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국 이민사회에 적응해 가는 1세 이민자들의 문화적응 과정과 교회의 역할

        전병철(Jun, Byoungchul Joseph)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7 No.-

        오랫동안 단일민족임을 자부하던 한국이 급속한 속도로 다문화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사회 혹은 복합문화사회속에서 학습공동체로서의 교회는 어떠한 역할을 감당해야 할까? 복합문화속에서 이주노동자들은 어디에서 주로 문화적응과정을 학습하게 되며, 어떠한 상황들이 그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것일까? 우리보다 이민역사가 훨씬 긴 미국에 이민간 한국인 1세들의 경우, 이민역사가 제법 길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민1세들의 학습과 교육, 그리고 그에 따른 교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본 논고에서는 미국으로 이민한 한인 1세들의 성인학습 실태와 그들이 학습에 참여하게 되는 동기, 그리고 학습조직으로서의 교회의 역할과 복합문화속에서 기대되는 목회리더십의 특성들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한국에 이주해와 있는 이주민들과 상황이 같을 수는 없겠지만, 우리보다 훨씬 더 다양한 민족과 인종들이 어울려 살고 있는 미국이라는 복합문화속에서 한국인이라는 단일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한인 이민 1세대들의 실태를 살펴봄으로, 현재 한국에 이주해온 이민자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돕고 섬길수 있는지에 대한 교회의 구체적인 역할들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Korea, once known for its long history of enthnic homogeneity, now is becoming a multicultural nation fast. In this kind of fast changing multicultural society, what’s a church’s important role as a learning community for the immigrants? Where do immigrants learn how to adjust themselves to a new environment overcoming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What ar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learning motivations for the adult immigratns in a multicultural society? Although Korean immigrants in the North America has a relatively long history,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ir cultural adjustment or acculturaltion to the new environment, especially on the adult learners who went to the states after they became adults. This study examined the first 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Los Angeles area to find out some helpful insights such as the motives of learning, the role of local churches, and expected pastoral leadership to apply for the adult immigrants in Korea. Of course, the two contries have more differences than similarities in their contexts. However, there are more diversity in ethnicities and races in greater Los Angeles than here in Korea. Korean churches might learn much from the case of Korean immigrants in the US to find out how to serve and help the immigrants in Korea more effectively.

      • KCI등재후보

        한국교회학교의 위기의 내적인 요인 심층분석

        전병철 ( Jun Byoungchul Joseph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ACTS 신학저널 Vol.30 No.-

