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한국과 서양의 관객참여(觀客參與) 비교연구: 마당과 판, 그리고 무대를 중심으로

        정경조 ( Kyeong Jo Je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80 No.-

        서양의 문화가 무대에서 발전해 왔다면 우리 문화는 마당에서 발전해 왔다. 마당은 공동이 소유하는 생활의 연장선이면서 열린 공간이다. 그리고 마당은 상호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공간이다. 반면에, 서양의 무대는 공연자와 청중을 분리시킨 닫힌 구조다. 놀이와 예술이 펼쳐지는 장소적, 공간적 의미의 판은 관객의 참여를 철저히 배제한 서구식 무대가 아니라, 관객의 참여를 허용한 개방적인 마당이라 할 수 있다. 청중은 감상만 하는 사람이 아니라 처음부터 공연을 같이 이끄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 서양과 다르다. 판소리뿐 아니라 우리나라 대부분의 공연들이 끊임없이 관객들에게 말을 걸고 관객들은 나름대로 추임새를 하든지 농담을 던진다. 이와 달리 서양의 관현악이나 오페라공연에서 최상의 청중들이란 연주를 하는 동안 소리를 내지 않는 사람들이다. 근대 서양의 공연문화가 경청하는 수동적 문화라면 한국인은 함께 뛰어 놀고 반응하며 즐기는 참여형 문화다. 이러한 참여형 청관중의 동참은 ‘가창참여’라는 우리의 전통에서 시작된 것이며, 선후창 민요와 그것이 응용된 판소리 삽입민요에서 그 기원을 찾아 볼 수 있다. 선후창 민요는 노랫말과 후렴구가 교대, 반복되는 형태이고, 판소리 삽입민요는 판소리 광대가 노랫말과 후렴구를 가창하는 가운데 청관중이 따라 부르는 방식을 말한다. 전자가 청관중의 자발적인 동참에 의해 이루지는 것이라면 후자는 광대의 선창에 의한 유도된 동참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래 공연자와 청관중이 함께 어울려 즐기는 놀이와 같았던 판소리는 19세기를 거치면서 명창 중심의 고급예술로 변모했고, 20세기 들어서 서구화에 따른 공연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연 참여는 점차 쇠퇴했다. 서구화된 공연환경의 보급으로 판과 마당문화는 ‘무대’로, 공연의 일부였던 청관중은 초대 받은 ‘손님’으로 전락했지만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신명의 기억은 점차 그동안 억눌렸던 관객의 참여기능을 되찾으려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고, 관객들도 스스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에 열광한다. 서양과 달리 우리에게는 처음부터 무대와 객석의 구분이 없었다. 지켜야만 할 격식도 어떤 제약도 없었다. 그저 마당에서 펼쳐지는 놀이판에 끼이기만 하면 구경꾼 스스로 놀이꾼이 되어 신나게 어울릴 수 있었던 것이 우리 공연문화의 본질이었다. 그렇게 청관중이 되는 순간 신명을 체험하게 된다. 판은 예술 행위의 장이기도 하지만 여럿이 한데 어우러져 즐기는 놀이의 터이기도 하고, 신명은 예술에만 국한되는 정서가 아니라 한국인의 일상을 지탱하는 정서이기에 신명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면 한국인 전체를 관통하는 민족성을 더욱 깊이 이해 할 수 있게 된다. 판과 마당은 절대로 혼자서는 만들 수 없고, 신명은 혼자일 때보다 여럿일 때 더 빛을 발한다. 결국, 우리나라의 공연문화의 특질을 이루는 ‘청관중’은 우리 고유의 공동체 문화라는 ‘판’ 위에서 공동체적 유대감으로 신명나게 노는 우리들의 자화상이라 할 수 있다. Korean culture has developed on the Madang, while the Western culture on the stage. Madang is the open space where the actual lives are proceeding. It is also the spot for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In contrast, the western stage is the closed space that separates the performers and the audiences. ``Pan`` is the space and the spot where some kind of play or art is performed. It`s not the western stage not to allow the audience to take part in, but the open space to permit the spectators` partaking. It`s different from the western in that the audience is not appreciating the performance but can comprise it from scratch. The audiences can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the actors and with each other in most of Korean performances. However, the western audience should keep quiet in the performance of the symphony orchestra and the like. The western performance culture is listening-centered and passive, but that of Korean is participation-centered and active. This kind of the voluntary audience is based on the tradition of ``singing together`` and is originated from Korean ``Sun-Hu-Chang`` folk songs and Pansori. In spite of this tradition, ``Singing Together`` like Sun-Hu-Chang has decreased because of the change of the performing conditions. Even though the westernized performing conditions moved ``Pan`` or ``Madang`` into the stage, and changed the voluntary audiences into the silent guests, the inherited memory of Sinmyeong is trying to take back the function of the voluntary audiences and Koreans are getting excited at the opportunities of participation performance programme. We Korean traditionally have not separated the stage for actors from the seats for the audience. Once the audience take part in Madang, they can be performers themselves and the essential part of the performance. Furthermore, they may experience Sinmyeong which is not only the emotion related with art but also the sentiment supporting Koreans actual lives. If you thoroughly understand Sinmyeong, you can also comprehend the traits of Korean. ``Pan`` or ``Madang`` can never be made by a person, and Sinmyeong can be more enjoyable when it`s shared. The voluntary audienc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erformance culture, may be a self-portray enjoying on our community culture ``Pan`` with community bond ``Sinmyeong``.

