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사회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앱 기반 스크립트 프로그램 상황 및 문항 개발 연구

        정경희(Gyeong-Hee Jeong),송병섭(Byung Seop Song)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1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앱기반 스크립트 프로그램에 필요한 상황 문항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전문가 81명을 대상으로 스크립트 프로그램의 상황 문항 타당도와 중요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 내용과 같다. 첫째, 스크립트 상황 문항은 위생관리, 건강/병원, 간식/식사, 놀이/기타 4개의 상위영역과 총 20개 하위영역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앱기반 스크립트 프로그램 상황 문항에 대한 타당도는 "매우 타당함"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는 "매우 중요함"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스크립트 프로그램 상황 문항은 일상에서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적 언어가 중심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ntextual questions necessary for app-based scripting programs to enhance social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81 experts were surveyed on the feasibility and importance of the contextual items of the script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cript situation items were shown in hygiene control, health/hospital, snack/meal, play/other four upper and a total of 20 lower areas. Second, the validity of the app-based script program context items to improve social communication was shown as "very reasonable", and the importance was shown as "very important". In conclusion, the script program contextual items to enhance social communication will be centered on functional language preferentially used in everyday life.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 유아의 사회성 특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주요 영향 요인

        정경희 ( Jeong Gyeong-hee ),안성우 ( Ahn Seong-wo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언어장애 유아들의 사회성 특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들은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일반 집단으로 나누어진 86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들이다. 본 연구에는 의사소통 능력 검사, 어머니 양육태도 검사, 유아기질 검사,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 검사 등이 사용되었다. 이를 토대로 단순언어장애 유아들의 의사소통 능력,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 그리고 사회성을 일반 유아들과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첫째, 단순언어장애 유아들은 사회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일반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내어 이들의 사회성 기술이 부족함을 나타내었다. 둘째, 의사소통 능력, 기질, 어머니 양육태도가 단순언어장애 유아들의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요인들은 단순언어장애 유아들의 사회성에 주요한 영향요인임을 설명해 주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유아들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이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단순언어장애 유아들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중재는 언어중재 뿐만 아니라 유아들의 기질 및 어머니들의 양육태도를 이해하고 반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ity in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and varying factors that impact on children`s sociality. Method: For this, subjects were 86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divided into two group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were Communication Ability,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RITQ, and Korean-Social skill rating scale for preschoolers. The young children group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ere compared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group in terms of communication ability, temperament, mother`s rearing and social skills.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area of social skill between you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young children with normal development. The sociabilit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group. Second, the communication ability, temperament, mother`s rearing had effects on the sociability of you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These are an important factor in the sociability of you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onclusion: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provid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the intervention strategy support and improve social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erefore, the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ociality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are necessary not only linguistic intervention but also to understand of child`s temperament and mother`s rearing facto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