        한국기독교는 세계 교회 역사상 그 사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가장 빠른 성장을 기록했다. 그리고 지금 어쩌면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가장 빠른 속도로 추락하고 있다. 교회의 쇠퇴의 원인은 뭐라 딱 꼬집어 `이거다`라고 말할 수 없이 복잡한 유기적인 관계로 얽혀있다. 물론 한국교회의 쇠퇴의 주요 원인은 자연적 인구감소와도 관계가 있다. 한국교회의 쇠퇴 원인들은 외부요인과 내부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구감소라는 자연적 외부요인보다 더 적극적인 외부적 요인으로는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의 확산, 종교 자체에 대한 무관심, 그리고 소비지향적이고 반기독교 가치체계를 가진 매력적인 세속문화의 등장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회쇠퇴의 내적인 요인들을 심층면접을 통해 확인하고 있다. 연구자는 교회학교 쇠퇴의 내적인 요인 중 가장 큰 요인을 목회자의 교육목회철학의 부재로 본다. 또한 지도자의 철학의 부재는 구성원의 전문성의 결여로 이어지고, 구성원의 전문성의결여는 역량의 결여이며, 이 역량을 길러야 하는 가장 기초적인 교육체계는 가정인데, 가정에서의 교육이 전무하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위기에 봉착한 한국교회교육에 대한 진단과 대안제시를 위한 계량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숫자로만 알 수 없는 행간의 메시지를 듣기 위해 한국교회교육과 관련된 교회 지도자들을 심층 면담하여 사회과학적인 분석을 토대로 미래 교육의 방향성을 더욱 설득력 있는 목소리로 전달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본 질적 연구는 2015년 함영주 교수가 이끌었던 복음주의교육학회의 공동연구팀이 설문을 통해 교회교육 지도자들의 의식과 인식에 대한 분석한 것에 나타나지 않은 숨겨진 이야기를 듣고 연구팀이 제시한 진단과 대안이 합리적이었다는 것을 재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의미가 있다고 본다. 연구자는 쇠퇴하는 교회교육의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교회교육 목회철학을 책임지는 담임 목회자들과 리더십들은 정기적으로 전문가로 이루어진 학회, 이를테면 복음주의기독교교육학회와 같은 곳을 지원하여 현장 연구와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 것, 둘째, 교회내의 교사집단의 전문성을 위한 교사양성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할 것, 셋째, 신학대학교의 커리큘럼을 연구하여 개선할 것이 그것이다. 교회학교가 변화의 추세에 맞추려고 몸부림치기보다 오히려 본질로 돌아가기만 한다면, 어떤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지금이야말로 교회와 신학교가 본질로 돌아가기에 딱 좋은 시기이다. Korean churches grew so rapidly that there would be no other examples like that in the world church history. And now they are falling down as if they had wings. There are many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clines of churches in Korea. Of course, there is a natural factor of demographic declines. (i.e. the marriage rate and child birth rate are constantly declining in Korea these days.) However, there are also inner factors that cause the churches decline. They are negative images about churches and Christianity in general, people loosing their religious tendency, and secularization of churches that reflect consumerism of church members.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n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declines of church education in Kore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local church education staff. This article asserts that the lack of philosophy for the educational ministry is the key factor that causes the church education decline. A leader`s lack of educational philosophy brings the lack of experts of education and which also cause the teachers` lacking competences and this is consequences of poor family education at home.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rough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that try to read unspoken reality of local church education ministry that could not be examined a mere quantitative study. This qualitative study is originally based on the quantitative study conducted by a research team led by Dr. Youngjoo Hahm in 2015 with the support of the Korea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research team`s research results and th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s are valid and practical. In conclusion, the author suggests three recommendations for the effective future church education. First, to receive a regular evaluation and consultation from a reliable research center and consulting group; second, to provide practical training for the teacher`s expertise; third, to evaluate and improve the current seminary`s curriculum for more effective training of educational staff. There is a saying that `crisis is an opportunity.` It is crisis of the church education, but it is the best opportunity for changes as well.

      • KCI등재

        교회를 떠나는 청년들의 이유와 대안 모색을 위한 델파이 연구

        전병철 ( Jun Byoungchul Joseph ),이수인 ( Lee Sooi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ACTS 신학저널 Vol.48 No.-