      • KCI등재후보

        ‘밥과 빵’ 주식(主食)문화가 낳은 한국과 서양의 문화 차이

        정경조 ( Jeong Kyeong-j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4 No.-

        동서양 여러 학자들이 연구를 통해 밝혀낸 것처럼 동양과 서양의 문화차이는 뚜렷하다. 그 중에서도 음식문화는 독특한 환경과 맞물려 각기 고유의 정체성을 확립했다. 전통음식은 각국의 역사와 문화, 생활이 고스란히 녹아 있어 한 나라를 이해하는 가장 빠른 핵심 키워드이다. 음식문화에는 그 나라의 역사와 자연, 사회 등이 총체적으로 담겨있다. 각 나라의 의식주 문화의 핵심인 밥과 빵을 비교해 보면 동양과 서양의 문화차이를 알 수 있다. 특히, 한국과 서양의 사람들이 무엇을 먹고 살았는가에 대하여 주식인 ‘밥과 빵’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주식으로 삼는 것이 무엇이냐에 따라 생활이 변하고 문화가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동서양의 근본적인 문화차이를 쌀과 밀로 구분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참조하여 밥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문화의 특질을 빵을 주식으로 하는 서양문화와 비교하였다. 음식은 인간의 삶과 가장 밀접하기 때문에 인류에게 있어서 음식문화란 가장 강력한 가치이다. 빵과 밥은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먹거리일 뿐 아니라 다양한 상징과 정체성을 담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과 서양의 음식문화를 비교하는 것은 양 문화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필수 작업이라 하겠다. 인간은 가장 중요한 식생활의 차이에서부터 주거형태, 사회관습, 문명문화로 이어지는 서로 각기 다른 문명을 이루게 된 것이다. 빵과 밥이 어떻게 길과 마을, 나아가 종교와 가치관에까지 영향을 미쳤는지는 현대사회의 동서양 국가별 주요 식재료, 조리법뿐만 아니라 식기 및 식사예절의 차이가 입증하고 있다. 음식은 언어와 같이 그 나라와 땅을 표현하는 얼굴로서 언어를 통하지 않고도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요소를 지닌다. 음식은 말이 없지만의 먹거리는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를 만들었고, 한중일 동양문화권 중에서도 밥이 갖는 의미가 가장 큰 한국에서는 밥 중심의 식문화가 의, 식, 주의 구분을 넘어서는 여유, 배려, 그리고 외부인과의 유연성과 융통성이라는 공통적인 의식의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As you know what many scholars have said, the food culture has established clear traits that are caused by every unique environment. The traditional food in every country may be the critical keyword for the understanding of its nation because it has condensed the history, culture, and lifeway of every nation and the change of lifeway and culture must depend on what they have eaten as the staple food. People have established every different culture from the difference of dietary life to that of housing, social custom, and finally made every unique civilization. The differences of the staple, recipes, tableware, and table manners in every orient and occident nation may prove how Bap and Pang can make roads and villages and how they can affect a kind of religion and way of thinking. Food contains many elements that can make people comprehend one another without any languages. Food has no words but it can represent national or local culture. In conclusion, the food of nation can make cultual differences of the Orient and the Occident. 'Bap' of Korean food culture has the most essential part in comparison with Chinese and Japanese food culture. The Korean Rice-Based Staple Food Culture has had much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spirit, and the flexibility to foreigners.

