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툰에 나타난 특징적 말칸 연출에 대한 분석

        정규하(Jeung, Kiu-HA),윤기헌(Yoon, Ki-He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6

        만화의 구성요소는 칸, 칸새, 말칸(말풍선)이다. 말칸은 청각적 요소가 완전히 배제된 회화나 청각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영화, 애니메이션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만화만의 특징적인 요소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만화의 연구대상에서 말칸은 소외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몇 안되는 선행연구들에서는 말칸의 형태적 특징과 기능에 대해 분명하게 짚고 있다. 웹툰이 일반화된 현재의 시점에도 이러한 말칸의 특징과 기능들이 그대로 계승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다만 웹의 환경적인 요소가 만화 연출 전반에 걸쳐 변화를 유도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말칸에도 그 영향이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웹툰에 나타나는 말칸의 특징으로 분류할 만한 관점은 두 가지로 첫째는 말칸의 배치 문제이다. 웹 공간의 무한확장성은 만화의 칸새를 넓게 활용하는데 용이한 환경을 제공해주고 있다. 그에 따라 말칸도 영향을 받아 그 특징을 이용해서 배치하는 경향이 일정부분 나타나고 있다. 이를 분류해 보면 일반 배치형, 외곽 배치형, 상하 배치형, 스크롤 활용형으로 그 특징을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세로스크롤을 활용해 읽어 들어가는 가독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둘째는 형태적인 문제로 웹툰의 제작 기법이 디지털화되면서 나타나는 다양한 표현방법에 따라 그만큼 말칸 자체의 형태적 표현의 폭이 넓어진 특징이 있다. 그 외 제작형태에 따라 ‘칸 외 배치형’, ‘칸 내 배치형’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향은 원고 제작에 있어서 출판형태의 원고를 제작한 뒤 여러 매체에 맞는 연출로 편집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편집 시에 매체의 특성을 활용하느냐 원본의 이미지를 그대로 고수하느냐의 판단에 따라 달리 표현되는 것이다. 만화는 본질적인 속성을 유지하면서 각 매체의 특성에 따라 변화되어 적용되는 부분들이 생겨나고 있다. 또한 앞으로도 생겨날 매체의 특성에 따라 그 모습을 변화해 갈 것이다. 기존의 선행연구에 새로이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분석하고 분류하여 기록하는 일은 가치 있는 일이 될 것이고 후행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Comics has three components: cuts, gap between cuts, speech balloons. Still, it is true that speech balloons are not commonly subject to the study for comics. A few preceding researches pinpoint exactly the morphological features and functions of speech balloons. In today when webtoon becomes generalized, these features and functions are continued as they are and are used in webtoon. We can catch that speech balloons are also affected since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web induce the change in the overall comics directing. There are two perspectives to sort out the features of speech balloons: first, the placement issue of speech balloons. The unlimited expansion of web space gives the environment for comicss to use the gap between cuts as wide as they can. It leads to turn out some of the ways to place the balloons, so we can sort them out general placement, exterior placement, the upper and lower placement, scroll-use type. Second, as the directing techniques for webtoon become digitalized by the morphological issue, speech balloon itself has been expanded its ways to express by various expression methods. Analyzing and classifying, recording the newly emerged conditions on the preceding study are worthy of trying and will become the cornerstone for the follow research.

      • KCI등재

        각도와 거리 설정에 따른 출판 만화 연출의 특징

        정규하(Jeung, Kiu-Ha),김소원(Kim, So-w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5

        출판만화는 드라마, 영화 등과 함께 대중적 인기를 얻고 있는 매체로서 인정받고 있고 나름의 확립된 장르적 특성이 있다. 그러나 연출에 대한 연구는 영화, 드라마, 연극 등의 다중 매체에 비해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안수철의 각도와 거리개념을 적용하여 기본적인 연출의 요소 중에서 각도와 거리의 설정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고 분류해봄으로써 이론적으로 분류된 기능들이 실제적으로 그러한 기능을 실행하는지 살펴보고 그 외 부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점을 중점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우선 각도와 거리설정은 장르별 만화의 분위기에 따라 특정 설정이 빈도가 높게 나타나리라는 예상으로 접근을 시도했지만 예상과 달리 장르의 특징보다 작가 개인적 기호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으며 각도와 거리설정의 기능적 측면은 표현적 공간에 국한된 설정이며 강렬함을 표현하는 기능으로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물리적 공간의 설정이다. 이러한 만화 연출의 특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만화연출의 폭을 넓혀보고자 한다. Published comics are widely recognized as a popularity-gaining media as well as Soap opera and the movies, and it also has a established characteristic of category. However, compare to the multimedia such as the movies, soap opera and playes, the research on direction is not yet satisfactory This research mainly tries to investigate on, first, whether the theoretically classified functions do actually practice their parts or not, and else, what other additional functions should be considered, by classifying the set up of basic direction functions, angles and range, which the most-cited angle and distance notion of "Ahn Su Cheol" in comic education field. First, although we tried to approach with the expectation of angle and distance set up that will have a high frequency of certain set ups according to the atmospheres of comics of genre, unlike the expectation, they are rather displayed depending on the personal taste of the writers. The functional aspects of angles and distance set up are the fixing that are only limited in the space of representation, and it is the set up of physical space that should come first as the function of expressing the intensity. As we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mic direction, this research will help the range of comic direction to be broadened.

