian literature, with Socialist Realist period in the middle.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examine Postmodernism as a parody of the Modernist tendencies and a parody of reality and history, and ultimately to consider Russia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s one entirety under the greater rubric of modern Russian history.

      • KCI등재

        재난, 상실, 삶의 터전

        정보라(Bora Chung)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4 슬라브학보 Vol.29 No.2

        Catastroph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natural disasters and war, affect everybody’s lives. In 20th century Russian and Polish literatures, there are works that depict the experience of disaster from a more human point of view and narrate the experience as that of great loss. Anna Akhmanova and Wislawa Szymborska, two female poets that represent modern Russian and Polish poetry, have written two different poems of the same title: “Lot’s Wife.” The poets both take the theme from the Genesis and re-create the biblical tale of the fall of Sodom from the viewpoint of an ordinary human being and a native of Sodom. While these two poems obviously present the female experience, Platonov’s short stories on war give the male point of view. Platonov’s stories, much similarly to Akhmatova’s and Szymborska’s, depict the main female characters as mothers. His female characters are caretakers, not only of their children but of the entire family. In Platonov’s stories the male characters suffer the loss of the mother figure, and the experience makes the male characters “orphans.” In all of these works the authors emphasize the need to mourn the loss rather than to focus on returning to normalcy. By emphasizing grief, the authors present disaster narratives from the human point of view.

      • KCI등재

        브루노 야셴스키의 『마네킹들의 무도회』 : 메니포스의 풍자와 문학적 영향의 문제

        정보라(Chung, Bora)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9

        브루노 야셴스키의 1931년도 희곡 『마네킹들의 무도회』는 미하일 바흐틴이 말한 메니포스의 풍자에 해당하는 여러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야셴스키는 작품의 배경을 프랑스로 설정하여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하려 했으나, 결과적으로는 환상적이고 해학적인 사건들을 통하여 인간의 이중성, 허위와 위선, 욕망 등을 폭로하는 현대적인 메니포스의 풍자를 창조하였다. 동시에 『마네킹들의 무도회』 는 무도회와 뒤바뀐 정체성 등 주요 모티브, 줄거리 진행과 결말 등 구성의 여러 측면에서 폴란드 문학의 전통과 러시아 문학의 영향을 양쪽 모두 명백하게 보여준다. 뒤바뀐 정체성으로 인한 혼란, 그리고 이를 통해 부유하고 권력 있는 상류층의 위선과 거짓을 폭로하는 풍자와 해학은 니콜라이 고골의 작품들을 연상시킨다. 한편 무도회는 근현대 폴란드 문학에서 대단히 중요하게 나타나는 모티브이며, 마네킹이라는 소재 자체는 유대의 골렘 신화와도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다. 인간 주인공이 마네킹들에게 머리를 빼앗기고도 마치 작품 속의 다른 마네킹들처럼 문제없이 말하고 걸어 다니며 활동하는 모습을 볼 때, 작품 안에 등장하는 인간들도 사실은 ‘진짜 인간’이 아니라 그보다 못한 존재, 골렘이나 마네킹에 더 가까운 존재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생각하면 『마네킹들의 무도회』는 자본주의나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비판 등 이데올로기적인 요소들과는 별개로 작가 야셴스키가 살아온 이력, 즉 유대계라는 개인적 배경의 영향, 프랑스 체류의 경험, 그리고 폴란드와 러시아 문학과 문화의 영향이 모두 녹아들어간 작품이다. 또한 환상성과 웃음을 통해 인간의 약함과 어리석음을 폭로하는 독특한 풍자 작품이기도 하다. Bruno Jasieński’s play The Mannequins’ Ball (1931) shows many key aspects of Menippean satire. Jasieński sets the play in France in order to criticize capitalist society, but creates instead a modern Menippean satire that exposes human hypocrisy, desire and falsehood through fantastic and comical events. At the same time, The Mannequins’ Ball is a unique work that clearly shows influences from both Polish and Russian literary traditions. The confusion caused by mistaken identity, as well as the comical and satirical events that expose the hypocrisy and falseness of the rich and powerful, are clearly reminiscent of Gogol’s plays. The ball, on the other hand, is an important motif that consistently appears in many representative works of Polish literature from the Romantic era to the 20th century. And mannequins that walk and talk are reminiscent of golems from Jewish mythology. One may say that the human main character who can still walk and talk after losing his head is also not much different from mannequins. That the human main character turns out to be sub-human is part of the satire. In this respect, one can see that The Mannequins’ Ball represents Jasieński’s entire life experience, including his Jewish heritage, his years in Paris, and the influence he received as a writer of both Polish and Russian traditions. And the satirical aspects through fantastic events and extreme situations that expose human weakness and falseness make this play an original example of a modern Menippean satire.