      • KCI등재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동,서양 이상적 인간상의 가치규범: 충서(忠恕)와 Noblesse oblige 비교연구

        정수현 ( Su Hyun Jung ),정경조 ( Kyeong Jo Je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8 No.-

        어느 나라나 그 나라가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형이 있다. 이러한 이상적 인간형은 그 나라의 전통적인 도덕관을 실천한 사람으로, 그들이 사라진 현대사회에서도 이런 인간형의 역할과 그들의 행동을 규율 했던 가치와 규범은 그 나라의 정신적 근간이 되었다. 그렇다면 한국의 전통문화와 가치관을 대변할 수 있는 인간형은 누구일까? 한국인들 대부분은 ‘선비’를 떠올릴 것이다. 선비는 누구나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양반계급만으로 한정된다는 점에서 노블레스가 의미하는 ‘귀족계급’에 상응한다. 따라서 노블레스 오블리주와 선비의 도덕관인 충서(忠恕)사상을 비교하는 것은 동서양 문화의 근본적 차이점을 이끌어 내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을 뿐더러, 이를 구조적으로 비교한다면 각 문화의 특수한 성격 또한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지위에 상응하는 도덕적 의무’ 를 뜻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란 프랑스나 서양의 선진국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우리에게는 선비들이 실천해왔던 충서정신이 있다. 선비정신은 단순히 학문을 갈고 닦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배운 지식을 통해 자신의 욕망을 절제하며 약자를 돕고 배려하는 정신이었다. 이는 우리 민족 고유정신이자 대대로 내려온 삶의 철학이다. 계급이 사라지고 평등을 지향하는 현대사회는 모든 사회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도덕적 의무와 책임이 있다. 현대인들이 물질문명이 지나치게 강조되는 사회에서 그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신문명을 복원해야하며, 그 시작은 노블레스 오블리주처럼 시혜적 차원의 기부가 아니라, 충서 정신에 담겨는 타인과 공감하기 위한 정성이 담긴 배려와 나눔이 되어야 할 것이다. 현대 한국사회가 겪는 각종 사회적 갈등과 격렬한 대립의 분위기를 바꿔 새로운 미래 지향적인 공동체 문화를 가꾸어 가기 위해서는 나눔과 배려 그리고 상호공경과 보살핌의 정신인 충서를 복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All the countries have their ideal humans who have practiced their traditional morality and nowadays they have gone but the value and norm that have ruled their roles and behaviors have become the mental basis. Who can be Mr. Rights that represent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morality? Most Korean must believe that they are ``Seonbi``. Even though they are bygones these days, they may live in Koreans` consciousness and subconsciousness. In that everyone can`t be ``Seonbi`` and they are from Yangban, Korean nobility, they are Noblesse. If we compare Noblesse oblige with Chungseo, Seonbi`s moral standard, we can find out the basic differenc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 and also the uniqueness of each culture. Noblesse oblige, the moral duty corresponding to social position, can`t be only in French and other western countries. We Koreans have had very practicable Chungseo. It can not only be studying something but also controlling the desire and helping the weak. It is our nations` peculiar spirit and the philosophy of life. The modern societies that have no classes and pursue the equality have moral duty and responsibility. We tend to overemphasize the materialism, so we first recover the spiritualism to do our duties. The first step is not the dispensation and donation of Noblesse oblige but the consideration and sharing of Chungseo. To build up the future-oriented community by solving social conflict, we should restore Chungseo that is the spirit of sharing, consideration, and inter-respect.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동서양 사랑시를 통해 본 사랑의 개념 차이 연구

        정수현 ( Su Hyun Jung ),정경조 ( Kyeong Jo Je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2 No.-

