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비서의 직무불안정성과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인상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수진(Chon, Soo-Jin),한주원(Han, Ju-Won) 한국비서학회 201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3 No.1

        인상관리행동이란 타인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자기의 태도를 의식적으로 왜곡하여 행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업무평가와 재계약 등에서 한 명의 상사에게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비서들은 자신에 대한 좋은 평가를 위해 상사에 대한 인상관리행동을 하게 될 강한 동기요인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기업에서 근무 중인 비서 157명을 대상으로 비서들이 인식하는 직무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에 대한 지각이 비서들의 인상관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상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개인요인 변수와 조직요인 변수를 구분하여, 개인요인으로는 직무에 대해 느끼는 불안정성을 조직요인으로는 조직공정성을 각각의 변수로 사용하였다. 인상관리행동은 상사중심 인상관리행동, 자기중심 인상관리행동, 직무중심 인상관리행동으로 구분하여 직무불안정과 조직공정성에 대한 지각이 인상관리행동의 각 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 관계에서 상사지원에 대한 인식이 조절변수로 사용될 수 있는가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예측했던 바와 달리 비서들이 지각하는 직무불안정성은 인상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공정성은 자기중심 인상관리행동과 직무중심 인상관리 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사지원은 조직공정성이 상사중심 인상관리행동과 직무중심 인상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of job insecurity as well as organizational justice with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of secretaries, after which it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 support. To achieve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ce samples of 157 employees working as secretaries in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no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Second, organizational justice influenced self-focused and job-focused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Third, supervisor support was shown not to be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job insecurity and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Lastly,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s well as supervisor-focused and job-focused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 KCI등재

        상사에 대한 인지적ㆍ정서적 신뢰가 비서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수진(Chon Soo-Jin) 한국비서학회 201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9 No.2

        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함께 근무하며 업무 관계를 형성하는 일반 사무직과 달리 비서직은 상사와 일대 일의 관계가 중시되는 독특한 업무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조직내에서 근무하는 모든 조직구성원에게 조직 목표 달성을 위해 신뢰는 꼭 필요한 요소이지만 특히 비서에게 있어 상사에 대한 신뢰는 다른 무엇보다도 비서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기업에서 근무 중인 비서 172명을 대상으로 상사에 대한 신뢰를 상사의 업무 능력 및 역량에 대한 신뢰인 인지적 신뢰와 상사와 비서간 감정적 유대관계에 대한 신뢰인 정서적 신뢰로 세분하여 각 변수가 직무만족, 이직의도, 조직시민행동이라는 비서의 직무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그리고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상사에 대한 인지적 신뢰가 비서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의 메커니즘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상사에 대한 인지적 신뢰는 정서적 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에 대한 정서적 신뢰는 비서의 직무태도 중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에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비서의 상사에 대한 정서적 신뢰는 상사에 대한 인지적 신뢰가 직무만족, 이직의도, 조직시민 행동과 같은 비서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 trust (cognition-based trust and affect-based trust) and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ecretar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convenience samples of 172 female employees working as secretaries in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based trust in supervisor and job satisfaction of secretaries revealed that affect-based trus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Second, the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based trust and turnover intention of secretaries revealed that affect-based trust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based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revealed that affect-based trus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th, trust in a supervisor was characterized by cognition-based trust and affect-based trust and cognition-based trust precedes affect-based trust. Fifth, it is investigated that affect-based trust can be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cognitionbased trust and the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ecretaries.

      • KCI등재

        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전수진(Chon Soo-Jin) 한국비서학회 2009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8 No.2

