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윈의 유신론

        전대경(Daekyung JUN) 창조론오픈포럼 2013 창조론오픈포럼 Vol.7 No.2

        In this article, it is argued that Charles Darwin has never been an atheist.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hat it is absurd that atheism"s use of Darwin"s evolutionism as their main weapon. Darwin was a theist who was trying to prove the procedure of the mystery of God"s Creation. So, through his work, <Origin of Species>, he has striven to interpret and describe God"s design for his works.

      • KCI등재

        도르트 신경 회고를 통한 기술적 특이점과 인공지능 전망: ‘개혁주의 AI 신경’을 제언하며

        전대경 ( Daekyung Jun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9 No.-

        본고는 도르트 신경 회고를 통하여 기술적 특이점과 인공지능을 전망하며, 개혁주의 AI 신경을 제언한다. 도르트 신경은 「아르미니우스 신조」라고도 불리는 「항론파 5개 조항」에 대한 변증법적 변증을 위한 도르트 회의의 결과물이며, 이는 칼빈주의 5대 강령인 TULIP으로 요약된다. 당시에는 인간의 능력(이성 혹은 의지)을 강조한 휴머니즘적 자유의지가 교회의 가장 큰 위협이었다면, 오늘날에는 기계의 능력을 강조한 포스트휴머니즘적 인공지능이 그에 해당 할 것이다. 따라서, 개혁 교회가 당시에 도르트 회의를 통해 항론파를 변증하는 도르트 신경을 제정하였던 것처럼, 오늘날에도 여러 차례의 학술적 회의를 통해 특이점주의에 기독교를 변증하는 ‘개혁주의 AI 신경’을 제정할 필요가 절실하다. 가장 극단적인 신알미니안주의 형태인 열린신학은 우주의 그 어떤 것도 정해지지 않았으며, 절대자는 인간의 능력에 의해 예지(예정) 능력이 제한되기 때문에, 그(절대자)가 ‘부동의 동자’가 아닌 ‘가장 유동적인 동자’라고 주장한다. 기본적으로 무신론적인 특이점주의도 특이점 이후에 일어날 일은 그 누구도 알 수 없으며, 인간은 기계의 능력에 의해 신과 같이 되어 영원토록 살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특이점주의는 확장된 열신신학으로 보이며, 본고에서는 이를 마키나-알미니안주의라고 부른다. 도르트 신경을 따르는 개혁주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이러한 기술적 특이점 주의는 신칼빈주의와 신알미니안주의 간의 대립의 연장선 상에 있다. 즉, 역사 전체를 통해 나타나는, 하나님의 통치권(혹은 예정)과 인간의 자유의지로 대표되는, 아우구스티누스 대 펠라기우스 간의 논쟁의 연속선상에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고는 특이점 인공지능을 위시한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의 주장이 무엇인지를 도르트 신경의 관점에서 평가한다. 먼저, 도르트 신경의 모티프로서의 ‘하나님의 영광’을 조사한다. 그런 다음, 기술적 특이점주의가 신알미니안주의적 열린 신학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논증한다. 다음으로, 포스트휴머니즘적 특이점주의자들 가운데에 대표주자인 레이 커즈와일의 주장들(특이점 인공지능 5대 강령)을 도르트 신경과 대비하며 하나님의 영광의 관점에서 비판한다. 마지막으로, 소고를 마무리하며 ‘하나님의 영광’의 관점에서 ‘개혁주의 AI 신경’을 제안해 본다. 이를 통해, AI는 ‘인간의 영광’이 아닌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개발되고 사용되어야 할 것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is to propose the enactment of the reformed canons of AI by retrospecting on the cannons of Dort for prospecting on the technological singular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anons of Dort is the fruits of the synod of Dort for a dialectic apologies to the five articles of the remonstrants, which is also known as Arminius’ creeds, and are summarized as 5 points of Calvinism, so-called TULIP. If humanistic free-will focusing on human ability - such as reason or will - was the greatest threat to the church back then, post-humanistic artificial intelligence emphasizing on mechanical ability would be the gravest menace now. Hence, as Reformed Churches enact the canons of Dort to defend faith against remonstrants at the synod of Dort priorly, it is also vitally needed in the contemporary to legislate the reformed canons of AI in order for apologies for Christianity against singularitarianism posteriorly. Open Theology, probably the uttermost radical mode of neo-arminianism, insists that nothing in the universe is predestined and the Absolute, for his ability is limited by human will of approval, would not be the “unmoved mover” but the “most moved mover.” Singularitarianism, which is basically atheistic, also insists uncertainty - that no one knows what will happen after technological singularity - and extropy, which believes humans - by becoming god-like beings by the aid and ability of machines - can live forever. This singularitarianism seems an expanded version of open theology, and it is called machina-arminianism in this article. In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which is espousing the canons of Dort, such technological singularity is in along with the extended confrontation of neo-calvinism versus neo-arminianism. In that, it is, throughout the history, represented by God’s sovereignty(or predestination) and human free-will, on the line of prolongation of Augustinus versus Pelagius. In such a context, this paper evaluates the arguments of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representing singularitarian AI. First, “glory of God” as the motif of the canons of Dort is examined. And then, it is argued that technological singularitarianism is upon the prolonged line of neo-arminian open theology. Next, the arguments - 5 points of singularitarian AI - of Ray Kurzweil, representative post-humanstic singularitarian, are criticized in the contrast perspective of the canons of Dort for “glory of God.” Lastly, wrapping up the research, “the reformed canons of AI” is proposed in the perspective of “glory of God.” In so doing that, it is argued that AI ought to be developed and utilized not for “glory of human” but for “glory of God.”

