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팔림프세스트 이론 구조를 통한 감성적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 유추해석

        전유미(Chon, Yu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감성적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접근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팔림프세스트 이론을 제시하고 이를 다각도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 이론을 디자인 접근법과 연계함에 있어 업사이클링 전략을 접속 지점으로 하여, 기존의 재사용 방식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론의 구축을 도모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팔림프세스트의 이론적 특징과 구조는 어떠한 사물이나 장소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재생 행위의 작동 프레임으로 활용 가치가 있으며, 내적 가치가 고려된 유기적 활성화를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둘째, 분석을 통해 귀납한 팔림프세스트의 특성은 감성적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중요 요소들과 개념측면에서 상호 연관된다. 셋째, 팔림프세스트 이론과 감성적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통합된 접근 방법으로서, 원전의 흔적을 지우지 않은 채 덧입히는 방식의 업사이클링이 효율적인 매개 전략이 될 수 있음을 표본 사례의 해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연구의 마지막 단계로, 감성적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팔림프세스트적 업사이클링’을 제안하고 이 디자인 전략에 내재되어야 하는 조건들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팔핌프세스트 이론의 프레임 내에서 유추한 업사이클링 디자인 전략의 내재 조건들은 업사이클링에서 추구하는 새로운 의미 부여를 실현할 뿐 아니라, 감성적 지속가능성이라는 가치를 더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해당 분야에서 요구하는 이론적 체계의 구축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alimpsest theory from various angles in order to explore approaches to emotionally sustainable design. It aims to create a methodology that can complement the existing ways of waste reclamation by choosing the upcycling strategy to associate the theory with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The main contents and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heoretical features and structure of palimpsest is worth utilizing for the frame of the regeneration activities that pursue using a certain object or a place continuously. It also provides guidance for organic activation retaining the internal value and vestigial traces of discarded products or ruins.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palimpsest derived from thorough analysis correlate with the emotionally sustainable design in terms of the concept and key elements of it. Thirdly, case study proved that upcycling-adding without erasing the original - could make an effective tactic to put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integrated with the palimpsest theory into practical use. Eventually, the new design approach called ‘palimpsestic recycling’ is suggested along with conditions required for successful applicati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supplement the established sustainable design methodology as the new meaning is given to recycled objects so that they can truly revive within the frame of palimpsest theory and the idea of upcycl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enhances the sustainable design sector underlining ‘the emotional’ as well as makes a contribution to building the theoretical system.

      • KCI등재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나타나는 생태미학적인 내러티브의 유형별 특성 연구

