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 강점기 개항장의 도시화 과정과 식민지 근대화의 이중성

        전영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6 No.-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esearch the urbanization process of Mokpo, Gunsan, and Yeosu, which are representative port cities of Honam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o find out what kind of duality it has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ocial relationship of colonial modernization. Mokpo, Gunsan, and Yeosu, which opened ports in order through Busan and Inch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came urbanized due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s logistical base, acidity growth plan, railroad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Japanese residences.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gainst them intensified, and the Koreans economically collapsed. However, within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colonial modernization, I paid attention to the synchrony that penetrated the empire and the colony, and diachronism that connected the colonies with the later colonies. I trie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three cities as an In-Between space located within the awareness of resistance, cooperation, and modernization. The port's circulation function and fluidity with a governing mechanism for internal affairs had multi-layered meanings of producing, reproducing, and controlling social subjects other than those of power. At the same time, the port's local identity, which intersects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and creates various differences and différances, has the potential of indeterminacy and positive meaning as an In-Between space. As open por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okpo, Gunsan, and Yeosu had the duality of colonial modernization as In-Between space, but they have interlocking and interrelationships in the midst of active migration and exchange, and the intersection of global and local. Mokpo, Gunsan, and Yeosu, which still have overlapping spatiality and are constantly being reconstructed in a hybrid manner, have infinite potential as social constructs.

      • KCI등재

        위화의『형제』에 나타난 광기와 공간의 주체성 연구

        전영의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5 No.-

        본 논문은 국가폭력으로 인한 감성과 이성의 충돌 안에서 공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문혁이후 결합된 자본주의 권력과 인간의 욕망이 어떠한 광기적 공간을 만들어나가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호기심에서부터 출발한다. 폭력과 권력에 예속된 공간 안에서 인물들이 만들어나가는주체적 공간을 찾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는 이종공간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문혁직전부터 문혁이 이루어지는 동안 중국은 내가 살아남기 위해 타인을 현반으로 규정하고, 피비린내나는 폭력을 행사하는 실제적이고도 광기어린 공간이었다. 그러나 우리는 자신의 가정을 지키고 희망을 잃지 않으려는 송범평을 통해 중국의 전통적 가치를 이상적으로 생각하고 그 가치를 지키고자 한 인류애적․보편적 이종공간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문혁 이후 중국은 정치적으로는 공산주의 국가이면서도 경제적으로 자본주의를 따르는 이종공간이 생겨나는데 텍스트에서는 이광두와 송강의 공간을 나눔으로써 자본주의적 공간의 이종화를 보여준다. 자본주의적 사회주의 체제 안에서 새로운 권력구조의 중심에 선 이광두는 섹스와 사치로 점철된삶을 누린다. 