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周易參同契』의 納甲法과 그 해석에 관한 연구

        정길영(Chung, Gil-Yo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22 道敎文化硏究 Vol.57 No.-

        본 논문은 『周易參同契』에서 煉丹과정에 納甲法을 도입해 ⽕候를 설명하게 된 배경과 이유를 밝히고, 『參同契』의 納甲法이 易學史에서 발전해 나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商代 이후 발전해오던 曆法이 漢代에 이르러 太初曆으로 체계를 이루면서 孟喜에 의해 卦氣易學이 기틀을 이루고, 京房에게 전해지면서 64卦에 天⼲과 地⽀를 배당하는 納甲法이 탄생되었다. 東漢 말기의 魏伯陽은 『參同契』에 納甲法을 도입하여 달의 차고 이지러짐에 따라 煉丹에서 ⽕候의 시기를 설명하였다. 魏伯陽은 한 달간 달의 位相 변화에 따라 달빛이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天⼲의 ⽅位에 의한 ⽉體納甲說을 통해 京房의 納甲法에 대한 타당성을 밝히고, 煉丹術의 ⽕候를 時⾠으로 표현하기 위해 京房에 의해 배당된 地⽀를 사용하였다. 虞翻 등이 이러한 『參同契』의 納甲法을 주석하였고, 朱熹는 『參同契』의 ⽉體納甲說이 邵康節의 先天圖와 부합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다수의 易學者들이 納甲圖를 남겼다. 胡⼀桂가 달의 位相 변화를 기준으로 작성한 納甲圖는 離卦와 坎卦를 中宮이 아닌 陽의 작용을 하는 東⽅과 陰의 작용을 하는 西⽅의 중앙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卦의 배치가 先天⼋卦⽅位圖와 일치하고 있다. 반면에 惠棟과 朱伯崑의 納甲圖는 해와 달에 해당하는 離卦와 坎卦를 中宮에 두고 天⼲의 ⽅位를 기준으로 나머지 여섯 卦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先天⼋卦⽅位圖와 다른 배치를 보인다. 그리고 彭曉와 兪琰은 『參同契』의 내용을 요약한 그림을 남긴 바 있는데, 나중에 작성된 兪琰의 그림이 煉丹에서 ⽕候의 시기를 설명하고자 했던 『參同契』의 내용과 太陰太陽曆의 체계를 잘 표현하고 있다. This paper explained the background and reason for introducing the method of Na Ji(納甲) in Alchemy to Zhouyi Cantongqi(周易參同契), and examined the process of developing that in the history of Yiology. After the Shang Dynasty, the calendar developed and the Tai Chu Li(太初曆) was established as it reached the Han Dynasty. Then the Qua Qi Yi Xue(卦氣易學) was established by Mengxi(孟喜), and that was passed down to Jing Fang(京房), the method of Na Jia(納甲) was created to allocate the Heavenly Stems(天⼲) and the Earthly Branches(地⽀) for Sixty-Four Hexagrams(六⼗四卦). At the end of the Xi Han(西漢) Dynasty, Wei Bo Yang(魏伯陽) introduced the method of Na Jia(納甲) to Cantongqi(參同契) for explaining the time for the adjusting the fire in Alchemy as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moon. Wei Bo Yang(魏伯陽) was revealed the validity of the Jing Fang(京房)’s Na Jia(納甲) through the direction of Heavenly Stems(天⼲) that the moon light appear or disappear due to the change in the lunar aspects, this is called the Theory of Yue Ti Na Jia(⽉體納甲說). And then Earthly Branches(地⽀) allocated by Jing Fang(京房) was used to represent in time for the adjusting the fire in Alchemy. Later on, Yu Fan(虞翻) and others annotated on method of Na Ji(納甲) in Cantongqi(參同契), and Zhu Xi(朱熹) thought that the Theory of Yue Ti Na Jia(⽉體納甲說) in Cantongqi(參同契) was consistent with the Xian Tian Tu(先天圖) by Shaokangjie(邵康節). And a number of Yiology researcher left a diagram of Na Ji(納甲). A diagram of Na Ji(納甲) by Hu Yi Gui(胡⼀桂) is consistent with a diagram of Xiantian Bagua Fangwei(先天⼋卦⽅位圖) because he drew a diagram based on the change in the lunar aspects and placed the Li(離) and Kan(坎) in the center of the east and west, respectively, not in the center palace. On the other hand, a diagram of Na Ji(納甲) by Hui Dong(惠棟) and Zhu Bo Kun(朱伯崑) are different from a diagram of Xiantian Bagua Fangwei(先天⼋卦⽅位圖), because he placed the Li(離) and Kan(坎) in the center and placed the remained six Gua(卦) based on the direction of Heavenly Stems(天⼲). In addition, Peng Xiao(彭曉) and Yan Yu(兪琰) left a diagram summarizing the contents in Cantongqi(參同契), a diagram created at a later by Peng Xiao(彭曉) expressed well the contents in Cantongqi(參同契), which was intended to explain the time of the adjusting the fire in Alchemy, and the system of luni-solar calendar is well represented.