      • KCI등재후보

        농산어촌 지역에서 학교의 폐교 위기 극복과 폐교가 된 뒤 활용 여부는 지방 소멸 억제를 위한 인구 정책에 유효한가?: 지역사회에서 의무통과지점으로서 학교의 행위적 실재성

        전대경 ( Jun Daekyu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22 기독교철학 Vol.35 No.-

        2019년 OECD 국가 가운데에서 합계출산율 최저를 기록함으로써 한국은 본격적으로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되었다. 탈농산어촌과 수도권 인구 집중화로 인해 지방은 소멸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가임기 여성의 합계출산율 수치보다, 지방 소멸에 더 확실하고 상직적인 지표는 바로 폐교이다. 학교는 해당 지역의 교육, 문화, 전통, 스포츠 등이 교류되고 재생산되는 중심지이다. 학령인구와 그 부모들이 다른 곳으로 전출하게 되어 지방 학교가 폐교가 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폐교가 젊은 층 주민의 전출을 가속하는 결정적 기폭제가 되기도 한다. 폐교와 관련하여 지방 소멸을 억제하는 첫 번째 방법은 학교교육의 특성화나 거주지 인센티브 등을 통해 폐교를 막는 것이다. 하지만 열정적이고 헌신적인 교사나 이장 등의 지휘자가 반드시 있어야 가능하기에 보편적인 해결책은 아니며, 이들의 부재 시에는 다시 위기 상황으로 돌아가 폐교를 면하기 어렵기에 근본적인 해결책도 아니다. 둘째는 지방정부와 지방교육청이 폐교를 매각 및 임대하는 것이다. 이는 폐교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쉬운 방법일 수 있지만 해당 학교 출신인 지역 주민의 반발이 적지 않으며, 중요한 것은 이 방법이 지방소멸 문제 해결과 거의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셋째는 폐교가 된 후 방치기간을 최소화하여 어떠한 형태로든 자체적으로 지역주민들이 활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관리소홀로 대개는 다시 방치 상태가 된다. 본고는 위의 셋째 방안의 단점인 관리소홀 부분을 기독대학과 신학과가 나서서 주체적 조력자가 될 것을 제안한다. 지역주민들과 함께 각 지방의 폐교들을 활용하여 도심지의 지역교회들과 연결시키는 농수산품지역센터이자 선교센터가 되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폐교의 외형과 외관을 그대로 지킬 수 있기에 해당 학교 출신 지역 주민의 반발도 거의 없을 것이다. 첫 번째 방안에서의 교사 역할을 파송된 조력자가 하게 될 것이기에 관리소홀 및 방치 문제를 해결하는 지속가능한 모델이 될 수 있다. 미혼 및 기혼 기독 청년들을 파송함으로써 취업 문제 뿐 아니라, 지방 초고령화 문제와 더불어 학령인구 감소를 통한 지방 소멸 문제도 완화 및 해결할 수 있다. 폐교를 파송된 기독 청년들의 자녀들이 다니는 교육부 인가 대안학교로도 지역주민과 함께 운영할 수 있다. 그러면 매매 및 임대에 비용이 들어가게 하지 않고도 전국 각지에 선교센터이자 학교를 세울 수 있게 되며, 국토 균형 발전에도 일조하게 된다. 폐교를 활용한 대안학교의 이름은 기존 폐교의 학교이름을 그대로 따르며, 이사장은 지역사회의 이장이, 교장은 지역교회의 목사가, 교감은 파송된 조력자가 맡는 것이 좋겠다. 지역에서 행위적 실재성을 지니는 폐교가 여러 행위자들을 묶어내는 경계물이자 지역의 의무통과지점으로 부활할 수 있다. By recording the lowest total fertility rate among OECD countries in 2019, South Korea has become a super-aging society. Due to rural exodus from agriculture and fishing villages and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rural towns are facing local extinction. The writer insists that disused schools are more certain and representational indicator of local extinction than the total fertility rate of women in childbearing ages in the area. Schools are centers where education, culture, tradition, and sports in the region are exchanged and reproduced. It is true that school closes for good because the school-age population with their parents move out. But it is also true that permanent school closure is a decisive catalyst for accelerating young residents’ moving out. The first way to suppress the local extinction is preventing permanent school closure no matter what. Exemplars would be speci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or incentives for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residence. It is neither, however, a universal solution nor a fundamental solution. Since it is not feasible without a passionate and dedicated teacher or the head of the local village, the permanent school closure is unavoidable if they are absent. The second way is that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bureau of education sell or lease disused schools. This may be the easiest way to solve the problem of disused school. But there is always lots of resistance from local residents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More importantly, this method has little to do with solving the problem of local extinction. The third way is to minimize the period of disused school after the school is closed and let the local residents use it in any form. However, due to negligence in management, the school becomes abandoned again.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Christian Universities and their Department of Theology step up and take the lead as the assistant director to make up the drawbacks of the third method. Together with the local residents in the rural area facing local extinction, it is to become a regional center for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and a mission center that connects local churches in cities and countries by utilizing the disused schools. Through this, the wings and outer appearances of the disused school can be kept as it used to be, so there will be little objection from local residents graduated from the school. Since the dispatched assistant director will play the role of the teacher in the first method, it can be a sustainable model for resolving the problems of negligence. By dispatching unmarried and married Christian youth, it is possible to solve not only the employment and local super-aging problem but also local extinction problem due to moving in of the school-age population. Together with the local residents it can also be operated as an alternative school accredi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here the children of Christian youth dispatched would attend. Then, mission centers and schools can be established all over the country without any huge amount of money for buying or renting, and contribute to the nation-wide balanced development. The name of the alternative school must follow the name of the school as it used to be. It is desirable the chancellor is taken by the head of the local community, the principal by the pastor of the local village church, and the vice-principal by the dispatched assistant director. A disused school with an agential reality in the region can be revived as the obligatory passage point and the boundary object that intersects various actors in the region.