      • KCI등재

        이반 부닌의 작품에서 여성의 죽음과 삶의 의미

        정보라(Chung, Bora) 한국노어노문학회 2015 노어노문학 Vol.27 No.1

        부닌의 작품에서 강렬한 사랑의 경험은 존재의 의미 자체를 뒤흔들고 재창조 하는데, 많은 작품에서 주로 여성이 이 의미를 발견하고 공유하는 역할을 맡는다. 작가가 남성의 죽음과 여성의 죽음을 어떤 식으로 다르게 대하는지 살펴보면 이러한 역할의 차이, 나아가 부닌의 인간관을 엿볼 수 있다. 작가는 여성을 로맨스와 성애의 대상으로 간주하는 데 그치지 않고 여주인공 본인의 목소리로 심리적 움직임을 직접 드러낸다. 부닌의 여주인공들은 스스로 삶의 의미에 대해 성찰하고 언젠가 필연적으로 다가올 죽음과 그 이후 남겨질 자기 존재의 흔적을 준비하고 연출하는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주체이다. 여러 작품에서 부닌의 여주인공들은 삶의 의미를 바꿀 만한 사랑을 먼저 감지하고 그 의미를 먼저 깨달아 남성과 공유하기도 하며 사랑의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능동적으로 거부하기도 한다. 애정관계 안에서 부닌의 여성 주인공과 남성 주인공들은 각자 뚜렷한 역할을 가진 주체로서 역동적이다. 종종 선정적인 소재와 줄거리를 선택하여 마치 추리소설과 같은 대중적 기법을 활용하면서도 이처럼 생생한 주인공들을 철학적, 미학적 주체로서 능동적으로 묘사했다는 데서 부닌 작품세계의 독특한 매력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플라토노프의 『예피판의 수문』에 나타난 비극적 인간관

        정보라(Bora Ch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3

        『예피판의 수문』은 18세기 표트르 대제의 치세를 배경으로 건설 작업이라는 소비에트적인 소재를 통해 인간 존재의 조건으로서 상실과 비극을 이야기하는 독특한 작품이다. 건설 기술자인 주인공 베르트란 페리(Бертран Перри)는 표트르 대제의 대규모 수문 건설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고국인 영국을 떠나 러시아로 간다. 그렇게 하여 그는 비록 자발적이기는 하나 고국을 잃는다. 이어서 약혼녀가 다른 남자와 결혼하면서 사랑을 잃는다. 페리는 그 반동으로 삶의 모든 에너지를 수문건설 작업에만 집중하지만, 작업에 차질이 생기고 결국은 수문 건설이 실패로 돌아가고, 그 때문에 기술자로서 작업을 성공시킬 희망도 잃는다. 그리고 마침내 황제의 명령에 의해 사형을 당하면서 목숨까지 잃게 된다. 이러한 연이은 상실을 통해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인간 존재의 비극성과 역설이다. 주인공 베르트란 페리는 자신이 속한 세상을 물리적이고 사회적인 여러 측면에서 변화시키려 노력하지만, 바로 그러한 노력 때문에 소중한 것을 차례로 상실하고 파멸하는 결과에 이르게 된다. 주인공이 자신의 행위 때문에 의도한 바와는 반대로 스스로 파멸하게 된다는 점에 존재의 비극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극을 향해 치달아 가면서, 주인공은 소중한 것을 차례로 상실했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그것이 소중했음을 깨닫고 그 상실을 애도하며 슬퍼하는 인간적인 모습으로 돌아온다. 이처럼 『예피판의 수문』에서 작가는 상실과 비극이라는 요소를 통해 인간 존재의 조건을 되돌아본다. 이는 『예피판의 수문』 뿐만이 아니라 플라토노프의 다른 작품들에도 나타나는 경향이지만, 『예피판의 수문』은 18세기라는 시간적 배경과 러시아인이 아닌 영국인이 주인공이라는 특이 요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장치를 통해 작가는 여타 작품들처럼 자신이 살아가던 당대 소비에트 사회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기보다는 자연과 인간의 대립, 사회와 개인의 대립, 그리고 개인과 운명의 대립이라는 구조에 중점을 두고, 상실과 패배가 인간 존재의 어쩔 수 없는 일부분이라고 결론짓는 비극적인 인간관을 드러낸다.