        전유미(Chon, Yu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생태미학의 개념을 규정하고, 창작행위와 비평 논리의 중심이 되는 준거들을 도출하기 위한 논리적 탐색을 시도하였다. 그와 함께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그 준거들이 어떻게 설계 및 흡수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내재될 수 있는 생태미학적인 내러티브의 유형과 특성을 귀납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발표된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의 담론들을 해석한 결과, 생태미학은 자연에 대한 인식과 가치 탐구의 측면에서 기존의 전통미학과 구분된다. 현재 시점의 논의를 종합하여 생태미학을 규정하면, 그것은 자연의 시스템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생태계와 인간의 밀접한 상관성을 인식시키고 확산하며, 그러한 상관관계에 대한 미적 체험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생태계의 내외적 미와 가치 모두를 탐색 및 향유하도록 하는 새로운 철학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생태미학의 본질이 되는 준거를 도출한 결과, 그 핵심 원리 및 비평 관점을 ① 인지적 심미성, ② 생태계 역동성과 다양성의 표현, ③ 예술 · 디자인이라는 도구를 사용한 미 기준의 변화 시도, ④ 생태미에 대한 경험의 제공, ⑤ 생태시스템의 상호연결성에 대한 사유의 내포, ⑥ 생태계와 공존 및 상생하는 문화에 대한 관심 촉구의 여섯 가지로 압축할 수 있었다. 셋째, 도출한 준거들을 디자인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내러티브로 전환하고, 이를 사례에 대입하여 해석한 결과, 생태미학적인 디자인의 내러티브의 유형을 ① 생태적 경관 주제, ② 낯선 생명체의 가치 발굴, ③ 자연의 야생 표현, ④ 인간의 한계 밖 자연체험 설계, ⑤ 자연의 순환과정 표현, ⑥ 자연 순응과 생태적 삶의 묘사, 여섯 가지로 특정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우리 사회가 생태중심 패러다임을 수용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디자인 분야에서 숙고 및 활용해 볼 가치가 있는 내러티브를 추정하고 그 유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생태미학을 지향하는 창작과 비평의 토대로 활발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a logical exploration to define the concept of ecological aesthetics and to derive the criteria that are central to creative behavior and critical logic. At the same time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such criteria can be absorbed in sustainable design as well. Ultimately, this study aimed at inductiv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narratives that could be inherent in sustainable design. The co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interpret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the discourse of prior studies published so far, ecological aesthetics is distinguished from traditional aesthetics in terms of perception of nature and exploration of value. By compiling the current discussion, ecological aesthetics is defined as a new philosophy to recognize and sprea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ecosystems and humans based on knowledge of natural systems, providing aesthetic experiences of such correlations, ultimately exploring and enjoying both the beauty and value of ecosystems. Secondly, the compliance of the essence of ecological aesthetics resulted in six compressed views: ① cognitive aesthetic, ② expression of ecological dynamics and diversity, ③ attempts to change standards using tools called art and design, ④ providing experience in ecological beauty, ⑤ implication of reasons for the interconnectivity of ecosystems, ⑥ urges interest in cultures that coexist with ecosystems. Thirdly, the translation of the deduced criteria into narratives that make design practice possible,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m into examples, identified six types of narratives: ① ecological landscape themes, ② uncovering the value of strange life, ③ expressing the wild nature, ④ designing natural experiences beyond human limits, ⑤ expressing the natural cycle, ⑥ portraying natural conformity and ecological life. As such, this study sought to estimate and identify the types of narratives that are worth considering and utilizing in the field of design in order for our society to embrace the ecological paradigm and secure sustainability.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actively used as a foundation for creation and criticism aimed at ecological aesthetics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프린팅 접근법으로서 포토그램의 활용가능성 고찰

        전유미(Chon, Yu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텍스타일 분야의 시대 과제 중 하나인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TP)과 포토그램이 결합된 새로운 접근 사례들을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국내외 연구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텍스타일 프린팅 방식의 디자인 표현 특성, 환경영향성을 논하고, DTP 방식에 포토그램을 접목하는 기법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특성과 가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크린 프린팅과 DTP는 디자인 표현과 투입 및 폐기 물질 관리 측면에서 상이한 장단점을 지니고 있으나, DTP는 상대적으로 친환경적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므로 이러한 장점을 강화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접근법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DTP를 기존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접근법과 연관하여 고찰한 결과, 양자를 접목한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프린팅 접근법의 개발이 가능하다. 특히 효과적인 매체를 활용할 시, 프린팅 공정에 업 사이클링, 사용자의 참여 유도, 디자인의 개인화 등의 전략을 연계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가능성을 확인하는 표본 사례로 레베카 얼리의 열 포토그램과 제시 제닛의 루미 인코다이를 분석한 결과, DTP의 장점을 강조할 뿐 아니라 지속가능한 디자인 접근법과의 접목을 용이하게 하는 매개체적인 기술로 포토그램이 활용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토그램이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프린팅 접근법에 활용 가능함을 확인함과 동시에 DTP가 여러 기술, 기법, 도구와의 창의적 결합을 통하여 지속가능성이라는 과제 해결을 위한 유용한 해결방안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이를 기반으로 DTP에 지속가능한 디자인 접근법과 다양한 매체를 결합하는 방법론의 구축이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narrow the gap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concerning sustainable design by introducing a new approach that conjoins digital textile printing(DTP) and photogram.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it dealt with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current textile printing methods and its effects on environment which assisted in drawing sustainability traits and value from the idea that grafts the principle of photogram onto DTP system.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creen printing and DTP have differ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terms of realization on textile and waste management. However, DTP is relatively based on environmentally-friendly manufacturing system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to maximize its positive production method. Secondly, as a result of consideration on DTP in relation to existing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the possibility has been found out that the combination of those two methods can devise sustainable textile printing. Especially, with effective media, printing process can make a connection to design strategies such as up-cycling, inducing user participation and personalizing the design. Third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Heat Photogram project of Rebecca Earley and Lumi Inkodye of Jessey Genet as sample cases, photogram is a useful medium not only to highlight the strengths of DTP but also facilitate materialization of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in the printing process.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tential of DTP as a versatile printing system in addition to the applicability of photogram as a suitable technique for a sustainable textile printing approach. It is proved that DTP can possibly give solutions to the sustainability issue by being united with diverse technologies or tools. Furthermore, it is hopefully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textile printing methodologies will be made combining DTP and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with various media.