반면 송강은 이 안에 편입되지 못하고 그로테스크하게 파편화된 또 다른 크로노토프 안에서 위치하게 된다. 문혁시기 이데올로기에 의해 광기적으로 변해버린 공간 안에서,문혁 이후 자본주의가 세속화되면서 물신숭배를 하는 또 다른 광기적 이종공간이 생겨난 것이다. 그 공간 안에서 이광두와 송강은 서로 다른 축제의 공간을 만든다. 이광두의 공간은 확장된 사고를 통해 몸과 세계의 교환을 추구하고, 내부와 외부, 나와 우리, 정체성과 타자성 사이의 경계를 교통하고 허무는 신체적 기호의 공간이다. 반면 송강의 공간은 이 공간에 유입되지 못하고 파편화된 육체를 가진 그로테스크 한 공간이다. 송강은 자살로서 그로테스크한 가면을 벗어버리고 갈매기로 비상하면서 주체적 공간을 형성한다. 이광두는 송강의 죽음 이후자본주의적 욕망이 얼마나 쉽게 무너질 수 있는지 깨닫고 스스로 벗어나고자 한다. 작가는 공산주의 국가이면서도 새로운 대중소비사회가 형성되어가는 현실적인 이종공간 안에서 자본주의적 욕망의 공간이 얼마나 쉽게 깨질 수 있는지 보여준다. 그러나 우리는 자본주의로 인한중국 전통적 가치의 몰락을 넘어서, 아직 쇄신되지는 않았지만 차츰 변형되어가는 생성과 성장의 이미지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형제>는 이종공간을 통해 당대사에 대한 문화적총체성을 드러낸 텍스트라 할 수 있다. The article start from curiosity that I want to know two points of questions. first, how to change of a space in the crash of sensibility and intellect accordingto national violence. second, how to make a madness’ space in the authorityof capitalism and human’s desire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I’m using aconcept ‘the heterotopia of narrative space’ search for characters makingidentity spaces in the subjugate spaces by violences and authorities. China isa real madness and violence space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A lot ofpeople consider to anti-revolutioners the others. but I can find ‘the heterotopiaof narrative space’ about love for mankind and universal space throughBumPyoeng Song who is a father of brothers, he try to keep his home and hope. China is a communist country on politics and a capitalist country on economy. so the text show ‘the heterotopia of narrative space’ through devide GwangDoLee and Gang Song’s spaces. GwangDo Lee enjoy sexual and luxury life stylein middle of new authority structure in a capitalist socialist system. but GangSong doesn't enter the system instead of enter the another ‘Chronotope’ thatis broke as grotesque space. There are changed madness space by ideology inthe Cultural Revolution. It made another madness ‘the heterotopia of narrativespace’. also capitalism become secularization and some chinese people worshipmaterialism in space. GwangDo Lee and Gang Song made another festivalspaces in there, GwangDo Lee pursue exchange body and world throughexpanded thought. The space is a physical symbolic space and we communicateand break down boundary of inside & outside, identity & otherness, you & me. but Gang Song’s space is a grotesque that has broken body, he can’t enter thethere. he take out his grotesque mask as suicide, fly as gull, and make aidentity space. after Gang Song’s death, GwangDo Lee realize how capitalism’sdesire can easily break down and try to take out in there. Yú Hua show how space of capitalism’s desire can easily break down in realistic ‘the heterotopiaof narrative space’ of China as a communist country. but I can find transformedcreative and development image that is not yet renovation but it can over comechinese traditional values’ fall down from capitalism. so Brothers are culturaltotality texts about the Cultural Revolution in chinese modern history through‘the heterotopia of narrative space’ at these points.