      • KCI등재후보

        캐런 바라드의 자연구성주의는 사회구성주의와 ANT의 대안인가?: ‘행위적 실재론’의 상보성/상호배타성, 주체적 책임성, 물질적 환원주의를 중심으로

        전대경 ( Jun Daekyu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21 기독교철학 Vol.32 No.-

        입자 물리학자 캐런 바라드는 양자 물리학에서 얻은 통찰력을 바탕으로 ‘자연의 본질과 현상’을 탐구하는 자연구성주의 ‘행위적 실재론’을 주장한다. 바라드는 자연의 미시 입자들 간의 양자적 현상을 일상적 사회에서의 관계적 현상들로 확장한다. 그녀는 자연이 원자들로 이루어져 있기에 이러한 확장은 단순한 유비나 비유가 아니라 자연에 실재하는 현상이라고 역 설한다. 본 소고의 주된 관심사는 캐런 바라드의 자연구성주의 ‘행위적 실재론’ 이 사회구성주의와 ANT(행위자 네트워크 이론)를 적절히 보완 및 극복하는 대체 이론인지의 여부이다. 바라드가 잘 지적하듯이, 사회구성주의는 과학 지식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과학적 반실재론의 입장을 견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녀는 사회구성주의가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에 대해서 그 실체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고 본다. 그리고 ANT는 파스퇴르 등의 사례에서 보는 것처럼 항상 카리스마적인 남성 지도자가 전체를 통솔하는 과학과 사회의 모습을 그린다.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은 여성주의 입장에서 ANT의 약점을 극복하려고할 뿐 아니라, 자연구성주의 입장에서 사회구성주의도 극복하고자 한다. 사회구성주의는사회가 인식의 주체이며 자연이 객체인 데에 반하여, ANT는 사회와 자연을 동등한 행위자로 간주한다. 하지만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은 인간 사회 또한 자연의 현상으로서 자연적으로 구성되는 실재라고 본다. 그녀는 남성의 역할과 여성의 역할이 결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불확정적이라고 본다. 그리고 서로 내적 작용을 통해 상보성으로 부족한 부분들을 보상한다고 본다. 그녀는 더 나아가 여성의 뱃속 태아는 여성이 혼자서 갖지 않으며 아이의 아버지를 포함한 많은 사회적 관계와 과학기술 해석 장치가 서로 얽혀 있기에 개별적 존재가 아닌 현상이라고 본다. 즉 ‘행위적 자름’을 통해, 태아의 엄마가 주체적 현상이며 아기는 객체적 현상이 라고 본다. 그녀의 이러한 입장은 낙태를 합리화하는 여성주의의 입장에 힘을 실어준다. 이러한 윤리적 측면에서의 급진성이 캐런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이 갖는 가장 큰 약점 중 하나일 것이다. ‘행위적 실재론’이 그 논리적 밑바탕에 전제하고 있는 양자 물리학에서의 ‘위치와 모멘텀 간의 상충관계’를 일상 세계로 확장하는 것도 직관적으로 잘 납득이 되지 않는 부분이다. 과학 및 사회에서 남성 중심적인 관례에 경각심을 일으켜준다는 측면에서 바라드 의 ‘행위적 실재론’은 큰 의의가 있다. 특히 그녀가 과학자로서 물질과 인간, 사회, 그리고 더 나아가 자연에 대해서 통찰력을 제시해 주는 부분은 분명 과학학(과학철학, 과학기술학, 과학사, 과학정책학)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녀의 신유물론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물질들이 상호 얽혀 있는 존재들이라고 봄으로써 개별적 존재들에게 윤리적 책임으로부 터의 면죄부를 쉽게 준다는 단점이 있다. 본 소고는 먼저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의 이론적 토대인 닐스 보어의 양자 물리 철학의 핵심 개념들을 간략히 다룬다. 그런 다음, 행위적 주체성과 책임성의 문제를 다룬다. 그리고 인간을 자연 물질로 환원하는 신물 질주의의 환원주의(reductionism)를 살핀다. 그런 다음, 윤리학 및 철학 등 에서의 비판들을 소개하고 그 비판들의 정당성 여부를 살핀다. 마지막으로 결론부에서는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이 사회구성주의와 ANT의 약점을 잘 극복했는지의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면서, ‘행위적 실재론’에 수정 및 증보를 제언한다. Particle physicist Karen Barad advocates, based on insights gained from Quantum Physics, a Natural Constructionist “agential realism” which explores “the essence and phenomena of nature.” Barad expands quantum phenomena in the realm of sub-atomic particles into relational phenomena in our everyday social life. She contends that since nature consists of atoms, this expansion is not merely a metaphor or analogy but a real phenomenon that exists in nature.