      • KCI등재

        마틴 마르지엘라의 패션에 내재된 생태미학 관점에서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접근법 해석

        전유미 ( Yu Mi Chon ),배정민 ( Jung Min Ba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논의가 생태학적 담론의 수용으로 변화되어 가는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지속가능성과 생태미학의 개념을 결합하여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접근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접근법이 반영된 지속가능한 패션이 어떠한 내적의미와 표현특성을 가지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도출한 접근법을 사회문화적 이슈와 디자인 철학이 뚜렷하게 표출된 마틴 마르지엘라의 패션에 대입하여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지속가능 디자인을 생태, 디자인, 미학의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제시된 생태미학은 자연을 생태적 관점에서 미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아름다움의 의미를 재정립한다. 둘째, 생태미학 관점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성장과 진화의 가시화, 노화의 수용과 의도적 낡음의 이미지 표현, 사용흔적을 통한 내러티브 부여, 생태체험요소 제공과 참여유도의 접근법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셋째, 이 접근법들을 마르지엘라의 패션에 대입하여 상응하는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제작과정의 노출, 노화된 소재와 화이트 페인트, 사용흔적과 역사의 전이, 메시지 전달과 사용자의 주체성 등을 내외적 특성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는 지속가능 디자인의 접근법을 다양화하고 구체화하기 위한 시도로서, 향후 창의적인 지속가능 디자인 방법론의 개발 및 확립, 지속가능한 패션 해석의 새로운 이론적 프레임 구축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draw practically applicable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by combining the concepts of sustainability and ecological aesthetics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the subject of sustainable design was embracing ecological discourses. In addition, the oeuvre of Martin Margiela, who revealed a clear stance on socio-cultural issues and his design philosophy, was interpreted with reference to the derived approaches in order to discover the internal meanings and expressive qualities of sustainable fashi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cological aesthetics integrates ecology with design and aesthetics to propose an analytical frame and views the nature as the subject of beauty redefining an aesthetic category. Secondly, the ecological viewpoint reflected in sustainable design materialized through four detailed methods: visualization of growing and evolving, acceptance of aging, presentation of intentionally over-worn images, impartment of a narrative by exposing signs of being used, and provision of elements that lead to ecological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Thirdly, as a result of interpreting Margiela’s fashio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four approaches, several expressive traits embodying sustainability from an ecological aesthetics perspective were recognized: revealing the process of garment making, utilizing aged material and white paint, transferring vestiges of former users as well as history, delivering messages and establishing user``s identity. Consequently,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iversify and definitize the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It is confidently expected that this study cannot on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creative sustainable design methodologies, but also provide follow-up studies with an inventiv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analysis on sustainable fashion.