        최근 교단을 초월하여 한국교회 전체에 나타나고 있는 부정적인 현상 중 하나는 바로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기성세대들이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는 진짜 이유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고, 그저 교회를 떠나는 청년들을 “신앙을 버리고 세상을 쫓아간 믿음 없는 청년들”이라고 치부하며 비난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교회를 떠나는 청년들의 이유과 그 대안을 모색해보기 위한 연구로, 그동안 주로 청년들의 관점과 생각을 주로 살펴봤던 선행 연구들과는 달리, 청년 사역을 담당하고 있는 청년 사역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살펴보려 하였다. 이를 위하여 10년 이상의 청년 사역 경험을 가진 청년 사역자 10명을 선정하여 총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두 가지 중요한 논의점을 제공하였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청년 사역자들은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그리고 그들을 다시 교회로 돌아오도록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신앙 본질을 회복하는 것이라고 뜻을 모았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청년 사역자들의 응답을 분석해 본 결과 기존의 선행 연구의 내용과 불일치하거나 기존 연구의 발견점들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응답들도 나타났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목회자에 대한 불만과 실망”이었다. 즉 청년 사역자들의 시각에서는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가는데 있어서 목회자와 관련된 문제가 그렇게 중요한 이유가 되지 못했고, 이는 기존의 청년들의 관점과 상황을 분석한 선행연구의 내용들과 일치하지 않는 것이었다. 이에 연구자들은 교회를 떠났거나 떠날 것을 고민하는 청년들에게는 신앙의 본질 회복을, 청년 사역자들에게는 보다 철저한 자기 성찰과 배움의 시간을, 그리고 연구자들에게는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선행 연구와의 불일치점을 밝히기 위한 후속 연구를 동시에 제안한다. One of the negative phenomena overall regardless of denominations is that many young people disconnect themselves from churches. However, the more serious problem is that the older generation’s leaders do not understand the actual reasons young adults leave churches and criticize them as ‘abandoning the faith to pursue the pleasure of the secular world.’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reasons for young adults dropping out from churches and how to invite them back to churche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many past studies on the same topic because it uses the Delphi method of selecting appropriate experts for the study and seeks to uncover the reasons for regular churchgoers among young adults disconnect either permanently or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from churches. The research uncovered the following two significant themes. First, it is the restoration of the essence of faith that young adult ministry experts think why young adults disconnect themselves from churches and how to embrace them back to churches. Second, the variety of reasons suggested by the experts were unexpectedly different from the actual reasons for young adults disconnecting from churches. Some actual reasons were surprisingly ignored by the experts. For example, young adults cited being “unsatisfied or disappointment with the pastors,”while young adult ministry experts did not consider “issues concerning pastors”to be important. This inaccuracy is quite surprising. For such reason, the researchers make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1) for the young adults to restore the essence of their faith; 2) for the pastors to do thorough self-reflection and learn to understand more about the younger generations; and 3) for the researchers to conduct further study to discover wh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asons of young adult disconnection from church compared to the past studies.

      • KCI등재

        한국MK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고찰

        방준범 ( Pang Jun Beum ),전병철 ( Jun Byoungchul Joseph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ACTS 신학저널 Vol.35 No.-

        본 문헌분석 연구는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선교사자녀를 섬기는 선교사들과 선교단체, 그리고 한국교회에게 선교사자녀에 관한 연구 흐름과 개요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다. 무엇보다 선교사자녀에 관한 지난 24년의 연구들은 그동안 여러 정책에서 소외되었던 재외국민자녀들을 향한 한국 사회의 시선을 개선하고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선교사자녀 교육 방향성이 처음 선언된 1993년 이후 어떤 변화가 있어왔을까? 여러 영역에서 초단체적 협의와 협력을 논의한 초기의 열기와 달리 24년이 지난 오늘도 현장의 상황은 특별히 더 나아진 것이 없다는 평가를 선교현장에서 듣곤 한다. 그러므로 당시에 일어났던 문제 인식이 어떤 과정을 거쳐왔는지 살펴보지 않으면 안된다. 이 연구는 “오늘까지 누가, 어떤 주제로 선교사자녀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동안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의 질문을 기초로 한국에서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들을 수집하고 교육, 선교, 상담과 심리 영역으로 구분하여 주제어를 찾아 시기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연구에서 한국선교사자녀의 특징을 미국 사회학 용어인 TCK에서 근거했으며 이를 실증하는 연구가 없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에 대한 간략한 역사와 배경을 살폈고, 이에 대한 실증과 선교사자녀를 한국 사회에서 포괄적으로 포함해서 살펴보는 사회학적 접근의 필요를 주장했다. This study looks at the current research on Third Culture Kids (TCKs), also known as Missionary Kids (MKs) who were sent out by Korean churche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trends such as aims, directions, and summaries on the issues about TCKs. For the last 24 years, TCKs were neglected in mission policies and strategies by most missionary organizations in Korea. This study intends to draw attention to TCK, especially in aspects of their education. In 1993, there was declaration about the importance of TCK education, but there has been no not much improvement for them in the mission fields since then. How the issues around TCK education had been developed and evolved for last 24 years must be carefully examined to understand to understand and suggest how they can be resolved in the future. In that regards, this study assumes that understanding about Korean MKs based upon the American sociological concept of ‘TCK,’ and yet there are few actual studies about Korean MKs. Thus, by examining a brief history of the studies about the Korean MKs, the author concluded that holistic, authentic, integrative, and creative sociological approaches are needed to help the Korean M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