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균형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유연한 혼합형 라우터 설계

        정라미(Rami Jung),김성천(Sungchu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A

        라우터의 기본적인 목적은 안정적으로 다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현재 다양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여러 혼합형 라우터가 개발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한가지 방식만 고수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여러 기법을 혼합된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혼합형 기법은 기존의 단일 방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야 하며, 그에 따른 오버헤드를 감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웜홀 스위칭(wormhole switching)과 파이프라인드 서킷 스위칭(Pipelined Circuit Switching)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혼합형 라우터 구조가 제안되었다. 이 라우터는 두 스위칭 기법을 동시에 지원하여 다양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각 스위칭 기법을 동시에 지원하여 다양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각 스위칭 방식에 해당하는 내부 연결망을 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입력으로 들어오는 스위칭 비율이 불균형일 때 내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라우터의 내부 연결망을 공유하며 사용하는 새로운 혼합형 라우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구조는 웜홀과 파이프라인드 서킷 스위칭을 지원하는 라우터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내부 연결망을 서로 공유함으로써, 입력 메시지의 비율이 불균형할 때 효과적으로 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존의 혼합형 라우터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높은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이사회 특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간의 관계 연구 동향 분석: 제도주의 관점 기반 한-미 비교 문헌 연구

        정라미 ( Ra Mi Jung ),김수연 ( Su Yeon Kim ),장영균 ( Young Kyun Chang ) 한국윤리경영학회 2016 윤리경영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이사회의 특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미 간의 연구들이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는 이유를 제도주의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기업지배구조와 CSR성과 간의 관계가 국가 수준의 제도적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언급하였으나, 연구의 대부분은 시장경제 모델 측면과 기업지배구조 시스템 측면에서 미국과 대조적인 유럽 국가들이나 일본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국가의 특성을 단순히 미국식 대 유럽식 혹은 자유시장경제 대 조정시장경제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분류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으며, 기존의 분류 체계에서 벗어나는 다양한 제도적 특성을 가지는 국가들이 존재한다고 보는 시각이 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분법적 체계에 의해 분류되지 않는 독특한 제도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한국을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미국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들의 주요 이론이 모든 국가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없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과 미국에서 이루어진 관련 실증 연구들을 대상으로 Whitley(1999)가 제시한 National Business System 모델을 적용하여 이사회 특성과 CSR 성과와의 관계를 두 국가의 제도적 환경 요인의 영향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총 29편의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국가 간 정치, 경제, 교육 및 문화 시스템 측면에서의 차이로 인해 이사회의 특성이 CSR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향후 관련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가 수준의 제도적 환경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통합적이고 정확한 연구 결과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review is intended to parse out the mixed finding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board characteristics and CSR among previous literature. This review assumes that national-level institutional systems should affect the way in which corporate board makes a decision for CSR, so that board-CSR relationships should be patterned differently across nations. Whitley’s National Business System (NBS) model is employed to predict the differential board-CSR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U.S. Twenty nine previous studies are reviewed based on the NBS model. This review finds the board-CSR relationship has been differently identified between two countries, and thus concludes that institutional systems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predicting how board characteristics affect CSR.

      • KCI등재후보

        Addressing Vaccine Inequality between Poor and Rich Countries: From a Utilitarian Perspective

        오원용(Won-Yong Oh),장영균(Young Kyun Chang),정라미(Rami Jung) 한국윤리경영학회 2021 윤리경영연구 Vol.21 No.1

        선진국과 저개발국 사이의 COVID-19 백신 공급의 불평등은 최근 세계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윤리적 문제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많은 윤리학자, 철학자, 혹은 종교 지도자들이 국가별 백신 불평등을 극복하기 위해 인류의 도덕성을 강조하였으나 이러한 목소리는 좀처럼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을 지지하며, 현재의 재앙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공리주의 관점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특히 게임이론을 적용하여 국가 간 백신 불평등이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궁극적으로는 백신에 대한 협력적인 조치(예. Covax를 통한 백신 공급, 지적 재산권의 완화 혹은 백신 기술의 공유 등)가 백신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는 선진국을 포함한 모든 인류의 효용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최상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e inequality evident in COVID-19 vaccine distribution among rich and poor countries is one of the most serious ethical problems facing the world. Although a number of ethicists, philosophers, and spiritual leaders have promulgated the importance of a humane morality in order to overcome this inequality, their voices seem to be going unheard. This paper supports their position and focuses on the lessons of utilitarianism as a way to overcome the current catastrophe. By employing insights from game theory, it explains why vaccine inequalities exist and further proposes that cooperative actions (e.g., vaccine distribution through COVAX, an eas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r the sharing of vaccine technologies, etc.) could be the solutions which can best maximize the utility values of all humanity, including in the rich countries where vaccines have been made fully accessible.

      • KCI등재

        경영학 융복합 역량 진단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장영균(Chang, Young Kyun),김병직(Kim, Byung-Jik),정라미(Jung, Rami)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영학 교육이 지향하는 융복합 인재 교육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경영학에 특화된 융복합 역량(Business Confluence Competency)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진단 지표를 개발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융복합 역량의 중요한 이론적 틀인 메타인지이론을 기반으로 하되, 경영학이 탐구하는 기업 장면의 특수한 맥락을 고려하여 경영학 융복합 역량 모델(KTA 모델)을 경영학 분야 최초로 개발하였다. KTA 모델은 경영학 기초 인지력(K; Knowing), 융합사고력(T; Thinking), 융합실행력(A; Acting)의 세 가지 하위 역량과 25개의 세부 측정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측정 도구로서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경영학 융복합 역량 진단 지표는 높은 신뢰도와 더불어 내용/구성/예측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KTA 모델은 경영학 융복합 인재 교육의 정책 수립, 과정 및 교육 내용 설계, 학습 수행 도구, 성과 평가 및 경영교육 인증 등의 다방면에서 높은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necessity of confluence-oriented pedagogy for business major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conceptualizes the business-specific confluence competencies and develops a diagnostic instrument to measure them. [Methodology] To this end, based on the metacognitive theory, this study introduces the measurement model (KTA model) for the first time in the field of business,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 context of the corporate landscape. The KTA model consists of three sub-competences of basic knowledge of business (K; Knowing), confluent thinking (T; Thinking), and confluent action (A; Acting) with 25 items for measurement.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KTA model,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tested. [Finding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KTA model was verified with reliability and content/construct/predictive validity. [Implications] The KTA model introduced here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various areas, including policy development of confluent education for business major, design of courses and contents, learning implementation tools, performanc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of educational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