      • KCI등재

        브일리나 “도브릐냐 니키티치와 용”에서 용의 형상 연구

        정보라(Bora Chung)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7 슬라브학보 Vol.32 No.2

        This article analyzes the image of the dragon in Russian heroic epos. The focus is on the rare image of the female dragon in the story “Dobrynia Nikitich and the Dragon,” with discussions of the image of female dragons from Asian and Korean mythology for comparison. In East Slavic heroic epos, the heroic epos that features a dragon belongs to the oldest type in all heroic epos, and to defeat the dragon is the typical undertaking of the hero. In Asia, on the other hand, in folklore and mythology, dragons are benevolent beings that maintai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umans. In Asian and Korean mythology the dragon often controls rain and meteorological phenomena. Because the dragon has gender as any other animals, female dragons appear in Korean mythology quite as often as male dragons. In Russian folklore, on the other hand, the rare example of a story that features a female dragon is “Dobrynia Nikitich and The Dragon.” The female dragon in “Dobrynia and The Dragon” also lives in the river, similar to a Korean drag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male hegemony in “Dobrynia and The Dragon” while comparing the dragons in Russian and Korean epos and mythology.

      • KCI등재

        이반 예프레모프의 초기작품과 소비에트 브일리나

        정보라(Bora Ch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4

        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작가 이반 예프레모프는 작품활동을 시작하기 이전에 지질학자이자 고생물학자로서 이름을 알렸다. 예프레모프는 초기 단편들에 지질학자로서의 전문지식과 고생물학자로서 소비에트 연방 곳곳을 탐사한 경험을 민속적이고 신화적인 형식을 빌려 풀어낸다. 그러나 예프레모프 작품에서 신비와 전설은 언제나 과학과 지식의 힘으로 그 가면을 벗고 실체를 드러내며 주인공인 과학자는 신화 속의 이야기에서 발상을 얻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고 종종 귀중한 천연자원까지 발견한다. 예프레모프의 영웅은 완력과 무기가 아닌 과학지식과 합리적 사고방식으로 신화와 전설 속의 적과 맞서 승리하고 조국과 인류에 현실적인 보상, 즉 자원을 선물로 안겨주는 인물이다. 예프레모프의 주인공은 조국 소비에트를 위한 신념과 열정으로 이러한 모험과 발견의 여정에 오르며, 신화와 전설의 소재들이 합쳐져 예프레모프의 초기 단편들은 소비에트적으로 변용된 현대의 브일리나로 읽을 수 있다. Ivan Yefremov (Иван Антонович Ефремов, 1908-1972) was a Russian science fiction writer of the Soviet era. Yefremov, before beginning his creative work, was already established as a geologist and a paleontologist. In his early works, Yefremov combines his knowledge of geology and his experience as an explorer with folklore, legends and myths from various corners of the vast Soviet Union. The daring, tenacious scientist appears as a modern hero of legendary caliber. Through his efforts the myth and legends melt away and rich natural resources reveal their faces as reward and gift for the scientist’s fatherland, the Soviet Union. Yefremov’s heroes take on the quest, with science and knowledge as their armour, because of their faith and love for the fatherland, making them even more similar to the bogatyr’ of the medieval Slavic bylina.

      • 미로의 끝에서 찾은 모성 : 페트루?v스카야 작품에서 모성의 테마

        정보라(Chung, Bora)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소 2021 러시아유라시아연구 Vol.5 No.-

        Liudmila Petrushevskaia (1938-)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authors of Russian post-modernism. In a number of works Petrushevskaia depicts motherhood, or the relationship between a female caregiver and her child, in a confusing and rather grotesque fashion. Many researchers have pointed out this fact and explained that Petrushevskaia’s works feature “distorted motherhood” and “dysfunctional mothers.” However, few have noticed that in Petrushevskaia’s stories a child often gives meaning to the female protagonist’s life. Petrushevskaia depicts female protagonists who are homeless, often leading a nomadic lifestyle, wandering from one friend’s house to the next. The city environment is frequently described as a maze in which the female protagonist finds no exist. The birth of a child most often changes everything for the female protagonist, giving her a sense of purpose and meaning in life. While Petrushevskaia’s protagonist cherishes her child, however, the child-rearing process is never easy. It is partly because Petrushevskaia’s protagonist is usually in destitute, and partly because Petrushevskaka depicts her protagonist not as the perfect, sacred mother who endures and tolerates everything but as a human being with her own limits and flaws. The protagonist nevertheless strives to take care of her child and make the best of an impossible situation, even if the process ruins her own life. Such is the meaning of motherhood in Petrushevskaia’s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