      • KCI등재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바이오팩처에 대한 탐색

        전유미(Chon, Yu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새롭게 등장한 바이오팩처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디자인 사고가 향후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지속가능한 디자인 개념의 성장 과정에 대하여 개괄하고, 디자인과 통합되는 분야로서의 바이오미메틱스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바이오미미크리 디자인의 접근방식에서 분화 및 발전된 제조방식으로서 바이오팩처의 중심원리와 차별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론연구와 함께 바이오팩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사례를 선정하여 이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바이오팩처를 활용하기 위해 향후 지속가능한 디자인에서 새롭게 고려해야 할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디자인 분야에서 바이오미메틱스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결합하기 위하여 첫째, 생물학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 습득 및 학제 간 교류가 필요하다. 둘째, 생태계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물질 창작 방식중 목적에 맞는 방식을 먼저 선정하고 이에 맞춰 제품의 설계가 진행되어야 하므로, 디자인 기획의 플로우 재편이 요구된다. 셋째, 디자인 행위가 의도한 제품의 구현에 집중되기 보다는, 자연과 협력하여 관찰하고 조율하는 활동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넷째, 디자인의 생태적 효율성에 대한 평가를 마련하고, 디자인 및 제조의 전 과정에 있어 생태계 영양물질 흐름을 준수한다. 마지막으로, 바이오팩처 방식으로 제조된 제품 특유의 미감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 내기 위한 스토리텔링 및 메시지 전달이 제품의 디자인 기획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물학과 디자인이 협력하는 흐름을 빠르게 탐지하고, 바이오팩처라는 새로운 제조방식을 관련된 국외사례와 함께 소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로 인한 디자인 사고의 변화 혹은 확장 요소를 추론해 봄으로써 향후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바이오팩처에 대한 디자인 실험과 프로젝트,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discuss how the design thinking that pursues sustainability will change in the future through the exploration on the newly emerged biofacture.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sign which has been growing and expanding was outlined and biomimetics was considered as a field of integration with design sector. And the central principles and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of biofacturing method as an advanced production approach to biomimicry design were tried to grasp. In conjunction with these theoretical studies, case study on selected examples was conducted to go deep into biofacturing area. Ultimately new factors to be considered in future sustainable designs in order to finally leverage biofacture were deduced as follows. To effectively accommodate and combine biomimetics in the field of design, firstly, it is necessary to acquire basic knowledge about the field of biology and to exchange between subjects. Secondly, among the various methods of creating materials in the ecosystem, the design of the product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ly, so the flow of design planning should be reorganized. Thirdly, rather than focus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nded product, the design behavior should be transformed into an activity of observing and coordinating in cooperation with nature. Fourthly, an evaluation of the ecological efficiency of design is prepared to comply with the flow of ecological nutrients in the entire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 Finally, storytelling and message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duct’s design plan to elicit a positive response from consumers to the unique aesthetics of products manufactured in a biofactual manner. As above, this study aimed to quickly detect the flow of cooperation between biology and design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ility and introduce a new manufacturing method called biofacture with overseas examples. And by inferring the resulting changes or expansion factors of design thinking, the direction for sustainable design in the future was presumed.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design experiments, projects, and follow-up research on biofacture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 KCI등재

        Swedish Modernism 관점을 통해 고찰한 Josef Frank의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전유미 ( Yu Mi Chon ),배정민 ( Jung Min Ba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의 근원과 개념, 표현특성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여 그 근간이 되는 스웨디쉬 모더니즘과 이 개념을 정립한 요제프 프랑크의 작품 분석을 연구 과제로 하였으며, 텍스타일 디자인 분석에 있어서 사회 문화적, 지역적, 철학적 영역과의 통합적 관점의 필요성을 반영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화된 모더니즘인 스웨디쉬 모더니즘의 관점에서 요제프 프랑크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스웨디쉬 모더니즘의 개념을 정립하고 표현특성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요제프 프랑크의 텍스타일 디자인에 적용하여 내적 의미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웨디쉬 모더니즘은 스웨덴의 전통이 융합된 부드럽고 절충적인 스타일로, 인간중심적인 접근법을 가지고 있다. 둘째, 스웨디쉬 모더니즘은 부드러운 기능성, 중도적 절충성, 자율적 우연성, 디자인의 견실성의 표현특성을 갖는다. 셋째, 이를 분석지표로 하여 요제프 프랑크의 텍스타일 디자인에 내재된 의미와 특성을 연역한 결과, 자연과 인간을 배려하는 가치가 디자인에 내재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고, 단순화된 자연 모티프, 생태성을 반영한 임의 배치, 버내큘러 컬러 팔레트 수용의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텍스타일 분야의 연구범위를 확장하고 표현특성 분석의 접근법을 확립할 수 있는 이론 연구의 질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의의를 두며, 이를 기반으로 구체적이고 다각적인 시각으로 텍스타일 디자인의 내적 의미를 고찰하는 새로운 해석의 패러다임이 구축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began from initial questions of where Scandinavian design came from and what the concept or characteristics were in materializing it. Thus the subject of this study took the course to Swedish Modernism to look into the foundation of Scandinavian Modernism and researched the design philosophy of Josef frank who established the concept of Swedish Modernism. When it comes to textile design, since the integrated viewpoint encompassing socio-cultural, regional, and philosophical realm is highly desired, analyzing Josef Frank laid the groundwork for understanding localized Swedish modernism. The concept of Swedish Modernism has been defined, major traits of it have emerged, and the world of Josef Frank design has been unpacked throughout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wedish Modernism is a gentle and eclectic style blending with Swedish tradition and has a human-centered approach. Secondly, tender functionality, moderate eclecticism, autonomous accidentalism, and sound design are the primary features in expression. Nature and human life is subtly considered in Josef Frank`s textiles and a few unique habits of his work are discovered such as using simplified natural motifs, their random ordering reflecting ecological traits, and accepting vernacular color palett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a qualitative base for forthcoming theoretical research proposing a new approach to analyz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extile design and widening the scope of study. Ultimately, it is expected to build a new paradigm to contemplate and interpret intrinsic meanings of textile design with detailed and fresh views from diversified angles based on this study.

