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농업기술의 현대적 활용 가치-고농서의 전통지식을 중심으로-

        정명철 ( Jeong Myeong-cheol ),김수지 ( Kim Su-ji ),문효연 ( Mun Hyo-yun ) 남도민속학회 2016 남도민속연구 Vol.33 No.-

        친환경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전통농업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농업생물다양성을 지속적으로 증진하면서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의 농업기술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Delphi) 기법을 이용하여 현대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전통농업기술을 선발하고 그 가치를 평가하였다. 델파이조사에 앞서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조선시대 고농서에 수록된 전통농업기술을 분석하여 유형별로 정리한 『고농서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1~10권을 문헌고찰 자료로 선정하여 현대적으로 활용 가능한 전통농업기술 96건을 1차적으로 선발하였으며, 현대적 활용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학계, 연구, 지도 등 농업 분야의 전문가 20인에게 3회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우선순위에 따라 작부체계(作付體系), 골각회(骨殼灰)의 선택제초성(選擇除草性), 수조비(水藻肥), 겨거름과 분강수비(粉糠水肥), 채소 벌레 방제, 똥오줌에 대한 과학적 이해, 녹비작물, 과일나무 벌레 방제, 새삼(?絲) 방제, 콩류 최소경운재배 등 현대적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전통농업기술 10건을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농서에 수록된 전통농업기술 중 우선적으로 유용성과 과학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증 대상 농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토대로 실증연구를 추진하여 현대적 도입이 가능한 농업기술을 개발하여 영농현장에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더 나아가 우리나라 전통농업기술 DB구축에 활용될 수 있고, 유용성과 과학성이 규명된 전통농업기술을 국제사회에 공표하여 나고야의정서에 따른 이익 공유와 국제적 지식재산권 분쟁에 대비하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growing interest in eco-friendly agriculture, traditional agriculture technology that had been formed for long time has attracted attention. It has been recognized as alternative agricultural technology that could secure food safety along with improving agrobiodiversity continuously. In this study, traditional agriculture technology for modern utilization was selected using Delphi method and its value was evaluated. Prior to Delphi survey, total 10 volumes of Ongoyijisin for modern utilization of old agriculture book were selected as literature data. The books are classified by category after analyzing traditional agriculture technologies written in old agriculture books of Joseon Dynasty era from 15C to 19C. 96 items of traditional agricultural technologies for modern utilization were chosen at first. Delphi survey was implemented 3 times to 20 experts who work in academia, research and instruction, etc. Through this, we selected total 10 of traditional agriculture technologies as priority, which are of great value neoter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ble to be used as a empirical target farming to identify utility and scientific efficiency firstly among the traditional agriculture technologies. Based on this, to implement empirical research leads to develop agriculture technologies for modern utilization. Therefore, it is believed to be able to apply to agricultural field. Furthermore, korean traditional agriculture technologies could be used to accumulate DB. Identified traditional agricultural technologies would be announced to international community. It should also be used as references to prepare for benefit-sharing and dispute on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under Nagoya Protocol.

      • KCI등재

        지역 설화를 활용한 공간스토리텔링 연구 -영광 불갑산 상사화테마파크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정명철 ( Myeong Cheol Jeong ),김미희 ( Mi Heui Kim ),이은미 ( Eun Mi Lee ) 남도민속학회 2012 남도민속연구 Vol.25 No.-