      • KCI등재

        한국계 미국인(Korean American)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경계의 문제와 자아 찾기 -이창래 『생존자』와 이민진 『파친코』를 중심으로-

        전영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9 No.-

        본 논문은 이창래의 『생존자』, 이민진의 『파친코』를 통해 혼종적 사회에서 한국계 미국인(Korean American) 작가들이 바라본 한국계 미국인(Korean American)과 자이니치(Zainichi)의 탈경계적 자아 찾기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창래와 이민진은 미국 사회와 문화, 교육, 제도 안에서 자란 1.5세대 한국계 미국인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역사, 사회와 문화, 정체성의 문제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한다. 텍스트의 인물을 통해 한국계 미국인, 한국계 일본인으로서 미국인, 한국계 일본인 등 디아스포라로서 인간의 존재가치 유무, 경계인들의 정체성 문제에 대해 화두를 던지고 있다. 유사한 창작동기를 가진 두 작가는 『생존자』와 『파친코』를 통해 1900년대 초부터 1980년대까지 한국계 미국인(Korean American)과 자이니치(Zainichi)라는 경계적 인물들의 삶과 정체성, 그리고 혼종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런 지점들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기에 충분히 비교연구 대상이 될 수 있다. 혼종적 사회에서 경계인으로서 인물들은 적응, 선택, 패싱, 회피, 순응 등 다양한 삶의 방식을 택하면서 생존해 나간다. 『파친코』는 4대에 걸친 자이니치들의 삶을 통해 이들이 적극적 선택의지를 가지고 문화에 내재 된 혼종성을 넘어 이분법적인 경계 안에서 ‘자이니치로 산다’는 스스로의 정체성, 제3의 가능성을 찾는 것을 보여준다. 『생존자』는 세 인물의 시점이 교차하면서 이들이 겪은 사건을 중심으로 인간의 존재가치 유무, 경계인의 정체성에 대해 자문한다. ‘아들 찾기’라는 명목으로 솔페리노 예배당까지 여행 동안 스스로, 그리고 서로에 대한 이해와 용서, 위로, 고통을 헤아리고 있다. 선자는 남편 이삭, 아들 노아, 어머니 양진의 죽음 이후 자신을 얽매던 모성을 넘어 동지적 의리 관계를 맺는 경희에게 돌아감으로써 자신의 여정을 끝맺는다. 경희와의 관계 안에서 존재의 의미를 깨닫고 돌봄과 연대를 통해 자신들의 자아 공간을 완성한다. 이들이 자이니치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며, 당당하게 살아가는 것이야말로 세계 내 존재로서 현존하는 것이자 탈영토화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준은 자신의 죽음에 직면해가면서 한국전쟁 때 기찻길에서 죽어가던 동생, 자신의 외면으로 죽은 아들 니콜라스, 민을 구하기 위해 불타는 예배당으로 뛰어들던 실비 그리고 현재 자신의 운명에 끼어들게 만든 헥터까지, 이들에게 용서를 구하고 그동안 용서를 구하지 못했던 자신을 용서한다. 실존에 대한 책임을 느끼고, 현존재로서 자아 찾기를 통해 자신의 내적 공간을 탈영토화한다. 이런 점에서 두 소설은 경계인으로서 자아 찾기에 관한 내용이지만 『파친코』는 국적, 인종, 성소수자, 부와 빈곤의 경계에서 정체성의 문제에 대해, 『생존자』는 이를 넘어 인간 본연의 존재 문제, 인간(human)으로서 정체성의 문제에 관해 고민한다. 전자는 관계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탈영토화해가는 공간을 획득한다면 후자는 아들을 찾아가는 과정 안에서 기억과 대화를 통해 자신의 공간을 탈영토화해가며, 결국 죽음으로서 관계를 절연하고 자신의 존재를 증명한다. 서사의 중심이었던 『파친코』의 선자와 『생존자』의 준은 우리의 현대사를 치열하게 살아온 인물이자, 인간적 소통 안에서 서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한 자들을 대변한다. 이런 점에서 경계인으로서 살아가면서 엄마라는 굴레를 벗고 인간과의 ...

