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연구 ; 주류광고가 청소년들의 음주의식과 음주의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김성이(Soung Yee Kim),전찬화(Chan Hwa Jeon),김재은(Jae Eoun Kim) 한국청소년학회 1996 청소년학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음주 태도와 음주행위의 TV광고가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를 Lisrel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논문이다. 서울과 지방에서 2단계 층화집락표출 방법으로 선정된 중학교 2학년생 1251명을 대상으로 TV의 영향, 부모의 음주, 주류명 인지도, 음주 경험 및 집단 특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TV영향은 주류명 인지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며, 음주 경험에는 거의 영향을 주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부모음주는 주류명 인지도와 음주 경험에 모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주류명 인지도에 대한 TV영향과 부모 음주를 비교해 보았을 때, TV영향은 부모음주보다 훨씬 더 컸다. 음주경험에는 TV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데 반해서 부모음주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있어 TV영향은 주류명 인지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주며, 부모음주는 음주행위에 영향을 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주류명 인지도와 음주경험간의 관계를 보았을 때 주류명 인지도가 음주경험에 약간이나마 더 영향을 주고 있어 주류명 인지도가 음주경험의 원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elevision beverage advertising and drinking knowledge and behavior were investigated in a survey of schoolchildren. The research was guided by a theoretical model specifying that awareness of advertising, and not mere exposure, is necessary for it to have an effect on knowledge or behaviors. Participants were a random sample of 1,251 second grade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s from Seoul and rural areas. Data were collected in the school with a self-administrated questionaries. Nonrecursive statistical modeling indicated that awareness of television advertising was related to greater knowledge of beverage brands. Awareness of beverage brands was indirectly related to drinking. Parents` drinking was related to drinking knowledge and experience. Children who have drinking parents had more knowledge of brands and more experience of drinking. However, TV advertising influenced more on the knowledge of brands than parents` drinking. It was verified that the drinking knowledge was the cause of drinking experience. Because the influence of drinking knowledge on drinking experience was greater than that of drinking experience on drinking knowledge. The findings suggest that alcohol advertising may predispose young people to drinking. As a result, efforts to prevent drinking and drinking problems among young people should give attention to countering the potential effects of alcohol adverti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