        영광 불갑산은 한국 최대의 상사화 군락지다. 해마다 9월 중순이 되면 무려 165만㎡의 붉은 융단이 불갑산을 수놓는다. 그곳에 이룰 수 없는 사랑의 이야기가 더해진다. 한 뿌리에서 나왔으면서도 꽃과 잎이 서로 만나지 못해 더욱 애절해지는 이야기다. 상사화 테마파크의 기본원리는 방문자의 기억과 공간 체험의 상호작용에 있다. 불갑산을 찾아온 방문자가 온통 붉은 빛으로 물든 상사화의 물결을 보면서 어느 젊은 스님의 애절한 사랑이야기를 기억하고, 한발 한발 발걸음을 옮기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나갈 수 있게 공간을 배치하고 구축해야 하는 것이다. 이야기에도 서사적 구조가 있듯이, 탐방로에도 일정한 서사적 구조가 있어야 한다. 공간스토리텔링의 이야기 구조는 테마에 사용되는 설화, 동화, 우화 등을 시간적, 논리적, 인과적 질서에 따라 재배열하고 재구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야기들이 소재가 된다. 공간의 기획자들은 그 사건들을 플롯으로 만들어 공간을 배치한다. 이때 공간배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동선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사화 군락지로서 불갑산에 내재된 공간성에 대한 이해와 함께 스토리텔링이 발생하는 영역을 테마파크라는 플랫폼에 맞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간에도 메시지를 전달하는 화자가 있어야 하고, 사건이 발생하고 시간이 재현되어야 한다. 또한 장소이동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동을 극대화시키는 동선 전략이 필요하다. 스토리를 일정한 순서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방문자로 하여금 몰입과 카타르시스를 체험하게 하는 것이 공간스토리텔링이기 때문이다. 지역 설화를 활용한 공간스토리텔링은 결국 지역의 고유한 이야기 발굴, 이야기 체험, 이야기 공유의 과정을 거쳐 완성되며, 이야기와 체험공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방문자에게 감동과 즐거움을 안겨줄 수 있다. 지역의 설화와 장소자산을 결합한 공간스토리텔링은 지역민에게 사회적 연대감과 자부심을 형성하게 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ulgapsan located in Yeonggwang-gun is the greatest collective habitat of Sangsahwa(Scientific name: Lycoris squamigera). At mid-September every year,Bulgapsan turns to red as if 1,650,000㎡ red carpet covers the mountain. Because Sangsahwa implies hopeless love story due to it’s appearance that flowers and leaves cannot meet despite these are derived from same root, the blooming of Sangsahwa inspires visitors with mournful love story.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principle of Sangsahwa theme park focus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memories of visitor and spatial experience in the park. Namely,by applying the nature of storytelling such as mutuality of “telling” and onsite performance, theme park encourage visitors to remind the sad love story of young monk from red stream of Sangsahwa. As folktales have narrative structures, an exploration route have narrative structures likewise. The structure of spatial storytelling is made up of stories which is rearranged and resigned in accordance with order of timing, logical, causal of folktales, fairytales,fables etc. using theme. A space planner arrange space a plot. At this ‘point composition of exploration rout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of theme park,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atial organization for storytelling. Particularly, an important element of the construction would be fitting the combination of geographical feature of bulgapsan and spatial frame of storytelling into the boundary of theme park. Therefore, design of visitor traffic flows in the park should consider the location of storyteller, sequence of event,continuity and causality of story, and usage of space for efficient delivery of story. Particularly, arrangement of spatial storytelling should lead visitors to be falling in the experiential flow on the way of walking in theme park. Spatial storytelling based on local folktales could be achieved through exploring of unique local story, sharing the story among people, and creating proper interaction between context of story and spatial experience. This effort of spatial storytelling would provide visitors with excitement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patial storytelling based on the combination of folktales and place could encourage the pride and attachment of resident toward their hometown as well as it contribute to their economic vitalizations.

      • KCI등재후보

        농촌마을 민속지식 발굴과 활용의 실제

        정명철(Jeong, Myeong-cheol),유수영(You, Su-you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5 民俗硏究 Vol.0 No.31

        이 글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시험연구사업을 기록한 ‘연구노트’를 토대로 작성한 것으로, 연구 대상 마을 선정에서부터 조사 방법, 조사 내용, 연구 결과 도출, 현장 적용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가능한 범위에서 상세하게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연구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농촌마을 민속지식의 발굴과 활용’ 관련 연구 과제를 공유하고 함께 논의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논의를 집중하기 위해 충남 금산군 평촌마을 사례만을 추출하여 정리하였으며, 간간이 연구자가 고민했던 내용을 덧붙여 추후 논의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평촌마을은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수행한 ‘지역 마케팅을 위한 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연구’ 과제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수행한 ‘농촌마을 세시풍속 실태조사 및 활용 콘텐츠 개발’ 과제의 대상 마을이다. 5년 동안 관계를 지속하면서 연구자와 연구대상자 상호간에 ‘친밀감(rapport)’을 형성하고 있으며, 민속지식 발굴에서부터 스토리텔링과 문화콘텐츠 결과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마을이다. 연구수행 과정에서 민속의 ‘왜곡’과 ‘재창조’, ‘진짜민속’과 ‘가짜민속’, ‘원형’ 보전 등과 관련된 문제들을 맞닥뜨린 마을이라 연구자에게 성찰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 글이 연구자에게 채찍질로 되돌아오기를 바란다. The research has been written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note, a part of research projects of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It tried to show in detail a research process ranging from a selection of a study site, research method, survey constructs, results to field applications. It lets the researcher reexamine and supplement the project,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folk knowledge in a rural village” done by 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In order to narrow the research down, it only examined the Pyeongchon village in Chungnam province among some cases surveyed. The challenges the researcher faced and the debates for further studies were added at the end of the research. The Pyeongchon village is the target area where two projects were conducted for five years from 2011 to 2015. One project is about the storytelling of the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and the other is about current status and contents development of annual cyclical rituals in rural villages. As the research had lasted for the five years, the researcher could create a close rapport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intimate relationship allowed to draw a plenty of data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folk knowledge, storytelling and cultural contents. It also led the researcher to reflect endless issues such as the ‘distortion vs. re-creation’, ‘authentic folk vs. inauthentic folk’, and ‘preservation of prototype’ which have raised in rural villages. The research is also expected to be a cornerstone to go one step forward as a researcher.

