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통계적 특징을 이용한 질감특징분석 알고리즘의 적용

        유주은(Jueun Yoo),전태성(Taesung Jun),권진아(Jina Kwon),정주영(Juyoung Jeong),임인철(Inchul Im),이재승(Jaeseung Lee),박형후(Hyonghu Park),곽병준(Byungjoon Kwak),유윤식(Yunsik Yu) 한국방사선학회 201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7 No.1

        본 연구는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간 질환의 자동 인식으로 질감특징분석(texture feature analysis. TFA)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에 대한 컴퓨터보조진단(computer-aided diagnosis. CAD)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안하는 각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HCC 영상에서 분석영역(40×40 픽셀)을 설정하고 각 부분영상에 통계적 특징을 이용한 6가지 TFA 파라메터(평균 밝기, 평균 대조도, 평탄도, 왜곡도, 균일도, 엔트로피)비교하여 간세포암 인식률(recognition rate)을 구하였다. 결과적으로 TFA는 간세포암 인식률을 나타내는 척도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으며 6가지 파라메터에서 균일도가 가장 인식률이 높았으며 평균 대조도, 평탄도, 왜곡도가 비교적 높았고 평균 밝기와 엔트로피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이와 관련하여 높은 인식률을 보인 알고리즘(최대 97.14%, 최소 82.86%)을 간세포암 영상의 병변을 판별하여 임상의 조기 진단을 보조하여 치료를 시행한다면 진단의 효율성이 높아 질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효율적이고 정량적인 분석을 추가함으로써 질병인식의 일반화에 대한 기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In this study, texture feature analysis (TFA) algorithm to automatic recognition of liver disease suggests by utilizing computed tomography (CT), by applying the algorithm computer-aided diagnosis (CAD)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design. Proposed the performance of each algorithm was to comparison and evaluation. In the HCC image, set up region of analysis (ROA, window size was 40×40 pixels) and by calculating the figures for TFA algorithm of the six parameters (average gray level, average contrast, measure of smoothness, skewness, measure of uniformity, entropy) HCC recognition rate were calculated. As a result, TFA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s a measure of HCC recognition rate. Measure of uniformity was the most recognition. Average contrast, measure of smoothness, and skewness were relatively high, and average gray level, entropy showed a relatively low recognition rate of the parameters. In this regard, showed high recognition algorithms (a maximum of 97.14%, a minimum of 82.86%) use the determining HCC imaging lesions and assist early diagnosis of clinic. If this use to therapy, the diagnostic efficiency of clinical early diagnosis better than before. Later, after add the eff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criteria research for generalized of disease recognition is needed to be considered.

      • 국내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소비 패턴 진단 및 평가

        김동윤 ( Kim Dongyoun ),이호식 ( Lee Hosik ),전태성 ( Jun Taesung ),박민오 ( Park Minoh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한국의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를 위해 환경부는 2010년부터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으로 2030년까지 에너지자립률을 50%의 수준으로 올리려는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하수도 통계에 따르면 연간 총 전력사용량은 2014년 2,906GWh/년에서 2018년 5,975GWh/년으로 4년간 200% 넘게 증가하였다. 500m<sup>3</sup>/일 이상의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자립률은 전체 전력사용량의 재생에너지 이용률인 20% 수준으로 아직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 2020년 목표인 30%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하수처리장의 에너지소비 패턴과 과소비 기계설비를 에너지 진단프로그램을 통해 에너지 절감 요소를 분석하고 전력사용량을 절감하는 것이다. 광역시 내 500m<sup>3</sup>/일 이상 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소비패턴을 분석한 결과, 에너지 사용량이 규모와 공법별로 차이가 있었다. 규모별로 진단하였을 경우 시설용량이 큰 대규모 하수처리장의 경우 하수 1ton을 처리하는데 소모되는 에너지가 소규모 하수처리장에 비해 적었고, 공법별로 비교하였을 때 MBR공법을 사용한 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소모가 가장 높았다. 하수처리장의 주요에너지 소비패턴은 1순위는 송풍기, 2순위는 유입펌프로 대부분 하수처리장이 비슷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하수처리장의 각 기계설비들에 대한 세부적인 에너지 소모량 및 펌프, 송풍기 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환경공단에서 제작한 에너지 진단프로그램인 Tool-kit을 활용하여 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진단을 진행했다. 주로 에너지 소모원이 높은 기계설비인 펌프와 송풍기 위주로 에너지 진단을 수행하였다. 하수처리장 내 기계설비들의 에너지 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정격 전기 데이터와 실제 전기 데이터(전류, 전압, 역율 등)를 적용하여 효율을 분석하였고, 펌프효율의 경우에는 실제 양정, 측정 유량, 토출 압력 등 현장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효율을 분석하였다. ‘A’ 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Tool-kit을 통한 에너지 진단결과 주요 기계 설비 중에는 송풍기와 유입펌프에서 에너지 소비량이 전체 전력 소모량의 50~70%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유입펌프의 경우 50% 수준의 부하율, 송풍기의 경우 70% 이상의 부하율을 나타냈다. 유입펌프의 경우 정격효율 대비 실제 효율은 60% 수준으로 나타났다. 송풍기의 경우 A, B, C 각각 84%, 70%, 86%의 용량부하율을 나타냈다. 각 기계설비 별로 에너지 진단을 통해 에너지 소모가 높은 노후 펌프 및 송풍기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우선적으로 교체가 진행된다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소비 패턴 진단 및 평가