      • KCI등재

        만화 입시 실기의 문제점과 대안

        정규하(Jeung Kiu-Ha),이헌우(Lee Heun-woo)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2

        한국의 입시에 관한 첨예한 문제제기는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만화 관련 학과에서도 예외가 없다. 창의성부재와 패턴화, 각 학교별 자율적 실기고사 유형에 따른 문제점, 평가의 문제점이 지적되는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실기시간의 확충, 창의성 평가를 위한 별도의 실기도입, 그리고 창의성 평가를 공교육이 장기간에 걸쳐 전담해 주는 방식 등이 거론된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전제는 대학은 학생들에게 대학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정이 우선되어야 하며, 무엇을 가르칠 것이기 때문에 어떠한 능력을 가진 학생이 선발되도록 입시의 문제가 출제 되어야 한다. 진학 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예상과 다르게 나타날 경우 평가의 기준을 다시 살펴 볼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대학에 많은 것이 요구 되는 것은 학생선발의 주체가 대학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갖추어야할 능력을 요구하는 것도 대학이고 이를 평가하는 것도 대학이기 때문이며, 이러한 선발과정을 거쳐 좋은 인재를 확보하고 교육을 통해 성장시켜야만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question acutely raised regarding Korea's entrance test is not just a matter of yesterday or today. It is not an exception to cartoon related fields, which lack of creativity and patterning trend, problems according to the types of autonomous performance tests for each school, problem of evaluation are being pointed out. As such alternative, methods such as expansion of time for performance test, introduction of extra performance test for evaluating creativity, and public sector exclusively taking in charge of creativity evaluation, and etc. will be made as the subject of discussion.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assumption is to establish what Universities are intending to teach to students first, and to teach such thing, the questions of their entrance tests should contain relevant criteria so that students with relevant abilities would be selected. Even after entering school, constant monitoring would be necessary, and if it shows different results as expected, the criteria should be reviewed again. As such, the reason for Universities requiring much things is because the Universities are, the subject of student selection, the subject which requires certain abilities to students, and the subject of evaluation. Therefore, it is because a University can achieve its original purpose only when good talented students are obtained through such process of selection and ar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 KCI등재후보

        웹툰에 나타난 새로운 표현형식에 관한 연구

        정규하(Jeung Kyu-Ha),윤기헌(Yoon Ki-He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7

        웹툰이 활성화 되면서 웹 형식에 맞는 새로운 표현 형식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를 살펴보면 웹툰에 나타난 새로운 표현양식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그 하나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CG사용의 보편화, 컬러만화의 대중화가 그에 속한다. 두 번째는 웹기반에서 생성되는 특징으로 세로 스크롤의 경향, 시간 개념의 도입, 애니메이션적인 연출 효과, 매체 최적화 제작 경향, 다양한 미디어 접목 시도를 들 수 있다. 웹기반의 만화 서비스에 대한 문제점이 노정되고 만화가나 만화계의 저작권 등의 해결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그러나 웹툰이 가지고 있는 속성과 표현양식의 변화는 보다 만화의 지평을 넓혀 줄 것이다. As webtoon became activated, new forms of expression corresponding to a web format were appeared. New form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he first is regarding on the computer, which includes a wide use of CG, and color comics. The second is related to web-based one, which includes the trend of a vertical scroll,the introduction of concept in time, animation stage effects, the manufacture trend of media optimization, and the various media mixing. While problems regarding web-based comics service such as copyright and cartoonist become manifested, webtoon will widen new horizon of comics with its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in the form of expression.

      • KCI등재

        일본 소녀만화의 표현기법의 변화에 관한 고찰

        김소원(Kim, So-won),정규하(Jeung, Kiu-ha)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7