      • KCI등재

        한인 이주현상 안에서 바라본 제국의 해체와 다중의 아우또노미아

        전영의 한중인문학회 2020 한중인문학연구 Vol.67 No.-

        The article is based on the purpose of humanistic consideration of the ‘Dissolution of Empire and Multitude of Autonomia in Korean Migration Phenomenon’ from the end of last JoSeon Dynasty to the before liberation. I analyzed texts that are Arirang, Black flower, Song of wind from the post-modern perspective and not from the empire's perspective, And it was an attempt to study through multiple autonomy theories. Arirang, Black flower, Song of wind fourteen texts have the same mater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but Migrant place and space are different. so it was meaningful to find out how they are being changed from the masses to the multitude, and what survival strategies colonized others have to build autonomous, resist power in. Autonomia succeeded or failed to carry on with identity as a multitude in the text. But they change from the mass to the multitude through vitality who are struggled people to survive in the Korean migrant phenomenon, Hawaii, Mexico migrant workers and they pursued a common desire through common social behavior. Autonomia’s vitality is realistic movement by imagine, love, desire, It was a united and social identity Norms and rights were created and recreated in the new social relations of the multitude, Empire's power could be destroyed by the multitude through this endless dialectic process, the vitality that is identity of the multitudes can be seen as the resist power as a subject and the absolute intrinsic power to create democracy in this point. 본 연구는 ‘구한말 아메리카 대륙으로 한인 이주’라는 역사적 사실을 1990년대 이후 ‘한국문학’이 어떻게 해석하는지 알고자 하는 호기심에서부터 출발한다. 그동안 디아스포라 담론을 바탕으로 연구되던 이주문학을 ‘제국과 다중’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텍스트를 읽어보려고 시도한 것이다. ‘한인들의 이주현상 안에서 바라본 제국의 해체와 다중의 아우또노미아’에 대해 연구하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정래의 『아리랑』, 김영하의 『검은 꽃』, 박경숙의 『바람의 노래』 등 세 작가의 총 14편 텍스트를 기본 텍스트로 선정하고, 식민화된 대중이었던 타자들이 다중으로 변화되어가는 모습, 이들의 생존전략과 대항권력, 아우또노미아 실현방법 등을 알아보았다. 실제 한인들이 주류사회로 유입하면서 보여준 다중으로서 모습은 생체정치 안에서 자신들의 구성 권력과 자기 통제 및 자율적 자기생산 권리인 재전유권을 주장하는 아우또노미아 실현이다. 이들은 한인 커뮤니티를 통해 협동을 하고 제국의 소유권에 대항한다. 긍정적 노동 안에서 신체들이 지닌 가치와 생산적 지식을 자가 증식하고 스스로 얻은 자유 안에서 실존적 존재로 나아가려고 노력한다. 반면 텍스트의 인물들은 급격한 대항의 방식을 통해 다중으로서 주체성을 갖고 아우또노미아를 실현하려고 하지만 성공하기도, 실패하기도 한다. 그러나 하와이와 멕시코라는 이국 땅 안에서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던 이들이 실제건, 텍스트 이건 활력을 통해 대중에서 다중으로 변모하고, 공통되는 사회적 행위를 통해 공통의 욕구를 추구했다는 점은 동일하다. 이들의 활력은 상상, 사랑, 욕구에 의해 추동되는 현실적인 운동이자 연합적이고 사회적인 주체성이다. 다중들의 새로운 사회적 관계 속에서 규범과 권리는 창조ㆍ재창조되고 부단한 변증적 과정을 거친다. 이 안에서 제국의 권력은 다중에 의해 붕괴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다중들의 정체성인 ‘활력’은 주체로서의 대항권력이자 민주주의를 창출하는 절대적 내재성을 가진 힘이다. 이처럼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간 하와이, 멕시코 한인 이주를 디아스포라 담론이 아닌 제국과 다중 담론으로 충분히 새롭게 읽어낼 수 있다.

