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 전,후 여성의 질조직에서의 NOS (Nitric Oxide Synthase) 발현

        유은희 ( Eun Hee Yoo ),전호영 ( Ho Young Chun ),홍옥기 ( Ok Ki Hong ) 대한폐경학회 2007 대한폐경학회지 Vol.13 No.3

        연구목적: 질식 수술에서 얻어진 폐경 전·후 여성의 질 조직의 섬유화를 비교하고 NOS의 발현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NOS 중 NOS I (neuronal NOS), NOS III (endothelial NOS)의 발현도를 폐경 전·후 질조직에서 발현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성호르몬의 영향하에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부인과적 적응증으로 질식수술을 시행한 폐경 전 여성 13, 폐경 후 여성 10, 총 23예를 대상으로 질조직을 얻어 면역화학염색으로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고, eNOS, nNOS의 발현도를 western blotting assay와 면역화학염색으로 그 발현도와 분비장소를 확인하였다 결과: 폐경 여성의 질은 masson`s trichrome 염색에 의해 폐경 전에 비해 질벽의 아교질 침착이 두드러지며, 질상피세포의 위축이 심하여 질의 탄력성 및 유연성이 떨어지는 것을 조직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폐경 전ㆍ후 질조직 모두에서 NOS가 발현되고 있었으며, 질조직의 혈관내피세포, 신경섬유에서 NO가 분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폐경 전·후에 따른 여성 호르몬의 차이에 따른 NOS의 발현도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폐경 전·후의 질조직에서 NOS의 발현도의 차이를 보고자 한 본 예비연구에서 폐경 전·후 여성의 질조직에서 eNOS, nNOS 모두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아쉽게도 폐경 전·후에 따른 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Objectives: To identify the expression an topographic localization of NOS in vagina of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and determine the change of NOS after menopause Methods: The vaginal tissues were obtained during anterior or posterior colporrhaphy from 13 premenopausal and 10 postmenopausal women. The expression of neuronal and endothelial NOS were examined with Western blotting. The cellular localization of nNOS and eNOS was confirmed with immunohistochemistry. Trichrome staining was performed to determine smooth muscle/collagen ratios. Results: Using immunohistochemistry, eNOS was localized in vascular endothelium and smooth muscle cells of mural and extramural arteries and arterioles. The immunoreactive pattern for neuronal NOS was found in nerve fibers, ganglias and smooth muscle fibers within nerve plexus of vaginal wall. By Western immunoblot analysis, neuronal NOS and eNOS protein expression were demonstrated.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eNOS and nNOS expression between pre- and postmenopausal vagina tissues. By Masson`s trichrome staining, increased amount of collagen deposition with vaginal atrophy was confirmed in the postmenopausal vaginal tissue. Conclusion: Immunohistochemical and Western blotting study have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NOS in the human vagina. However, the alteration of eNOS and nNOS expression of vagina after menopause was not demonst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