      • KCI등재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 방법론으로서의 리인카네이션 개념 고찰

        전유미 ( Yu Mi Ch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접근법들에 윤회·환생 개념이 내재되어 있음을 밝히고 이 개념이 지속가능 디자인의 철학적 체계이자 방법론으로 활용가능함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성 논의는 생태학적 세계관을 수용해 가고 있으며, 생태학적 담론에서 논의하는 동양사상은 사계의 순환을 거쳐 재탄생하는 리인카네이션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이때, 리인카네이션은 ``생성-변화-소멸``을 겪은 하나의 물질과 그 가치가 순환과 전생의 영향을 통하여 새로운 형태와 가치로 거듭남을 말한다. 둘째, 인간의 창작활동이 주변에서 영감과 재료를 취하고, 창작자의 의지와 기술을 통해 물질의 내재가치를 새롭게 드러낸다는 측면에서 리인카네이션은 창작 행위의 본질적 개념이자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리인카네이션은 국외에서 이미 리사이클링, 지속가능과 함께 중요 논제로 다뤄지고 있으며, 생을 거듭하며 새로운 형태, 성질, 가치를 부여하고, 과거·현재·미래의 통찰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지속가능 디자인의 철학적 체계이자 방법론으로 활용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 사례에 대입하여, 향후 역으로 이 개념이 디자인 창작과 지속가능성을 접목하는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리인카네이션의 개념을 대입하여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이 개념의 원리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접근법 창안에 필요한 철학적 체계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veil the concept of reincarnation inherent in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and consider the availability of this notion as a philosophical system or a methodology for sustainable design. The results drawn from the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it found out that the sustainability research has been embracing ecological world view and the Orientalism discussed in ecological discourses connotes the circulation of four seasons, that is to say the rebirth after the four phases of life. Therefore reincarnation can be defined as reformation of a certain material and its own worth in a brand new shape and value by its circulat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evious life. Secondly, this idea can be understood as the intrinsic nature and the methodology of an act of creation since the creative activities of human beings fundamentally include taking inspirations and materials from the surroundings and revealing underlying value from them through the creator``s own will and techniques. Thirdly, reincarnation has already been discussed worldwide with recycling and sustainability in the field of design. It gives a new form, a character and quality by repetition and has us gain an insight into "time" cross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is conception can not only infuse sustainable design with a new philosophic point of view but also be applied to a theoretical structure and a practical method. Lastly, according to case studies, it is verified that the notion of reincarnation can play a crucial role as a methodology when grafted onto sustainable textile design. It helps understand what sustainable design is and the principle of this idea can provide metaphysical grounds for innovative sustainable design.