        김동윤 ( Kim Dongyoun ),이호식 ( Lee Hosik ),전태성 ( Jun Taesung ),박민오 ( Park Minoh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한국의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를 위해 환경부는 2010년부터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으로 2030년까지 에너지자립률을 50%의 수준으로 올리려는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하수도 통계에 따르면 연간 총 전력사용량은 2014년 2,906GWh/년에서 2018년 5,975GWh/년으로 4년간 200% 넘게 증가하였다. 500m<sup>3</sup>/일 이상의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자립률은 전체 전력사용량의 재생에너지 이용률인 20% 수준으로 아직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 2020년 목표인 30%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하수처리장의 에너지소비 패턴과 과소비 기계설비를 에너지 진단프로그램을 통해 에너지 절감 요소를 분석하고 전력사용량을 절감하는 것이다. 광역시 내 500m<sup>3</sup>/일 이상 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소비패턴을 분석한 결과, 에너지 사용량이 규모와 공법별로 차이가 있었다. 규모별로 진단하였을 경우 시설용량이 큰 대규모 하수처리장의 경우 하수 1ton을 처리하는데 소모되는 에너지가 소규모 하수처리장에 비해 적었고, 공법별로 비교하였을 때 MBR공법을 사용한 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소모가 가장 높았다. 하수처리장의 주요에너지 소비패턴은 1순위는 송풍기, 2순위는 유입펌프로 대부분 하수처리장이 비슷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하수처리장의 각 기계설비들에 대한 세부적인 에너지 소모량 및 펌프, 송풍기 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환경공단에서 제작한 에너지 진단프로그램인 Tool-kit을 활용하여 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진단을 진행했다. 주로 에너지 소모원이 높은 기계설비인 펌프와 송풍기 위주로 에너지 진단을 수행하였다. 하수처리장 내 기계설비들의 에너지 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정격 전기 데이터와 실제 전기 데이터(전류, 전압, 역율 등)를 적용하여 효율을 분석하였고, 펌프효율의 경우에는 실제 양정, 측정 유량, 토출 압력 등 현장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효율을 분석하였다. ‘A’ 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Tool-kit을 통한 에너지 진단결과 주요 기계 설비 중에는 송풍기와 유입펌프에서 에너지 소비량이 전체 전력 소모량의 50~70%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유입펌프의 경우 50% 수준의 부하율, 송풍기의 경우 70% 이상의 부하율을 나타냈다. 유입펌프의 경우 정격효율 대비 실제 효율은 60% 수준으로 나타났다. 송풍기의 경우 A, B, C 각각 84%, 70%, 86%의 용량부하율을 나타냈다. 각 기계설비 별로 에너지 진단을 통해 에너지 소모가 높은 노후 펌프 및 송풍기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우선적으로 교체가 진행된다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소비 패턴 진단 및 평가

        김동윤 ( Kim Dongyoun ),이호식 ( Lee Hosik ),전태성 ( Jun Taesung ),박민오 ( Park Minoh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한국의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를 위해 환경부는 2010년부터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으로 2030년까지 에너지자립률을 50%의 수준으로 올리려는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하수도 통계에 따르면 연간 총 전력사용량은 2014년 2,906GWh/년에서 2018년 5,975GWh/년으로 4년간 200% 넘게 증가하였다. 500m<sup>3</sup>/일 이상의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자립률은 전체 전력사용량의 재생에너지 이용률인 20% 수준으로 아직 에너지 자립화 기본계획 2020년 목표인 30%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하수처리장의 에너지소비 패턴과 과소비 기계설비를 에너지 진단프로그램을 통해 에너지 절감 요소를 분석하고 전력사용량을 절감하는 것이다. 광역시 내 500m<sup>3</sup>/일 이상 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소비패턴을 분석한 결과, 에너지 사용량이 규모와 공법별로 차이가 있었다. 규모별로 진단하였을 경우 시설용량이 큰 대규모 하수처리장의 경우 하수 1ton을 처리하는데 소모되는 에너지가 소규모 하수처리장에 비해 적었고, 공법별로 비교하였을 때 MBR공법을 사용한 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소모가 가장 높았다. 하수처리장의 주요에너지 소비패턴은 1순위는 송풍기, 2순위는 유입펌프로 대부분 하수처리장이 비슷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하수처리장의 각 기계설비들에 대한 세부적인 에너지 소모량 및 펌프, 송풍기 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환경공단에서 제작한 에너지 진단프로그램인 Tool-kit을 활용하여 하수처리장의 에너지 진단을 진행했다. 주로 에너지 소모원이 높은 기계설비인 펌프와 송풍기 위주로 에너지 진단을 수행하였다. 하수처리장 내 기계설비들의 에너지 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정격 전기 데이터와 실제 전기 데이터(전류, 전압, 역율 등)를 적용하여 효율을 분석하였고, 펌프효율의 경우에는 실제 양정, 측정 유량, 토출 압력 등 현장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효율을 분석하였다. ‘A’ 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Tool-kit을 통한 에너지 진단결과 주요 기계 설비 중에는 송풍기와 유입펌프에서 에너지 소비량이 전체 전력 소모량의 50~70%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유입펌프의 경우 50% 수준의 부하율, 송풍기의 경우 70% 이상의 부하율을 나타냈다. 유입펌프의 경우 정격효율 대비 실제 효율은 60% 수준으로 나타났다. 송풍기의 경우 A, B, C 각각 84%, 70%, 86%의 용량부하율을 나타냈다. 각 기계설비 별로 에너지 진단을 통해 에너지 소모가 높은 노후 펌프 및 송풍기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우선적으로 교체가 진행된다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