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백피로부터 α-Glucosidase 저해제의 분리 및 동정

        장연정(Yeong Jung Jang),임현희(Hyun Hee Leem),전영희(Yeong Hee Jeon),이동희(Dong Hee Lee),최상원(Sang Won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7

        본 연구는 잠상산물로부터 고부가가치 항당뇨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뽕나무 부위별 4가지(오디, 뽕잎, 상지, 상백피) 에탄올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백피가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로부터 여러 column chromatography 및 NMR 기기분석을 통해 4가지 α-glucosidase 저해제를 분리, 정제 및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백피 에탄올 추출물을 Diaion HP-20, silica gel, ODS-A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4가지 화합물[Comp. 1(10 mg), Comp. 2(9.6 mg), Comp. 3(9.3 mg), 및 Comp. 4(6.5 mg)]을 분리 및 정제하였으며, 그들의 효소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Comp. 1(IC50=5.22 μg/mL), Comp. 2(IC50=1.78 μg/mL), Comp. 3(IC50=2.94 μg/mL) 및 Comp. 4(IC50=1.54 μg/mL)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들 화합물의 동정을 위해 UV 및 NMR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구조를 분석한 결과 Comp. 1(morusin), Comp. 2(kuwanon H), Comp. 3(chalcomoracin A), Comp. 4(chalcomoracin B) 로 각각 동정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보아 상백피로부터 분리된 α-glucosidase 저해제는 향후 당뇨 치료용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mong the four different parts of mulberry (Morus alba L.) tree, ethanol extract of Morus root bark showed the highes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C50=12.01 μg/mL).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the ethanolic extract of root bark by Diaion HP-20, silica gel, ODS-A,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ies led to the isolation of four compounds, including Compound (Comp.) 1 (IC50=5.22 μg/mL), Comp. 2 (IC50=1.78 μg/mL), Comp. 3 (IC50=2.94 μg/mL), and Comp. 4 (IC50=1.54 μg/mL) with strong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morusin (Comp. 1), kuwanon H (Comp. 2), chalcomoracin A (Comp. 3), and chalcomoracin B (Comp. 4) by UV and NMR spectral analy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nylflavonoid and mulberrofuran of Morus root bark may be useful as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for diabetes.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초점집단면접을 활용한 북의 직업관 연구

        이의진(Lee, Eui jin),박영균(Park Young kyun),박솔지(Park, Sol ji),전영희(Jeon, Yeong He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5 No.-

        근대의 산물인 직업 및 노동의 의미와 가치는 자신의 생계유지를 위한 재화 확보 화동, 사회적 역할의 분화를 통한 사회적 기여 활동, 자아의 성취 및 자아실현이라는 세 가지 가치로 분화했다. 근대사회에서 개인들의 직업관은 이들 중 어떤 측면을 보다 중요하게 여기는가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남과 북도 마찬가지이다. 남과 북은 각기 다른 정체-경제체제를 지향했기 때문에 직업관도 다를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북의 직업관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초점집단면접은 인터뷰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토론하면서 서로의 발화를 상호확인하고 교차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는 점에서 개별 인터뷰보다 더 객관적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기에 채택한 연구방법이다. 해방 이후, 농업사회에서 근대 산업사회로 이행하기 위해 북에서는 사회-국가에 대한 기여라는 의미에서 노동에 가치를 부여했다. 하지만 근대적인 노동에 익숙하지 않은 노동자를 근로대중 인민으로 변모시키기 위해서는 근대적 노동규율을 확립하고 법 제도를 개혁하는 등의 국가통제 방식이 요구되었다. 이후 공산주의적 새 인간을 내세우면서 자발적으로 국부(國富)를 증진시키는 인간형을 창출해 나갔다. 여기에 애국주의적 서사를 통해 애국심을 고취하고 국가 차원의 혁명에 집단적으로 참여하는 혁명주체로 노동자들을 계속적으로 호명하였다. 하지만 자아실현의 의미가 축소되고 개인의 삶과 멀어진 ‘사회 기여 노동’은 배급제의 붕괴라는 사회 시스템의 와해 앞에서 토대를 잃어버리고 오히려 ‘생계 유지 노동’라는 관점에서의 노동 및 직업의 의미가 현실성을 지니게 되었다. 북의 직업관은 고난의 행군 전후로 완전히 달라졌음을 보였으며, 고난의 행군 이후 직업 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은 자신의 생계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일이냐의 여부였다. ‘돈’의 가치가 부각되면서 북 사회를 움직이는 ‘정치자본’ 하에서 ‘경제자본’이 출현하고 있었고, 이 균열을 메우는 장치가 뇌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전히 강고하게 작동하는 정치자본의 영향 아래 정치적 배신만은 해서는 안 된다는 보편적 사고체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묵인할 수 있을 정도의 일탈과 침묵은 균열을 메우는 장치로 작동하고 있었다. 최근 들어 북이 시장화되면서 남쪽처럼 생계나 사적 욕망에 따른 경쟁에 의한 직업관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북쪽의 직업관은 남쪽 사람들과 만났을 때, 충돌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남쪽이든 북쪽이든 직업관에서 상대적으로 결여하고 있거나 부차화했던 것은 자아 성취 또는 자아실현이란 의미에서의 직업이다. 이것은 남 또는 북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근대적인 노동의 가치, 노동중심, 생산중심의 노동관 또는 직업관이 가지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문제는 남북의 직업관을 단순 비교해서 어느 한쪽의 직업관이 낫다는 식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자아실현’을 중심으로, 근대적인 직업관 그 자체를 넘어서는 방안을 찾아가는 차원에서 남북의 직업관을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The meaning and value of jobs and labor, which are products of modern times, have been differentiated into three values: securing goods for sustaining one"s livelihoo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rough the differentiation of social roles, and self-fulfillment and self-realization. In modern society, individuals" views of work depend on which of these aspects are more important, which also applies to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ve different views on their jobs as they aim for a different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North Korea"s labor value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North Korean defectors. The FGI method is advantageous in that it undergoes a process of cross-validation of each other"s utterances while freely discussing. Therefore, the FGI method was used to produce more objective information than individual interviews. After liberation, to transition from an agricultural society to a modern industrial society, North Korea gave value to labor in the sense of contribution to society. However, to transform workers who were unfamiliar with modern labor into working people, state-controlled methods were required, such as establishing modern labor regulations and reforming the legal system. Since then, the state has voluntarily created a human form that promotes a new communist human being. Additionally, through patriotic narratives, workers were continuously called revolutionaries that inspired patriotism and collectively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on the national level. However, the meaning of self-realization has been reduced and the meaning of "social contribution labor" has become more realistic in the face of the collapse of the social system of the distribution system. Labor values in North Korea have completely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march of suffering, and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choosing a job after the march was whether it could ensure one"s livelihood. As the value of "money" was emphasized, "economic capital" was emerging under the "political capital" that moves North Korean society, and it was confirmed that bribery was the device bridging the gap. Despite having a universal system of thinking according to which political betrayal should not be done under the influence of strong political capital, tolerable deviations and silence were working as devices to bridge the cracks. Recently, the marketization of the North has led to changes in job views resulting from competition due to livelihoods and private desires as in the South, but the North"s job views are still likely to cause conflicts when they meet those of the South. However, what is relatively lacking or secondary to the view of occupation, whether in South Korea or North Korea, is a job in the sense of self-fulfillment or self-realization. This matter surpa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t concerns modern labor values, labor centers, production-oriented labor, or occupational views. Therefore, the problem does not lie in simply comparing and studying the job views of both Koreas, but in ultimately finding ways to surpass the modern view, focusing on "self-re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