      • SCOPUSKCI등재

        소랄렌의 광화학 반응에 대한 이론적 연구 (I) 소랄렌의 구조-활성화에 대하여

        김자홍,정길영,손성호,양기수,Ja Hong Kim,Gil Young Chung,Sung Ho Sohn,Kee Soo Yang 대한화학회 1993 대한화학회지 Vol.37 No.4

        소랄렌의 광-피부증감의 구조-활성화 관계를 MM2, FMO 그리고 분자 connectivity법으로 연구하였다. DNA 염기에 끼워져 가교를 형성하는 소랄렌이 착물을 형성하는능력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DNA와 광-피부증감 소랄렌사이에 형성되는 분자착물로써 논의하였다. 광-피부증감을 소랄렌 유도체들의 활성화 자리의 입체 기하학 모델에 대해 분석하였고, 프론티어 오비탈 밀도는 광-피부증감 발암 활성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았다.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photo-skinsensitizing psoralens has been investigated by the MM2, FMO, molecular connectivity methods. The molecular complexes between DNA and photoskinsensitizing psoralen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differing abilities to complex and react with psoralen interstrand cross linking DNA base. The photoskinsensitiziers a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sterographics models of the active sites of the psoralens and frontier orbital density is closely correlated with photo-skinsensitizing carcinogenic activity.

      • 개착식 전력구의 내진성능 평가 및 내진 안전성 검증

        황경민,전낙현,정길영,박경성,Hwang, Kyeong-min,Chun, Nak-hyun,Chung, Gil-young,Park, Kyung-sung 한국전력공사 2020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6 No.4

        In this paper,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was performed on 100 existing open-cut power cable tunnels, including ones that did not consider seismic design, in order to verify that the government's demand level (seismic special grade, 0.22 g). The results of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show that most of the tunnels have seismic performance of 0.3 to 1 g, satisfying the level of the seismic special grade and securing the seismic safety. Meanwhile, the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and structural tes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thod and the results of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tunnels by the response displacement method, and to verify their seismic safety. As a result, the relative displacement due to the response displacement method under the 0.22 g earthquake was conservative than the results of the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load-displacement curves and response modification coefficient calculation by real scale structural tests showed the safety of the tunnels. 본 논문에서는 내진설계가 고려되어 있지 않은 전력구를 포함한 기설 개착식 전력구 100개소를 대상으로, 정부의 요구수준(내진 특등급, 0.22 g)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내진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내진성능 평가 결과, 대상 전력구들은 대부분 0.3-1 g의 내진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내진 특등급 수준을 만족하였으며 내진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응답변위법에 의한 전력구의 내진성능 평가 방법 및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고, 전력구의 내진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한 지진응답 해석 및 구조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0.22 g 수준의 지진 하에서 응답변위법에 의한 상대변위는 지진응답 해석 결과보다 보수적이었으며, 실규모 구조실험에 의한 하중-변위 곡선 및 응답수정계수 산정 결과를 통해 전력구의 내진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