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s whether Karen Barad's Natural Constructionist “agential realism” is an alternative theory which complements and overcomes - and even replace and reduce - both Social Constructionism and ANT(Actor Network Theory). As Barad points out, Social Constructionism basically maintains scientific anti-realist position since it sees scientific knowledge as socially constructed. That is the reason why she believes that the essence of the universe can not be properly grasped by Social Constructionism. And ANT depicts science and society in which a charismatic male leader always ought to lead the whole, as seen in Pasteur and others. Barad's “agential realism” seeks not only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ANT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but also to surmount weaknesses of Social Constructionism from the standpoint of Natural Constructionism. In that, while Social Constructionism sees society is the subject of cognition and nature the object, ANT regards society and nature as equal actors. Barad's “agential realism” sees, however, human society as a reality that is naturally constructed as phenomena of nature. She believes that the roles of men and women are not definitively defined, but indeterminate. She sees that through intra-actions with each other, men and women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with complementarity. Furthermore, she believes that a fetus in a woman's womb is not an individual existence but an intertwined phenomena since a woman can not have the fetus alone, and many social relationships including the father of the fetus and techno-scientific interpretation apparatus are intertwined with one other. In other words, through an 'agential cut,' the mother of the fetus is a subjective phenomenon as the baby an objective. This position empowers the feminist stance justifying abortion. This ethical radicality may be one of the biggest weaknesses of Karen Barad's “agential realism.” It is also not intuitively understandable to expand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position and momentum" in quantum physics, which is premised on the logical basis of “agential realism,” into our everyday life. Barad's “agential realism”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raises awareness of male-dominated conventions in science and society. Particularly, as a scientist, it can be said that the part where she presents insights on matter, humans, society, and even nature, is clearly meaningful in Science Studies - Philosophy of Science, STS, History of Science, and Science Policy. However, her new materialism contains a hurtful disadvantage of easily indulging individual beings from ethical response-ability by seeing them as beings in which all materials, including humans, are intertwined. This article first briefly covers the core concepts of Niels Bohr's philosophy of quantum physics, which i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Barad's “agential realism.” Second, the issue of agential subjectivity and response-ability are being dealt. Third, it is dealt that the reductionism of new materialism that reduces humans to natural matters. Fourth, the criticisms from ethics and philosophy on agential realism are introduced and examined if they are legitimate. Last but not least, it conclusively judges whether Barad's “agential realism” has overcome the weaknesses of both Social Constructionism and ANT, and proposes amendment and augmentation to “agential re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