        사랑은 인류보편의 정서지만 그것을 이해하고 해석하고 풀어내는 감각은 사회마다 다르다. 사랑은 시간과 공간, 문화를 초월하는 인간의 보편적 욕망을 담고 있지만 각 시대의 삶의 조건이나 지배 이념, 가치관에 영향을 받는 역사적인 것이어서 사랑주제는 한 시대의 정신적 문화적 양식을 보여줄 수 있는 중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문화사에서 사랑은 사적(私的) 영역으로 치부되거나 여성의 일로 폄하된 채, 진지한 학문적 탐색 대상이 되지 못했고 다른 주제의 일부분으로 다룬 정도에 불과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는 주요 자료는 시대마다 양산된 사랑 표현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는 문학, 그 중에서도 사랑시를 그 대상으로 삼으려 한다. 사랑은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인간문제로서 문학의 주요주제 중 하나이다. 사랑에 있어서의 그 정조나 색조가 사람됨에 따라 또한 시대 변동의 조건에 따라, 한 집단의 공동체적 경험에 따라 다양하지만, 동서고금을 가릴 것 없이 특히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한 문학적인 표현은 엄연히 주류로서 항상 존재해 왔다. 비록 시대가 변하고 예술의 형식이 변했을 지라도 사랑을 향한 인간의 욕구는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문학속의 사랑은 언제나 새로 태어나면서 이어져 왔다. 동서양의 사랑관의 가장 뚜렷한 특징 또는 차이점은 ‘자기실현’과 ‘타자실현’, ‘개인 중심’과 ‘사회 중심’으로 요약할 수 있다. 자기실현과 개인중심은 자신의 궁핍한 욕망을 채우려는 이기심(利己心)이 항상 주는 만큼 받으려는 상호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것이고, 타자실현과 사회중심의 사랑관은 개인이 속한 사회 전체를 유기체로 보고 그 안에서 개인의 욕망실현을 고려하는 지극히 이타주의적인 사고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양식 사랑관에서의 사회적 질서나 관습은 극복과 투쟁의 대상이었지만 동양식 사랑관에서는 순응과 수용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인 사랑의 감정도 사회의 통제를 피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한국인의 사랑’은 시대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했으나 한국인의 사랑 개념을 주로 형성한 것은 유교의 질서이다. 유교는 자손의 번영을 전제로 하는 부부사이의 화합을 용인하고 또 그것을 찬미한다. 하지만 미혼남녀의 교제는 결코 인정하지 않았으며 결혼 전에 발생하는 사랑의 감정은 철저하게 억압당했다. 한국 전통서사에서는 남녀의 성 또는 사랑을 단순히 인간의 본능이나 쾌락의 차원에서만 생각하지 않았다. 그것에 윤리적 가치를 부여하기도 하고 숭고한 마음을 담기도 했으며 주술적 종교적 믿음을 바치기도 했던 것이다. 한 작가가 시 창작을 할 때 시적 화자를 선택하는 일은 작가 자신의 고유한 창작 방법에 의해 결정되기도 하지만 전통과 같은 제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한국의 애정시가는 대부분 작가의 성별과 무관하게 여성 화자를 내세워 임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표현한다. 한국인들이 이처럼 애정표현을 억제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감정은 억제할수록 순수하고 강해진다는 생각에서 비롯된다. 그래서 한국 전통사회에서는 적극적이고 노골적인 자기표현보다는 공유된 경험과 분위기를 통해 말없이 은근슬쩍 속내를 내비치는 무언의 커뮤니케이션이 발달했다. 두 번째는 자기보다는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먼저 해야 한다는 가치관 때문이다. 사랑하면서도 사랑한다고 말하면 행여 임에게 부담이 될까 봐 마음의 아픔을 억제하면서 차라리 사랑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 한국인이다. The emotion of Love is universal but each society has each wa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it. Though love has general desire beyond time, space and culture, it is a historical thing affected by life condition, ruling ideology, and viewpoint of each era and the theme of love can be the critical criterion of spiritual and cultural ways. But, in Korean culture history, love was degraded as private section or women``s affairs , couldn``t an academic subject, and was regarded as the part of theme. The analysis object of this thesis is the literature, essence of love expression, especially love poems. Love is universal and essential problem and one of main themes in literature. Although it can vary in personal characteristics, conditions and communities experiences, it has existed in all ages and cultures. It has been reborn in spite of the changes of era and art convention because of the lasting desire of love. The distinct difference of Oriental and Occidental love is self-actualization and others-realization, egocentrism and altruism. Self-actualization and egocentrism is that the selfish desire is based upon the premise of reciprocality and others-realization and altruism is that love is oriented to organic communities. To put it in another way, social order or custom can be the object of conflict in Occident but the object of obedience in Orient. Therefore, it must be ruled by social control. The ‘Korean Love’ is different in each era, but it must be molded primarily by Confucian order. Confucius recommends praises the harmony of husband and wife but disdains and oppresses the love of unmarried couples. In Korean traditional narration, the love between men and women had not been thought of as instinct or pleasure but moral value and religious belief. Most of Korean love poems have made the poetic narrator heroine and expressed the love and longing for her beloved regardless of their authors sex because when an author chooses a poetic narrator, it can be affected by his unique type of creation and traditional system. There are two reason to stifle this lovely emotion in Korea. First of all, they think that the more oppressed, the more innocent and strong. Secondly, that``s because they put the solicitude of others before themselv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