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 청소년 여가스포츠 참여 활성화를 위한 중요요인과 상대적 중요도 분석

        장철승(Chulseung Jang),한경근(Kyounggun Ha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 청소년의 여가스포츠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중요요인이 무엇이고,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출하여 우선순위를 산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장애 청소년의 여가스포츠 참여 활성화를 위한 중요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합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장애 청소년 여가스포츠 참여 활성화 방안으로 도출된 중요요인에 관해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합의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장애 청소년 여가스포츠 활성화 방안을 위한 중요요인을 도출한 결과 9개의 상위요인과 22개의 하위요인이 확인되었다. 둘째, 9개 상위요인 중 예산 확보가 가장 높은 상대적 중요도를 보였고, 다음으로는 인력 자원, 공공/민간 시설 연계체제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에 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행정부처 간 연계, 전문지도자 양성 및 배치, 마을교육공동체 구성, 방과후학교, 동아리, 스포츠클럽 연계 운영, 학교 내 통합체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 여가스포츠 관련 인력 역량 강화 연수, 각종 장비 보급 지원, 공공 및 민간 스포츠 시설 접근성 개선, 온라인 여가스포츠 콘텐츠 개발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합의 델파이와 계층화분석을 통해 장애 청소년의 여가스포츠 참여를 위한 중요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산정함으로써 우리나라 장애 청소년 여가스포츠의 발전을 위한 전략과 정책 개발의 기여와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factors are important for activating the disabled youth t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and estimate the priority of them by calcul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m. The consensus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draw such important factors an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m were estimated b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t factors for activating impaired adolesc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were drawn from the consensus Delphi survey, to show that they consist of nine main factors and 22 sub-factors. Second, budget security had the highest relative importance, among 9 main factors, followed by human resources and then, the linkage among public/private faciliti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sub-factors was analyzed to find that relatively important factors include linkage between ministries, training and deployment of professional instructors, organization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connected operation of after-school, circles and sports clubs,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s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training for capacity-building of leisure sports-related personnel, support for all kinds of equipment supply, improvement of access to public and private sports facilities and development of on-line leisure sports content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understands what factors are important for the disabled youth t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by using both the consensus Delphi and AHP, and contributes to developing strategies and policies for enhancing the leisure sports for the Korean disabled youth and provides efficient data by estim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m.

      • KCI등재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장철승(ChulSeung Jang),조창빈(ChangBeen Cho)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총 148부의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첫째, 148명의 특수교사 중 93명이 체육교과 운영 경험이 있으며 체육활동을 통해 가치 및 태도, 기본 움직임 및 스포츠 기술 습득과 학생의 정서적 안정 꾀하고자 하였다. 교수형태와 평가 방법에서 초보교사는 단독 교수 및 직접 평가인 반면 고참교사는 외부 강사 주도/특수교사 보조 형태 그리고 직접 평가뿐 아니라 외부 강사 평가도실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특수교사는 추후 체육교과를 운영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체육교과를 운영하지 않은 이유로는 업무 부담 가중, 운영 예산 부족, 구성원 간 협조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과 운영을위해 충분한 장소, 시설, 기자재 제공, 학교 및 지역사회 구성원 간 협력, 연수 기회순으로 요구가 높았고 연수 기회 제공과 학생의 추수 지도, 지역 연계 체제 구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operating physical education and support needs according to their stage of teacher developmen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data from 148 returned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93 of the 148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experience in operating physical education, and they aimed to have their students acquire values and attitudes, basic movement and sports skills, and emotional stability through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terms of teaching form and evaluation method, novice teachers used solo teaching and direct evaluation, while experienced teachers used external instructor-led/specialist-assisted form and direct evaluation as well as external instructor evaluation, and most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willing to operate physical education in the future. Lastly, the reasons for not operating physical education were heavy workload, lack of operating budget, and difficulty of cooperation among members. Second, in order to operate physical education, the needs of providing sufficient space, facilities, and equipment, cooperation among school and community members, and training opportunities were high,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roviding training opportunities, offering follow-up services for students and establishing a local cooperation system.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프로그램 평가 현황 및 개선 요구 분석