        비서직은 기업의 최고경영자를 측근에서 보좌하며 많은 조직 내 기밀사항을 접하게 되고, 독자적인 업무를 수행하기보다는 상사의 업무를 지원하는 직무특성상 다른 어떤 직종보다도 조직과 비서 혹은 상사와 비서간의 신뢰가 필요한 직종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기업에서 근무 중인 비서 170명을 대상으로 상사와 조직에 대한 신뢰가 조직의 성과 달성을 위한 구성원들의 자발적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이 관계에서 비서들이 지각하는 직무불안정성과 의사결정참여 정도가 두 변수 사이를 조절하는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상사에 대한 신뢰와 조직에 대한 신뢰는 비서들의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불안정성과 의사결정참여는 두 변수 사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불안정성은 상사에 대한 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직무불안정성을 높게 지각하는 비서들의 상사에 대한 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직무불안정성을 낮게 지각하는 비서들의 상사에 대한 신뢰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의사결정참여는 조직에 대한 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과정에 상대적으로 많이 참여하고 있다고 지각하는 비서들의 조직에 대한 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β=.377)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비서들(β=.106)과 비교해 볼 때 상당히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 trust in organization and trust in supervisor --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and decision participation between them. The study data consisted of a convenience sample of 170 females who were employed as secretaries in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rust in supervisor and trust in organization a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rust in organization has a greater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n trust in supervisor. Further, job insecurity acts as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rust in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t is. trust in the supervisor of secretaries with high job insecurity i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ereas that of secretaries with low job insecurity has no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decision participation can be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rust in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t is, decision participation reinfor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the secretaries with a high level of decision participation.

      • KCI등재

        사회 네트워크가 고용 및 승진가능성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정보접근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전수진 ( Soo Jin Chon ),박경규 ( Kyung Kyu Park ) 한독경상학회 2009 經商論叢 Vol.27 No.1

        최근 사회적 자본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연결을 통하지 않으면 얻을 수 없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권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하며,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 자본과 결합하여 더 나은 성과를 거둘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사회 네트워크와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개인이나 조직이 보유한 사회 네트워크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와 어떤 사회 네트워크 구조가 개인이나 조직의 성과 및 경력에 영향을 미치는가가 주된 연구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사회 네트워크 구조가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조직성과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서는 관심이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그 효과를 구분하여 네트워크 특성이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고용과 승진 같은 개인의 경력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사회 네트워크 구조와 경력성공(고용 및 승진)과의 관계가 기존 연구에서 주로 제시되어온 것처럼 직접적인 영향 관계인지, 아니면 두 변수 사이를 이어주는 다른 매개 변수가 존재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국내 대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원 533명의 사회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정보접근이 두 변수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접근은 사회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중 네트워크의 크기, 범위, 강도와 고용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있으며 승진간의 관계는 부분매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 네트워크 구조와 성과 간의 관계를 설계하는 데 있어 매개 변수의 존재 가능성 등의 좀 더 정교한 연구모델을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The interest and concern on social network interorganization and intraorganization of employees have been increasing highly. The reason for increasing concern on the organization of social network of their employees is that it can provide an individual with useful information about opportunities and choices otherwise not available, may exert influence on the agents who play a critical role in decisions, and may be conceived by the organization or its agents as certifications of the individual`s social credentials. The belief on social network of employees giving advantages on jobs and careers has been generally accepted but the experimental research has not been widely examined. Furthermore,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social network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the method of its measurements, and its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ndividual careers. Only a few studies shed light on the process in which social network influenced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such as size, range, and strength may directly affect on career success like employability and promotaility or there may exist a mediate variable between them. Almost social network researchers agreed that the first of social capital`s direct benefits is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presumed the access to information as a mediate variable and examined it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d career success. To achieve purpose of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in large Korean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533 samples were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has been examined that access to information mediates perfectly or partially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nd career suc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at access to information mediates perfectly between network size and employability. That is, network size had effects on employability not directly but through access to information. Second, it was investigated that access to information mediates perfectly between network range and employability. Third, it was revealed that access to information mediates perfectly between network strength and employability. Fourth, it was examined that access to information mediates partially between network size and promotability. In other words, network size had directly effects on promotability and also affect indirectly through access to information. Fifth, it was found that access to information mediates partially between network range and promotability. Sixth, it was studied that access to information mediates partially between network strength and promotability. These results imply that research models on social network should be designed more elaborately taking into account of mediating or other variables.

