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행친화성을 고려한 도시 웨이파인딩(Wayfinding) 사인시스템 연구

        장혜진 ( Haejin Ch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도시 디자인을 이루는 요소 중 사인시스템은 많은 대도시들이 매력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도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최근 도시 공간이 다양화되고 빠르게 변모하면서 효율적인 보행환경을 위한 웨이파인딩(wayfinding)의 개념이 주목받기 시작하고, 보행친화성(walkability)이 선진도시가 갖추어야할 주요요소가 됨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도시 웨이파인딩 사인시스템 프로젝트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도시환경에서의 보행친화성을 고려한 웨이파인딩 사인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정부기관의 실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고, 학문적 연구는 최근 실무프로젝트의 활성화와 함께 그 전략의 기초를 수립하는 단계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보행환경을 위한 도시 웨이파인딩 사인시스템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해외 도시의 성공적인 웨이파인딩 사인시스템 구축 사례를 살펴 본 후 도시 웨이파인딩 사인시스템 구축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지침을 제안하고자 했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웨이파인딩 및 사인시스템 관련 연구논문 및 관련문헌 등을 통해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주요 개념을 검토하였다. 사례연구의 대상으로는 도시웨이파인딩 사인시스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사례로 꼽히는 런던의 읽기 쉬운 런던(Legible London), 뉴욕의 WalkNYC, 시드니의 읽기 쉬운 시드니(Legible Sydney), 브리스톨의 잘 읽히는 도시 브리스톨(Bristol Legible City), 요코하마의 미나토 미라이 21 등을 선정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관련 문헌, 시에서 공개하는 프로젝트 보고서, 인터넷 사이트 등을 바탕으로 해당 사례에 대해 조사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보행친화성을 고려한 도시 웨이파인딩 사인시스템 구축에 있어 고려할 사항에 대해 제안했다. (결과)도시 웨이파인딩 사인시스템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기획, 디자인, 적용의 단계별 프로세스로 보았을 때, 첫째, 기획 단계에서는 도시의 역사와 맥락을 고려한 컨텐츠 설계, 보행자의 행태와 동선 리서치, 적합한 설치사이트 설정, 웨이파인딩 전략 구축, 웨이파인딩 사인시스템 디자인 가이드라인 구축, 지역전문가 및 이해관계자로부터의 피드백 수집, 둘째, 디자인 단계에서는 시인성, 심미성, 일관성, 정체성, 보편성을 고려한 디자인, 셋째, 적용 단계에서는 지속적인 유지보수, 보행자 웨이파인딩 경험 만족도 측정 등을 들 수 있다. (결론)보행친화성을 고려한 도시 웨이파인딩 사인시스템은 삶의질을 추구하는 도시 환경으로의 변화와 새로운 정보시대 시대에 적합한 도시 체제 구축을 위해 선진 도시에서 추구해야할 주요요건이 되었다. 보행친화성을 고려한 도시 웨이파인딩 사인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도시와 보행자, 모든 이해관계자의 관점을 반영하여 물리적, 인지적, 행태적, 시각적, 심리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통합적인 관점을 반영하기 위해 단기간의 가시적인 성과를 위한 프로젝트가 아닌 체계적인 단계별 목표를 수립하여 장기적인 프로젝트로 꾸준히 이어갈 수 있는 시차원의 관리 방안을 구축해야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Among the elements that compose urban design, a signage system is the element strategically used by big cities to create an attractive image and an urban identity. The concept of “wayfinding” for an efficient walking environment has attracted increasing interest as urban spaces have rapidly diversified, and walkability has become a major element in advanced cities. Therefore, developed countries actively process urban wayfinding signage systems. Studies of the wayfinding signage systems of urban environments in big city spaces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 government projects; however, academic studies remain at the fundamental leve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guidelines for establishing urban wayfinding signage systems after assessing the significance of such systems in an efficient walking environment and studying successful cases in foreign cities. (Methods)This study reviewed major concepts by analyzing theses and related documents on wayfinding and signage systems. As this study aims to suggest instructions for establishing an urban wayfinding signage system that considers walkability, WalkNYC of New York, Legible London of London, Bristol Legible City of Bristol, Legible Sydney of Sydney, and Minato Mirai 21 of Yokohama were selected as successful cases of wayfinding signage. (Results)Matters to consider for urban wayfinding signage systems include plann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First, the planning phase includes content design that considers the history and context of the city, research on pedestrian behavior and pedestrian routes, identification of suitable sign locations, strategies for wayfinding, design guidelines for the wayfinding signage system, and feedback from the community and stakeholders. Second, the design phase considers legibility, aesthetic impression, consistency, identity, and universality. Third, the implementation phase considers continuous maintenance and measurement of walkers` satisfaction in experiencing wayfinding. (Conclusions)The urban wayfinding signage system has become a major element of urban environments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new information era. In theoretical and case studies in general, to ensure effective walkability, an urban wayfinding signage system must consider the synergy of physical, cognitional, behavioral, visual, and psychological elements by reflecting the aspects of a city, its walkers, and all stakeholders. To reflect such integrated aspects, management measures at the city level must be more than merely as a short-term project for visible performance; measures must continue long term and systematically achieve step-wise target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