      • KCI등재

        한·중 근현대 소설텍스트에 나타난 국가폭력과공간의 주체성 연구: 『한강』과 『형제』를 중심으로

        전영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9 No.-

        Natural lives are calculated and controled by mechanism of national power and authority of capitalism on modern society. we have interested in life political problem, special national authority problem, government problem about the people after that time. comparative and analysis about Han River and Brothers that speak special national authority's problem from 1960' to 1980' have value at this point. We can find victims are caused by national violence but can't find assaulters in the present. the essay starts from my curiosity what is a invisible equipment and mechanism of national violence so the essay has a research object “A study of National Violence and Space's Identity about Korean & Chinese Modern Novels” on Han River and Brothers. Homo sacer who are called ‘a Red’ or ‘hyeon ban’, they were society members but except. they were exceptional condition, but they got out of life-equipment in one's own way and they became post independent subject. A person was made a puppet of the others, he thought it is consideration about the others. but he got out of grotesque mind and body through independent choice “suicide” for the first time. the other person had a lot of wealth and took pity on the others, he thought it was consideration, but after his brother's death, he reflected on his conduct, was conscious of his-self, he severed pasted himself, he was looking for real self-consideration. the other person had a authority of knowledge through education, and shares it to another homo sacer, and he severed pasted himself, made a reverse used microscopic authority equipment “capital and alumnus of his college” and he watched national violence in Gwangju, he went to there for prevented occurred another homo sacer. his behavior was “post independent subjected behavior”. when self-consideration is considered oneself and get out of oneself, his behavior was self-consideration, and he became a human of post independent subjected and made a base of post independent subjected society. they became post independent subjected through self-consideration, they created heterotopia through dialectical process, they were conscious of identity quality of space. it will be a post independent subjected space, democratic political space beyond a fixed society. we can called the special quality of space is “a quality of identity” at this point Natural lives are calculated and controled by mechanism of national power and authority of capitalism on modern society. we have interested in life political problem, special national authority problem, government problem about the people after that time. comparative and analysis about Han River and Brothers that speak special national authority's problem from 1960' to 1980' have value at this point. We can find victims are caused by national violence but can't find assaulters in the present. the essay starts from my curiosity what is a invisible equipment and mechanism of national violence so the essay has a research object “A study of National Violence and Space's Identity about Korean & Chinese Modern Novels” on Han River and Brothers. Homo sacer who are called ‘a Red’ or ‘hyeon ban’, they were society members but except. they were exceptional condition, but they got out of life-equipment in one's own way and they became post independent subject. 근대에 이르러 자연생명이 국가권력의 메커니즘과 자본주의 권력 안에서 계산되고 통제되기 시작하면서 생명정치 문제, 주권권력 특유의 문제, 인간에 대한 통치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런 점에서 1960-1980년대 주권권력특유의 문제를 이야기하는 『한강』과 『형제』는 비교·분석해 볼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국가폭력으로 인한 피해자는 존재하되 가해자는 존재하지 않은 현실 속에서 본 연구는 '국가폭력으로 만든 보이지 않는 장치들은 무엇인지,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되며 민중들을 순종하는 신체를 만드는지 알아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필자의 호기심에서부터 출발하고 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볼 때 본 연구는 『한강』과 『형제』를 텍스트로 하여 「한·중 근현대 소설텍스트에 나타난 국가폭력과 공간의 주체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 목적을 가진다. 빨갱이, 현반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호모 사케르들은 사회의 일원으로 포함되어 있으면서도 배제된 자들이었다. 이렇게 예외상태에 놓였던 인물들은 각자 자기들 나름의 방식으로 생명장치에서 벗어나 구속된 주체가 아닌 탈주체로 거듭났다. 항상 타인에 의해 조종당하면서도 그것을 타인에 대한 배려라고만 생각했던 자는 처음으로 ‘자살’이라는 주체적인 자기선택을 통해 그로테스트한 정신과 육체에서 벗어났다. 개혁개방 후 부를 획득하고 일부를 타인에게 베풀며 그들에 대한 배려를 행한다고 생각했던 자는 형제의 죽음 이후 스스로에 대한 반성과 자각을 통해 난잡했던 과거의 자신을 끊어내고 진정한 자기 배려가 무엇인지 탐색하게 되었다. 또 다른 자는 교육을 통해 다른 벌거벗은 생명들에게 지식이라는 권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자본과 학연이라는 미시권력장치들을 역이용하여 과거와 자신을 단절하였다. 광주에서 일어난 국가폭력을 직시하고 또 다른 호모사케르들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광주로 내려가는 탈주체적 행동을 보였다. 자기배려가 자기를 배려하는 것이자 동시에 자기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라 할 때 이들의 행동은 자기배려를 통해 본인들도 탈주체화 되면서 동시에 이 사회에 탈주체가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었다. 자기배려를 통해 하나의 탈주체가 된 이들은 변증적 과정의 반복을 통해 헤테로토피아(절대적 타자의 공간)를 생성하고 이 안에서 자신들이 위치한 공간의 특성을 타자성이 아닌 주체성으로 새롭게 인지하였다. 이러한 인지공간은 고착화되어가고 있는 생명정치의 정태성과 폐쇄성을 넘어 어떤 중심에도 특권을 부여하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