        다양한 만화 장르 중에서 한국의 순정만화와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는 ‘소녀만화’는 일본에서 시작되어 세계 각국으로 전파 된 만화 장르이다. 그리고 소녀만화를 다른 장르와 구분 하는 특징의 하나는 내면의 세계를 그리는 독특한 시각적 표현이다.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에 발간된『소녀』,『소녀 클럽』,『소녀 북』등의 소녀 잡지에 실린 만화의 시각적 표현, 특히 꽃의 표현과 칸나누기 연출, 속표지의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했다. 그리고 그러한 분석을 통해 이 시기의 작품들이 소녀만화의 기본적인 특징들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시각적 표현은 특히 당시 소수의 여성 작가들에 의해 활발하게 시도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내면세계와 주인공의 심리를 시각적으로 표현 하는 특징들은 이미 1960년대 초의 소녀만화에서도 드러나 있었다. 소녀만화는 많은 선행 연구자들로부터 1970년대 초반 ‘황금기’를 맞이하며 그 형식과 표현 방법을 완성 시킨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일본 소녀만화 연구는 소녀만화의 황금기라 불리는 시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작품이 등장하고 스토리와 시각적 표현에서 완성도가 높아졌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로 독자들의 지지를 받는 인기 작가들이 등장했고, 인기 작가의 등장은 소녀만화 독자층의 확대로 이어졌다는 부분에서 큰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들 소녀만화가 갖는 독특한 시각적 표현이 언제부터 등장 했는가에 대한 연구, 즉 초기 소녀 만화 연구는 많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듯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의 소녀만화는 1970년대의 소녀만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58년부터 1963년 사이에 출판된 소녀잡지 만화의 시각적 표현의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소녀만화가 성립되는 과정에 있어 큰 역할을 담당했던 작품과 작가들에 대해 재평가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소녀만화의 시각적 표현의 원류가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특징들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에 대한 새로운 제시가 될 것이다. Shojo manga, one of Japan’s comic genres, is well-known around the world. There is an equivalent manga genre in Korea and it is called Sunjeong Manhwa. What distinguishes shojo manga from other comic genres is its uniqu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inner world of comic characters. In this study, shojo manga depicted in various shojo magazines in the early 1960s are analyzed. The magazines reviewed include Shojo, Shojo Club and Shojo Book. Among the visual representations, flower expression, panel composition and title page design a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basic elements of shojo manga are portrayed well in manga published in theearly 1960s, during which several female cartoonists actively led the creation of the said genre. These findings confirm that the representations adopted in shojo manga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the inner world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main characters were already evident in the early 1960s. According to earlier studies, shojo manga reached its golden age in the 1970s, when the genre’s format and representation method were developed to its full extent. Therefore, studies investigating shojo manga often focused on this golden era, during which a variety of comics emerged and stories and presentation skills further improved. An increasing number of readers began reading shojo manga. Popular cartoonists also emerged, further accelerating the genre’s burgeoning popularity. However, there has been no investigation on the unique representations found in shojo manga. This means that the shojo manga published between the late 1950s and the early 1960s were underestimated compared with those published inthe 1970s. The aim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reassess the comic works and cartoonists tha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shojo manga by analyzing visual representations of shojo manga published from 1958 to 1963. This study proposes new ideas on when the unique representations of shojo manga first emerged and how those representations were described.

      • KCI등재후보

        웹툰만의 셔레이드 기법의 특징적 요소 분석

        한영웅(Han, Youngwoong),이태구(Lee, Taegu),정규하(Jeung, Kiuha)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1

        본 연구는 웹툰에 나타난 셔레이드의 기능적 측면을 살펴보고 만화 또는 웹툰 만의 독특한 셔레이드 기법을 찾아가는 것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강도하의 ‘위대한 캣츠비’, 양영순의 ‘1001’, 강풀의 ‘순정만화’를 연구대상으로 기존의 셔레이드가 웹툰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웹툰에서만 나타난 셔레이드의 기법의 특성들을 고찰하였다. 웹툰만의 셔레이드 기법의 특징적 요소로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로 분류되었다. 시각적 요소로는 색상, 공간 모핑, 여백, 칸새, 스크롤, 효과 기호, 그림체 변화, 인위적인 생략, 강조 등의 요소가 활용되고 있었으며, 청각적 요소로 실제 청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의 시각화를 활용한 요소들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웹툰만의 셔레이드 요소들이 어떠한 기준에 의해 분류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념적 분리가 완벽히 이루어지지는 않지만 이러한 기능적 측면들을 파악해 보는 것은 웹툰 연출의 다양성 확보 측면에서 매우 가치 있는 일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began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functional aspects of charade found in webtoons and finding unique charade techniques in webtoons. ‘Great Catsby’ by Kang Do-ha, ‘The Thousand and One Nights’ by Yang Yeong-soon, and ‘Romance Comics’ by Kang Pool were selected as the study objects to analyze how the existing charade was applied in those webtoons, contemplating the techniques of charade only found in webtoons.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webtoon"s charade are divided into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Colors, space morphing, margin, gaps between panels, scroll, comic signs, changes of picture style, artificial omission, and emphasis were used as the visual elements; actual auditory elements and the elements utilizing visualization of auditive elements were used in auditory elements. Although the conceptual separation on what standard these charade elements only found in webtoons should be divided is not yet completely done, understanding those functional features is thought to be valuable in securing diversity when producing webto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