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 개발 가능성 탐색연구: 학내 국제화(IaH)1)의 영향을 중심으로

        이병식(Rhee Byung Shik),전민경(Jhun, Min Ky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3

        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 정부와 대학들은 고등교육의 국제화를 위해 학내 국제화 (internationalization at home, IaH)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으나, 아직까지 이러한 노 력들이 대학의 중요한 교육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실증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국 4년제 일반대학에 재학 중인 5,598명을 대상으로 학내 국제화가 대학생 의 글로벌 역량 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위계적 선형모형(HLM) 분석을 실시한 결 과, 학생수준에서는 국제화 교육을 경험할수록 글로벌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 문화강의를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경우 글로벌 역량의 모든 하위영역인 글로벌 지식, 기술, 가치 및 태도역량이 개발되었다. 영어강의 수강은 글로벌 기술역량과 가치 및 태도역량 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대학수준에서는 외국인 교수비율과 어학연수생비율이 높을수록 글로벌 기술역량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장기체류 유학생비율이 높을수록 글로벌 가치 및 태 도역량 개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 개발과 학내 국제화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internationalization at home in Korean universities improves the global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Using HLM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ernationalized curriculum and structural diversity measured by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faculty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global competenc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with the data from Korean College Senior Survey (KCSS) 2012 collected by the Center for Global Higher Education at Yonsei University, including a stratified random sample of 5,598 junior and senior students at 50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To sum up the finding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internationalized curriculu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global competency development. Taking a diversity course in particula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t. Whether a student took an English mediated course turned out a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global skill and value. Interestingly, however, at the institutional level, the number of foreign professors and types of international stude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lobal skill development of domestic students. While HEIs with more foreign professors and short-term international students improved global competency, those with more long-term international students turned out to be the opposi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inbound internationalization of HEIs and global competency development in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 KCI등재

        한국 대학효과 연구의 최근 동향

        이병식(Rhee, Byung Shik),김혜림(Kim, Hye Rim),공희정(Gong, Hee Jung),박혜경(Park, Hye Kyeong),전민경(Jhun, Min Ky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4

        최근 들어 국내외적으로 대학교육의 성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관련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대학이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대학효과")에 관한 종합적인 문헌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최근 국내 대학효과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이 분야의 최근 동향과 주요 성과 및 과제를 파악하려고 하였다. 교육학 분야에서 발표된 학술논문들을 최대한 포함하기 위해서, Cooper와 Robinson(1997) 등이 제안한 문헌검색 방법에 기초하여 문헌을 수집했다. 그 결과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6년간 교육학 관련 등재(후보)학술지 가운데 대학 효과에 관한 논문을 게재한 21개 학술지 207편의 논문이 대상문헌으로 선정되었다. 문헌분석은 문헌검증 방법 가운데 서술적 분석과 주제별 분석에 중점을 두고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6년 동안 대학효과 관련 연구가 60% 증가하였고 방법론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다. 대학효과 연구의 ‘산출’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비인지,심리 영역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비인지, 행동 영역에서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학환경변인’을 ‘산출’요인과 관련하여 분석한 결과 조직차원, 수업 내 경험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수업 외 경험에 대한 연구가 다소 미흡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효과 연구의 향후 방향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Whi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orldwide on how college impacts students in a range of contexts, to date there have not been any comprehensive reviews of college impact studies in Korea. This paper provides the first systematic review of Korean college impact research to understand current research trends and major achievements, and to discus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o be as inclusive as possible of the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the field of education, we collected literatures according to the search methods suggested by Cooper et al. (1997). Descriptive (narrative) and thematic analysis methods were employed for review. The results show that college impact studies increased considerably during the last 6 years, including achievements in methodologies and subjects. Analysis of the literature according to the types of educational outcomes show that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was on the affective-psychological outcomes of higher education, calling for more attention to research on cognitive-behavioral outcomes. Additional analysis of educational outcomes regarding college environment variables show that most of the studies were on organizational features and in-class experiences with studies on out-of-class experiences lacking in compari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