        조창빈(Changbeen Cho),장철승(Chulseung Jang),김두영(Dooyoung K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3 재활복지 Vol.27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 현황 및 개선 요구를알아보기 위해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 장애인 평생교육기관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고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이들의 경험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는 총 142명으로 평생교육시설에 종사하는관계자가 53명, 장애인복지시설에 종사하는 관계자가 89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수행한설문 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들은 주로 학습자의 만족도파악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그램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주로 소속 기관에서 자체 개발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평가를수행하여 기관 내부보고 자료로 활용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들은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 현황의 개선에 대해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평가 관련 역량 부족이 가장시급한 개선 사항이라 인식하고 있었으며, 표준화된 평가도구 개발이 가장 필요하다고 요구하였다. 또한,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 발전 방안에 대해 표준화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 장애인 평생교육 관계자 전문성 강화 연수 운영,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 결과 공유 시스템 구축 등과 같은 내용을 논의하였다. In order to find out the evaluation status and improvement need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official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who operat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m in the institutions and analyzed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he officials regarding the program evaluation. A total of 142 people, involved in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it consisted of 53 people working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89 people working in welfare institu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main findings of the survey conducted on them are as follows. First, the official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onducted program evaluation mainly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satisfaction level of learners. Accordingly, the program satisfaction evaluation method was used the most, and the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 program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an in-house developed evaluation tool at the affiliated institution and used as data for internal reporting of the institution. Secondly, the official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recognized that the lack of evaluation-related capacity of the institutions was the most urgent need for improvement, and demanded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evaluation tools. In addi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evaluation tools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operation of training for education officials to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ism,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sharing program evaluation results were discussed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사회활동과 문화⋅여가활동 추이 및 과제

        김두영(DooYoung Kim),장철승(Chulseung Jang),조창빈(Changbeen Cho)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2 시각장애연구 Vol.38 No.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사회활동 및 문화⋅여가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시각장애인의 사회활동과 문화⋅여가생활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를 위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5차례에 걸쳐 실시된 장애인 실태조사 자료의 항목 중 시각장애인의 사회활동과 문화⋅여가활동에 관한 통계 자료를 추출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이전과 비교해 혼자 외출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의 비중이 다소 늘어나는 추세이나 여전히 10% 이상의 시각장애인은 혼자 외출이 불가능한 상황이며, 지난 1개월간 1~3번 혹은 전혀 외출하지 않은 시각장애인도 10% 정도를 차지했다. 시각장애인 중 40% 정도는 동반자가 없어서, 장애인 관련 편의시설이 부족해서 불편을 느끼고 있고, 외출 시 주로 일반 버스나 지하철⋅전철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해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시각장애인이 늘고 있으며, 장애인 전용 교통수단에 대한 불만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시각장애인의 지난 1주간 문화⋅여가활동은 주로 TV 시청, 사교 일, 휴식 등에 편중되어 있고, 지난 1년 동안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은 지극히 미흡한 수준이며, 시각장애인의 절반 가까이는 경제적 부담이나 건강 문제로 문화⋅여가활동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만족스러운 사회활동과 문화⋅여가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정책 및 실천적 노력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of social,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nd seek ways to promote their social,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Method: Statistical data on their social,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was drawn from a total of five research categorie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erformed between 2008 and 2020, and it was applied into this study. Results: Although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who can go outside alone has been on the rise compared to the previous, more than 10 percent of them cannot go outside alone, and also about 10 percent of them went outside from once to three times or even never went out in the previous month. It was found that 40 percent of them feel uncomfortable as they had no custodian and convenient facilities designed for them were not sufficient. When they go out, they usually use bus, subway or train. Nevertheless, many of them were going through inconveniences due to difficulty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Furthermore, they were highly dissatisfi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Over the last week,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mainly watched televisions, joined social gatherings and rest for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Over the same period, their experience of joining cultural art events remained inadequate. It was found that almost half of them were discontent with their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due to economic hardship and health problems.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the path forward for policies and practical efforts by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o enjoy satisfactory social,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 KCI등재