      • 향토상품 디자인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정명철(Myeong-Cheol Jeong),김미희(Mi-Heui Kim),진혜련(Hye-Ryun Jin)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13 농어촌관광연구 Vol.20 No.2

        On this study we have researched subject to local products which is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Local Specialty Products, Tourism Village and Facilities, Regional Festival etc. on the current situation of development of design. Through this processing the problem of using ‘naming’ directly relevant to a product is exposed, the problem of direct description of image of a product and the problem of complexity of design, florid coloring are also coming out in a fact of graphic. With this study we have realized that there would truly need developing of luxury emotional design and establishing of differentiated brand identity to stimulate consumer’s purchasing needs. There also raised the problem of factor of packing design which is selecting packing materials fit on products’ characteristic, standardization, small quantity and simple packing, presenting correct information, using eco-packing materials etc. to improve.

      • KCI등재

        제의명칭의 분포로 본 마을신앙 문화권 설정

        정명철(Jeong, Myeong-cheol),박미(Park, Mee-jeong),윤순덕(Yoon, Sun-duck),이창환(Lee, Chang-hwan) 한국민속학회 2016 韓國民俗學 Vol.64 No.-

        마을신앙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민속신앙의 하나로, 마을을 전승단위로 하여 대부분 해마다 정기적으로 거행하는 세시풍속이다. 그 기원은 고구려의 동맹, 동예의 무천, 부여의 영고와 같은 국중대회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한국에 전승되고 있는 민속문화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민속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마을을 전승단위로 하기 때문에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지역적인 특색을 지니고 있으며, 지역 내에서도 마을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런 이유로 보편적이면서 개별적인 민속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을신앙의례는 1년에 한두 차례 정기적으로 거행되는데 마을주민들 전체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참여하여 마을의 평안, 풍요, 번영 등을 기원한다. 이 글은 마을신앙 조사보고서, 논문, 시 · 군지 등 문헌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전국 12,196개 마을의 제의명칭을 분석한 것으로, 이 중에서 59%인 7,161개의 마을에서 제의가 전승되고 있다. 제의명칭은 산신제, 동제, 당산제, 당제, 성황제 순으로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데, 지역별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명칭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의명칭의 지역적 분포에 따라 문화권역을 추정해 보는 데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마을신앙의 보편적이면서 개별적인 특성 때문에 문화권역을 설정하는 데도 많은 어려움이 따랐지만, 동일한 제의명칭이 일정한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어느 정도의 권역 설정은 가능하였다. Village ritual is one of the folk beliefs that is nationally distributed. It is held every year on a regular basis with a village as the unit of transmission. It can be said to be the most common folk phenomenon in Korea. However, because a village is the transmission unit, it ha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ach region shows different features. Thus, it is universal, yet it is also an individual folk phenomenon. Village rituals are regularly held once or twice a year, and an entire village participates directly or indirectly to pray for the village’s peace, abundance, and prosperity. This study analyzed the names of the ceremonies and the months the ceremonies were enacted by 12,196 villages, which were confirmed by research reports, dissertations and city/county newsletters. Among them Dong-je has been transmitted in 7,161 villages, which is 59% of the total number of villages. The names of the ceremonies are, Sansin-je, Dong-je, Dangsan-je and Seonghwang-je, in the order of their distribution order. They displays different aspects in different regions, and they also have various names. The times for the ceremonies mostly fall in January and October of the lunar calendar, and the ceremonies exhibit a variety of features according to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possible determination of the culture areas according to the names of the village rituals 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by looking at the months of the ceremonies. As mentioned earlier, because of the universal but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Village Rituals, and because of th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aspects and passing on,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the culture areas. However, by focusing on certain areas where the same names are intensively distributed,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culture areas to some degr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