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택리지』에 내재된 저탄소 녹색마을의 계획적 함의

        정경연 ( Kyongyeon Jeong ),변병설 ( Byungseol Byun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2 국정관리연구 Vol.7 No.1

        21세기 인류의 최대 이슈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다. 세계 각국은 자국의 자연환경과 역사를 적용한 기후변화 적응 모델을 개발하여 왔다. 한국도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저탄소 녹색마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탄소 녹색마을은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탄소 배출을 근본적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미 발생된 탄소는 다양한 녹색기술을 통하여 흡수하거나 분해시켜 쾌적한 마을 공간을 조성한다. 궁극적으로 저탄소 녹색마을의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 탄소제로마을을 지양하고, 관광객을 유치하여 주민의 일자리 창출과 소득향상에 기여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택리지』의 「복거총론」에서 이 같은 저탄소 녹색마을의 계획적 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복거총론 은 사람이 살기 좋은 가거지의 조건으로 지리, 생리, 인심, 산수 네 가지를 설명하고 있으며 오늘날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저탄소 녹색조성에 필요한 요소들을 내재하고 있다. The largest issue of the 21st century is an effort to combat climate change.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developed climate change adaptation model that their country`s natural environment and urban culture and history has been applied. Korea also have been working diligently to construct low-carbon green village for respond to climate change. A low-carbon green village is aimed at radically reducing carbon discharge, a major cause of global warming. It is also aimed to put in place all the function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village. It is also aimed at absorbing or decomposing carbon through green technologies to create a comfortable space in village. In short, the creation of economic benefits is aimed by securing the original technology of a low-carbon green village as well as the creation of a village that contributes to job creation and boosts the income of residents by seeking a zero-carbon-emission village and attracting tourists. This study drew planning techniques for low carbon green urban from ‘Bokgeochongron’ theory of Taekriji which is the book that explain Korea`s natural environment and urban culture and histories. Bokgeochongron`s theory was described four kinds(geography, economy, benevolence, landscape) to livable urban for people. Nowadays they are important factors for low carbon green urban planning techniques to adapt climat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