      • KCI등재

        죽음에 대한 생태미학적 관점이 적용된 지속가능한 베리얼 디자인 탐구

        전유미(Chon, Yu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인간의 죽음 이후에 발생하는 장례 절차들이 우리 사회와 자연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면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디자인 탐색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생태주의와 생태미학에서 이론적 · 철학적 근거를 모색하여 제시함으로써 죽음을 개인의 불행한 사건으로 단정하는 인식에서 벗어나, 라이프사이클 상의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단계로 수용하고 준비해야 하는 당위를 주장하였다. 그리고 생태미학의 개념을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통합하여 ‘생태미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목표와 접근법을 추론한 후, 사례 연구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생태미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베리얼 디자인’에 필요한 준거와 디자인 방법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생태미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베리얼 디자인은 사체와 골분이 생물 분해되어 생태계의 영양물질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생태효과성을 수반해야 한다. 둘째, 유골함이나 관이 생물에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서식처로 활용될 수 있도록, 생태시스템에서 착안한 바이오미메틱 디자인 방식을 적용한다. 셋째, 사회의 구성원들이 생태원리와 생태미학에 근거한 새로운 장례 절차와 장법을 수용하기 용이하도록, 정신적 만족감과 내적 가치의 전달을 고려한 스피리추얼 디자인의 접근법을 베리얼 디자인에 결합한다. 넷째, 생태적인 생활양식과 가치관을 사용자들이 스스로 확산하고 스토리텔링할 수 있도록 디자인 액티비즘적 요소를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생태미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매장설계는 해당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생태적 장례 공간을 새롭게 발굴하거나 기존의 묘지 공간을 생태미학적으로 변용하는 것을 고민해야 하며, 매장지나 납골당에 추가로 사회적 기능을 부여하는 등을 통하여 각각의 생활권역에서 자립적 · 지속적인 장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생태미학이 죽음을 다루는 스탠스를 기반으로 하여, 선택의 폭이 매우 좁을 뿐더러 다양한 문제와 연관되어 있는 현재의 장례와 관련 절차들을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이끌어나가기 위한 디자인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디자인 실험과 프로젝트 등 현실화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sign so that funeral procedures occurring after human death can be carried out while ensuring the sustainability of our society and natural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first sought and presented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grounds in ecology and ecological aesthetics, thereby securing justification for why our society should be free from the perception that defines death as an unfortunate event of individuals and accept it as a natural step in its lifecycle. And next, after integrat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aesthetics into sustainable design, the goals and approaches of ‘ecological sustainable design’ were deduced, and finally, the criteria and methodologies needed for ‘ecologically sustainable burial design’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ecologically sustainable burial design should be accompanied by ecological effectiveness so that the body and bones can be biodegraded and used as nutrients for the ecosystem. Secondly, biomimetic design methods based on ecological systems should be applied so that urns or coffins can be nourished or used as habitats for living organisms. Thirdly, burial design should combine the approach of spiritual design in consideration of spiritual satisfaction and the delivery of inner values so that members of society are more likely to accept new funeral procedures and burial methods based on ecological principles and ecological aesthetics. The fourth criterion is to strengthen the elements of design activism so that users can spread their own ecological lifestyles, values and storytelling. Lastly, ecologically sustainable burial designs should consider newly discovering ecological funeral spaces that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area, transforming existing burial spaces into ecological ones, and establishing independent and sustained funeral infrastructure in each living area by providing additional social functions to burial sites or charnel houses. As above, based on the stance of ecological aesthetics dealing with death, this study sought a design methodology to lead the current funeral procedures, which are not only very narrow in choice but also related to various issues, in a sustainable direction.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research on various design experiments and ways to realize the contents of this study will continue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패션 브랜드 호텔의 텍스타일 디자인 특성 연구

        김태영(Tae Young Kim),김선미(Sun Mee Kim),전유미(Yu Mi Ch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is to research textile products` new roles in fashion brand hotel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the textile design in the new hotel. Hotel,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conceived as a resting place, is now changing rapidly as people are pursuing new life style. "The fashion brand hotel" refers to a new type of hotel which is managed by such prominent fashion houses as Versace and Armani. This brand-new hotel creates unprecedented cultural values in that it covers both realms of fashion and hotel. Two methods have been used for this study. First, some treatises and literatures cited have been analyzed out to research positive effects of developing fashion brand hotels. Second, case studies of existing fashion brand hotels were done for comparative analysis of textile design usage between fashion product and hotel interior. Following results have been generated through these study methods. First, the new Hotel embellished with designers` genuine qualities attracts customers and boosts the hospitality sector. Moreover, it brings new fields and opportunities to fashion designers, which, in turn, enhance the growth of the textile industry. The textile design which have functional and aesthetical characteristic are widely used in both fields of fashion design and the Hotel industry. The authentic functional and aesthetical traits of textiles are vividly displayed in fashion and hotel interior products. Although the fashion brand hotel, which has cultural value, is expected to be greatly conducive to various domestic industry, it is not yet drawing much atten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