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인식이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전선옥 ( Jeon Sun Ok ),김정원 ( Kim Jungw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인식하고 있는 부모자녀관계가 이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강원도에 위치한 H대학의 학부 5개 학과의 1∼3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337명을 대상으로 한국적 부모자녀관계인 부자유친성정, 주관적 안녕감,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을 묻는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한 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밝혀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이 부모와의 일체감과 부모의 헌신성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을수록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어머니와의 일체감과 헌신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아버지와의 일체감과 헌신성에 대한 인식은 모두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특히 어머니와의 일체감과 헌신성에 대한 인식이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이 부모와의 일체감과 부모의 헌신성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을수록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아버지와의 일체감과 헌신성, 그리고 어머니와의 일체감과 헌신성이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특히 아버지와의 일체감과 헌신성에 대한 인식이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with their parents` sense of unity and about their parents` devotion to them on their subjective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337 college students who have various majors in a college in Chunchun, Gangwon-Do, Korea. Thes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on their perception of their recognition with their parents` sense of unity and about their parents` devotion to them, subjective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with their parents` sense of unity and about their parents` devotion to them and their subjective happiness were highly correlate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with their mothers` sense of unity and about their mothers` devotion to them, and their fathers` sense of unity and about their fathers` devotion to them influenced their subjective happiness.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with their parents` sense of unity and about their parents` devotion to them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highly correlate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with their fathers` sense of unity and about their fathers` devotion to them, and their mothers` sense of unity and about their mothers` devotion to them influence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한국 시화호와 중국 Aha호 저질토에 분포하는 이화성 아황산염 환원효소 유전자의 비교 분석

        김인선,김옥선,전선옥,안태석,Kim, In-Seon,Kim, Ok-Sun,Jeon, Sun-Ok,Witzel, Karl-Paul,Ahn, Tae-Seok 한국미생물학회 2008 미생물학회지 Vol.44 No.2

        한국의 시화호와 중국의 Aha호 저질토에서 서식하는 황산염 환원세균(sulfate reducing bacteria, SRB)의 깊이에 따른 군집구조를 비교하기 위하여, 이화성 아황산염 환원효소(EC 1.8.99.1; dissimilatory sulfite reductase, dsr) 유전자를 대상으로,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및 클론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DGGE band 양상을 분석한 결과, Aha호 보다는 시화호에서 더 맡은 밴드를 보여 다양성이 높았고, 깊이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두 서식지에서 얻은총68개 클론의 염기서열을 가지고 계통학적 분석을 한 결과 시화호에서는 Deltaproteobacteria 그룹, Firmicutes 그룹에 속해있는 Desulfotomaculum 종과 archaeal thermophilic SRB 그룹에 속해있는 Archaeoglobus 종이, Aha호에서는 Desulfotomaculum 그룹과 유사성이 높았다. 분리된 대부분의 클론들(59%)은 배양된 황산염 환원세균과는 매우 낮은 유사도를 보였고, 환경에서 분리된 클론들과도90% 이하의 유사도를 나타냈다. 총 클론을 88% 유사도를 기준으로 9그룹으로 나뉘었을 때 시하호와 Aha호의 각 클론은 서로 다른 그룹으로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두 서식지의 이화성 아황산염 환원효소를 가지고 있는 미생물의 군집구조는 확연히 다르고 각 서식지에 특이적인 황산염 환원 미생물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The diversity of sulfate reducing bacteria was investigated in different depths of sediments in Lake Sihwa, Korea and Lake Aha, China by PCR amplification,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d clone libraries targeting dissimilatory sulfite redectase (dsr) gene. In the analysis of DGGE band patterns, the community compositions of dsr gene in the sediments of both lak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hereas bands in all depths of each environment revealed similar patterns. Bands from Lake Sihwa were produced much more than those from Lake Aha, demonstrating a higher diversity of dsr gene in Lake Sihwa. Total 68 clones containing dsr gene were obtained to analyze their sequences. Sequences from the sediment of Lake Sihwa were affiliated to Deltaproteobacteria, the Gram-positive thermophilic sulfate reducers belonging to the genus Desulforomaculum and archaeal thermophilic SRB belonging to the genus Archaeoglobus, whereas sequences from the sediments of Lake Aha were related to genus Desulfotomaculum. Clones retrieved from sediment of Lake Sihwa revealed a higher numbers than those of Lake Aha, demonstrating a higher diversity of dsr gene in Lake Sihwa. Most of clones (59%) were distantly related to the known cultivated SRB with $60\sim65%$ of similarity, which were clustered only the sequences from the environments showed less than 90% similarity. These habitat specific sequences suggested that the clustered dsr sequences represent species or groups of species that were indigenous to these environments. This study showed that these lakes have a specific bacterial communities having dsr gene distinct from those in other environments such as soil and marine ecosystems around the world.

      • KCI등재후보

        팔당호 수체에서 산소의 생성과 소모

        안태석,박경미,김동주,전선옥,홍선희,석정현 한국육수학회 2000 생태와 환경 Vol.33 No.4

        팔당호에서 유기물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용존유기물과 sediment trap으로 채집한 유기물 그리고, ultrafiltration으로 농축한 고분자 유기물의 산소 소모량을 측정하였고, 엽록소 a농도, 총인과 총질소를 측정하였다. 엽록소 a농도는 4월 Om수심에서 57.7mg/㎥으로 가장 높은 값이었고, 다른 계절에는 5.5∼14.2mg/㎥으로 나타났다. 수심 5m와 20m에 설치한 sediment trap으로 채집한 시료의 엽록소 a농도는 5월에 각각 2779.5, 9044.8mg/㎥으로 다른 계절보다 6배 이상 높은 값이었고, 물 시료와 비교하면 49배 이상의 높은 농도였다. 물시료의 산소소모율은 0.4∼0.5mg O_2·1^-1 ·day^-1로 수심별, 계절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 고분자 유기물의 경우에는 0.01∼0.04mg O_2 ·1^-1 ·day^-1의 값으로 고분자 유기물은 산소를 거의 소모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심 5m에 설치된 sediment trap으로 채집한 시료에서 산소소모율은 0.48∼0.69mg O_2 ·1^-1 ·day^-1이었고, 20m 수심에서 채집된 시료에서는 0.88∼1.04mg O_2 ·1^-1 ·day^-1이였다. 수심에 따른 유기물의 변화를 보면, 5m에서 채집된 유기물의 엽록소 a농도는 20m에서 회수된 유기물의 30% 정도이나, 산소소모율은 70% 수준이다. 이러한 결과에서 팔당호에서는 표층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하여 생성된 유기물 중 저분자 유기물은 쉽게 산소를 소모하여 분해되지만, 고분자 유기물은 그대로 저층에 쌓여, 저질토의 산소 소모율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