      • KCI등재후보

        상사 - 비서간 교환관계가 비서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수진(Soo-Jin Chon),구관모(Kwan-Mo Koo) 한국비서학회 2003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quality of LMX(Leader- Member Exchange) on secretary's job attitude(job satisfaction, intention to turnover, and perception of conflict), and (2) to examine into the moderate effect of the type of followership on the process. The followership of secretary has classified into 5 types; effective followers(21.6%), the pragmatists(32.8%), the conformists(40.3%), alienated followers(O.7%), and passive followers(4.5). Alienated followers and passive followers had been excluded from the analysis because of the small sample s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LMX has partially influenced on the secretary's job attitude. The more highly they perceive from the quality of LMX, they would feel more about the job satisfaction and less conflicts. However,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the quality of LMX didn't influence the secretaries with the intention to turnover. Second, the secretary of effective followers and the conformists has no moderate influence on the job attitude. However, the secretary of the pragmatists has moderate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conflicts. Comparing to other studies on followership, the ratio of the effective followers and the pragmatists is relatively low, and that of conformists is comparatively high. As the result,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develop and educate the effective followership on secretaries.

      • KCI등재

        조직공정성 유형이 신뢰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수진(Chon, Soo-Jin) 한국비서학회 201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신뢰에, 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이 비서직과 사무직의 직종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서 비서직과 사무직으로 근무하고 있는 157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공정성을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세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신뢰를 상사신뢰와 조직신뢰로 구분하여, 각 공정성 유형이 조직구성원의 상사에 대한 신뢰와 조직에 대한 신뢰에 어떤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또한 그들이 인식하는 상사신뢰와 조직신뢰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어떤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실증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영향 관계가 직종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이는가도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공정성 변수 중 상호작용공정성만이 상사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조직신뢰에는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차공정성이 상호작용공정성보다 조직신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신뢰와 조직신뢰는 모두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특히 조직신뢰가 상사신뢰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종 간 차이 분석에서는 조직공정성이 신뢰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모두에서 직종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by organizational members regarding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ata was collected from 157 secretarial and clerical work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Study results found that interactional justice had a positive (+) effect on trust in supervisors, and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trust in organization. Procedural justice has a greater influence on trust in organization. In addition, trust in supervisors and trust in organiz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rust in organization had greater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n trust in supervisors. In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secretarial and clerical worker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occupations in both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rust as well a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KCI등재

        비서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수진(Chon, Soo-Jin) 한국비서학회 201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이 비서직 종사자의 조직몰입과 이직 의도에 어떤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개인이 조직으로부터 공정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인식은 조직구성원의 행동과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조직공정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구체적이며 차별적인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면, 그 결과로부터 실무에 주는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한 자료는 수도권 소재 대기업에서 근무 중인 171명의 여성 비서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직공정성을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으로 세분하여 각 공정성에 대한 지각이 비서의 직무태도인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상사에 대한 신뢰가 조직공정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가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비서가 지각하는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및 상호작용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배공정성이 절차공정성이나 상호작용공정성보다 조직몰입에 더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직의도에는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배공정성이 상호작용공정성보다 더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사에 대한 신뢰는 절차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공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주는 이론적,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nd job attitud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and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supervisors. For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s of 171 female employees working as secretaries in firm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 The resul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attitudes reveal that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we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Distributive justice had a greater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urnover intentions. Distributive justice had a greater effect on turnover intentions than interactional justice. Trust in supervisor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that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사회 네트워크가 개인의 직무성과 및 경력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전수진(Soo-Jin Chon),박경규(Kyung-Kyu Park) 한국인사관리학회 2007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사회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중 네트워크의 크기, 범위, 강도가 개인의 직무성과와 경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성별에 따라 사회 네트워크의 효과가 달라지는 가를 살펴보았다. 대기업 중간관리자 402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사회 네트워크 범위가 승진가능성의 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네트워크 강도는 개인의 직무성과와 고용가능성 및 승진가능성의 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이 고용가능성에 대한 효과를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성관리자들의 사회 네트워크 크기는 고용가능성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한 반면, 남성관리자들의 사회 네트워크 크기는 고용가능성의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ocial capital is understood as a useful resource created from the network of social ties that allow members of a given society to trust one another and cooperate in the formation of new groups and associ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of such as size, range, and strength may affect on the job performance and careers(i.e. employability and promotability) and to examine whether the gender may moderate between social networks and job performance and careers. As the result of an analysis of 402 middle managers in large Korean companies, network range had effects on promotability and network strength had effects on job performance, employability, and promotability.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gender can be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he characteristic(size) of social network and employability. In order words, while the network size of male manager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employability, that of female managers had no effects o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