        장애성인의 문해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창빈(Changbeen Cho),장철승(Chulseung Jang),김두영(Dooyoung K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3

        이 연구는 장애성인의 문해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문해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참여를 희망하는 장애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고 문해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이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장애성인은 총 331명으로 지체·뇌병변장애인 114명, 시각장애인 100명, 청각장애인 37명, 발달장애를 동반한 중도중복장애인 80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성인들은 국가 수준의 문해교육교육과정 고시와 이를 통한 학력 인정 제도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성인들은 국어, 수학 등 도구교과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과정의 내용은 사회적응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교육과정의 난이도는 비장애인 문해교육 교육과정 대비 30% 수준으로 설정하기를 요구하였다. 셋째, 장애성인들은 문해교육 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해 장애인 문해교육전문 강사 양성, 장애인 문해교육 교과서 개발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문해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장애인 문해교육기관 선정 및 설치, 장애인 문해교육 교과서 개발, 장애인 문해교육 전문 강사 양성 및 보급 등과 같은 내용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adults with disabilities on the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participated in literacy education or wish to participate, and their perceptions and needs of the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were analyzed. A total of 331 adul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consisting of 114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100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37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80 persons with severe or multiple disabilit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urvey 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dults with disabilities were highly aware of the necessity of notifying the national-level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system for recognition of the school career through it. Second, adults with disabilities recognized that they needed subject tools, such as Korean and mathematics most, and they recognized the curriculum content related to social adaptation was the most necessary, and the difficulty of the curriculum was requested to be set at a level of 30% compared to the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for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Third, adults with disabilities perceived the most urgent task to cultivate instructors specialized in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and to develop textbooks for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to invigorate the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lso, based on the above findings, for the plan to revitalize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contents such as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development of literacy education textbooks for the disabled, and training and distribution of specialized instructors for literacy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인 학력보완교육 프로그램 영역 구축 연구

        조창빈(Chanbeen Cho),장철승(Chulseung Jang),김두영(Dooyoung Kim)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1 No.2

        이 연구는 장애인 학력보완교육 프로그램의 영역을 구축하기 위해 10명의 장애인 학력보완교육 전문가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 방법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수렴한 다양한 의견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장애인 학력보완교육 프로그램 영역의 초안을 구축하였다. 둘째,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장애인 학력보완교육 프로그램 영역의 초안에 대한 타당도 검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셋째, 1, 2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간 협의를 실시하여 장애인 학력보완교육 프로그램 영역의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학력보완교육 프로그램 영역 최종안에 대한 논의와 활용방안, 장애인 학력보완교육 프로그램의 발전방향 등에 대해 몇 가지 제언하였다. In the study, ten experts in educational background supplementary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o establish a field of education programs supplementing educational background for the disabled, and the Delphi method was performed to collect their various opinions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supplementary education area. The various ideas gathered through this method were materialized by consult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content analysis, an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produced. First, with the first Delphi method, a draft of educational background supplementary education program area for the disabled was made. The draft of educational background supplementary education program area for the disabled consisted of two large areas, three middle areas, and thirty-six small areas. Second, through the second Delphi method, a validity test was performed on the draft of educational background supplementary education program area for the disabled,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The validity of all large areas, middle areas, and small areas has been verified through thi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1st and 2nd Delphi methods, discussions between researchers were conducted, and the final proposal on educational background supplementary education program area for the disabled was present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some suggestions also were made on the discussion and utilization plan for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supplementary education program area for the disabled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educational background supplementary education programs for the disab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